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스트라가 브루크너의 7번 교향곡을 연주한다. 이 곡에서 심벌즈는 한 번 등장한다. 2악장이 시작하고 무려 176마디 후, 단 한 번이다. 타악기 주자가 176마디의 흐름을 내내 따라가다가 문득 다른 생각에 잠겨 177째 마디를 놓쳐버린다면? 상상만으로도 아찔하다. 설령 관객이 모른 채 넘어간다 해도 함께 연습해온 동료들, 지휘자, 누구보다 연주자 자신이 너무나 당황스럽고 어처구니가 없을 것이다. 이것은 연주자라면 누구나 상상해봤을 법한 악몽이다. 한 순간을 놓쳤을 뿐이지만 모두가 애써 준비한 연주를 망쳐버리는 '순간' 에 대한 불안은 항상 우리를 따라다닌다.
<브루크너 7번 교향곡의 심벌즈(독일어 표기 Becken) 파트보 전문>
“우리 지금 어디 연주해?” … "나도 몰라”
유난히 현악 파트의 트레몰로(같은 음을 쪼개서 빠르게 반복하는 주법)가 길게 지속되는 곡들이 있다. 연습 초반에는 상대적으로 곡이 익숙하지 않으니 난감한 상황이 벌어지곤 한다. 트레몰로가 20마디, 30마디 넘어가기 시작하면 지금 어느 마디를 연주하고 있는지 놓쳐버리는 것이다. 이런 일은 의외로 비일비재하다.

"우리 지금 어디 하고 있어?"
".... 나도 몰라."

옆 자리 단원과 이렇게 황망한 속삭임이 오간다. 그나마 현악 파트는 전체에 묻어가며 이런 실수들을 은근슬쩍 덮을 수 있다.

거장 호로비츠가 오케스트라와 협주를 할 때 몇 개의 음을 틀렸는지 박자가 어떻게 오락가락했는지 문제삼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다른 요소들이 거장의 기술적인 실수를 지엽적인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호로비츠와 합주하는 오케스트라의 목관주자 한 명이 곡 전체의 분위기를 환기시키며 몇 마디의 솔로 파트를 연주할 때 조금이라도 삐끗하면 매우 곤란해진다. 오케스트라의 연주는 각 파트의 기술적 정확성이 곡 전체의 퀄리티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전체의 부분으로 정확하게 기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것을 전제로 곡을 완성한다. 솔로이스트들과는 또 다른 의미의 책임감, 이것이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매번 겪는 독특한 긴장이다.
“우리 지금 어디 연주해?” … "나도 몰라”
모든 연주자는 실수를 한다. 음정을 틀리거나 소리가 찌그러지거나 템포를 놓치는 등 악기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실수가 있다. 대부분의 연주자들은 그것을 피하고 싶어 부단히 노력한다. 그러나 실수가 전혀 없다는 것만으로는 좋은 음악이라 할 수 없다. 어떤 음악가도 실수하지 않는 것이 자신의 가장 큰 목표라고 하지 않는다.

물론, 입학 시험 연주를 심사하거나 콩쿠르에 참여한 학생들을 평가할 때는 기술적 완성을 지표로 삼을 수 있지만 그마저도 상대적이다. 전체적인 분위기와 해석, 구조, 음색 등 음악에는 또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있고, 취향과 관점에 따라 음악가의 기술적 실수를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모든 연주자들에게 무대는 떨리는 장소일까. 과연 그들은 어떤 '실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토록 긴장하는 걸까.

무대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관객이 배추와 호박이라고 상상하라'는 팁이 유용하다고 한다. 하지만 무대 위의 연주자, 특히 솔로이스트들에겐 그런 방법이 큰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다. 관객의 존재나 부재보다 무대라는 상황 자체가 주는 중압감과 자의식이 압도적이며 그것이 떨림의 정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연주자가 음악에 온전히 집중할수록 통제 불능에 대한 두려움이 따라온다. 연주를 하며 느끼는 무아지경이란 황홀한 도취이기도 하지만 말 그대로 내가 없어지는 경험이기 때문이다. 마치 양날의 칼과 같다. 연주 직전의 고요, 모든 사람들이 연주자를 바라보고 숨죽인다. 연주자는 그 곳의 무거운 정적을 찢고 다룰 수 있는 단 한 사람이다.

다른 예술장르와 달리 대개의 음악에는 드러나는 서사도 없고 색채나 동작도 없다. 무엇이든 연상시키고 영감을 줄 수는 있지만, 정작 음악에는 소리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감각은 분산되지 않는다. 음악은 그 장소의 흐르는 시간이며 공기 자체이다. 연주자는 텅 빈 공간과 집중하는 시선들, 찰라의 순간들이 맞물려 쉬지 않고 흐르는 시간을 온전히 감당한다.

얼마 전 협연을 방불케 하는 어렵고 긴 솔로 파트를 연주하며 오랜만에 그것을 느꼈다. 영화 <그래비티>에서 산드라 블록이 처했던 것과 같이, 우주의 고독과 신비, 한없는 막막함이 바이올린을 켜고 있는 내게 닥쳐오는 것이다. 명확한 자각과 이성적인 판단은 그 상황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그 떨림과 외로움을 음악의 언어로 어떻게든 다루어내려 애쓴다. 충분한 연습, 곡에 대한 이해, 경험과 익숙함이 뒷받침 되어야 하지만, 거기에는 뭐라고 정확히 설명할 수 없는 제3의 무엇이 더해진다. 무대에서의 떨림과 긴장은 항상 두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희열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어서, 나는 무대에 선다.

“우리 지금 어디 연주해?” … "나도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