큐라티스 사옥 전경. 사진 제공=큐라티스
큐라티스 사옥 전경. 사진 제공=큐라티스
큐라티스는 보건복지부와 경희대학교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 2023년 제2차 신규지원 대상과제인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개발의 미충족 수요백신’ 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과제는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개발을 위한 제2b상 임상연구’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큐라티스는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신약 QTP101의 2b상을 진행한다. 안전성 면역원성 유효성을 평가하고 3상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중간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9개월 동안 총 38억원의 연구개발비 중 28억5000만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국내 연세의료원세브란스병원 외 4개 센터와 동남아시아 1~2개 국가에서 임상 과제를 수행한다.

결핵은 폐와 신장, 신경 등이 결핵균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발간한 '2022년 세계 결핵 보고서(Global TB Report 2022)'에 따르면 2021년 세계에서 약 1060만 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약 160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큐라티스는 결핵백신 상용화 이후 국내에서의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현재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 사업(NIP)으로 지정된 자궁경부암 백신은 만 13~17세 여성 청소년 29만명을 대상으로 2749억원의 예산이 책정되어 있다”며 “큐라티스의 결핵백신은 15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등 적용 범위가 더욱 넓기 때문에 향후 NIP 지정 시 자궁경부암백신에 비해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결핵 환자가 많은 동남아 등 해외에서도 결핵백신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큐라티스는 전망하고 있다. 큐라티스에 따르면 전 세계 결핵 환자 중 87%가 결핵 고위험국가 30개국에서 발생했다. 그 중 인도 28% 인도네시아 9.2% 중국 7.4% 등 8개 국가에서 3분의 2 이상이 발생했다.

회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는 결핵으로 인한 하루 사망자 수 390명으로 코로나 사망률보다 결핵 사망률이 심각한 상황이어서 결핵백신이 출시되면 관련 시장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박인혁 기자 hyu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