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핑퐁외교' 美키신저에게 "역사적 공헌 잊지 않을 것"(종합)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1970년대 미중 양국 사이에서 '핑퐁외교'를 주도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을 향해 "중미관계 발전을 추진하고 양국 인민의 친선을 증진하기 위한 역사적 공헌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일 중국 중앙TV(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서 키신저 전 장관을 만나 "중국인은 정의를 중시한다.

우리는 '라오 펑유'(老朋友·오랜 친구라는 뜻)를 잊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은 신뢰하는 외국의 고위급 인사를 지칭할 때 라오펑유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시 주석은 2021년 독일을 16년간 이끌고 퇴임을 앞둔 앙겔라 메르켈 당시 총리를 향해 중국·독일 관계와 중국·유럽연합(EU) 관계 증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며 이 표현을 사용했다.

시 주석은 키신저 전 장관이 최근 100세 생일을 맞았고 중국 방문이 100회가 넘는다는 점을 언급한 뒤 "두 개의 100을 합하면 이번 중국 방문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덕이 있는 사람은 장수한다는 의미의 '대덕필수'(大德必壽)라는 성어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52년 전 마오쩌둥 주석, 저우언라이 총리, 닉슨 대통령, 당신은 탁월한 전략적 안목으로 중미 협력이라는 정확한 선택을 했다"며 "중미관계 정상화 과정을 열어 양국을 행복하게 했고 세계도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키신저 전 장관은 중국을 방문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우리 두 나라 사이의 관계는 세계 평화와 인류 사회의 진보와 관계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에는 리창 국무원 총리와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함께했다.

중국을 찾은 키신저 전 장관은 18일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리상푸 국방부장을 만났고, 전날에는 중국 외교라인 1인자인 왕이 위원과 회담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냉전이 한창이던 1970년대 양국 간 교류의 물꼬를 튼 인물로서, 미국 외교가의 최고 원로로 꼽힌다.

키신저 전 장관 주도로 지난 1971년 미국 탁구팀이 중국을 방문하며 양국 간 교류가 시작돼 이를 '핑퐁외교'라고 부른다.

이듬해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마오쩌둥 당시 주석과 역사적인 만남을 가졌고, 이때 두 정상은 공동성명인 '상하이 코뮈니케'에 서명했다.

이것은 이후 1979년 양국 공식 수교의 발판이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