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반년 새 14조원 늘어 346조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권, 절반 넘는 8.5兆 급증
디폴트옵션 도입…경쟁 가열
디폴트옵션 도입…경쟁 가열
금융권의 퇴직연금 적립금이 올 들어 6개월 만에 14조원 증가해 처음으로 345조원을 넘어섰다. 지난 12일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가 의무화되면서 금융권의 퇴직연금 자금 유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은행 보험사 증권사를 포함한 금융권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달 말 기준 345조8140억원으로 작년 말(331조7240억원)보다 14조900억원(4.25%)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시장 점유율이 51.9%로 가장 큰 은행의 적립금이 179조3882억원으로, 반년 새 8조5627억원(5.01%)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퇴직연금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 12곳 중에선 신한은행 적립금이 36조74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은행(33조6491억원) 하나은행(29조4897억원) 기업은행(22조9590억원) 우리은행(21조3034억원) 순이었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중 확정기여(DC)형과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 대한 가입자의 운용 지시가 없으면 회사와 근로자가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투자상품을 운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투자자가 자산을 고르지 않아도 미리 결정한 자산 배분 방식을 통해 연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금융권에선 디폴트옵션 의무화 조치로 가입자의 전반적인 연금계좌 수익률이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기준 판매·운용 중인 223개 디폴트옵션 상품의 6개월 수익률 평균은 약 5.8%로 집계됐다. 1분기 평균 수익률(2.9%)보다 두 배 높다.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지난 2분기 1조1019억원으로 올 1분기(3019억원) 대비 세 배 넘는 규모로 뛰었다. 이 중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이 취급하고 있는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9766억원에 달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퇴직연금 시장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커 은행들도 주목하고 있다”며 “맞춤형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가입자의 수익률을 높이고 고객을 유치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20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은행 보험사 증권사를 포함한 금융권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달 말 기준 345조8140억원으로 작년 말(331조7240억원)보다 14조900억원(4.25%)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시장 점유율이 51.9%로 가장 큰 은행의 적립금이 179조3882억원으로, 반년 새 8조5627억원(5.01%)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퇴직연금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 12곳 중에선 신한은행 적립금이 36조74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은행(33조6491억원) 하나은행(29조4897억원) 기업은행(22조9590억원) 우리은행(21조3034억원) 순이었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중 확정기여(DC)형과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 대한 가입자의 운용 지시가 없으면 회사와 근로자가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투자상품을 운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투자자가 자산을 고르지 않아도 미리 결정한 자산 배분 방식을 통해 연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금융권에선 디폴트옵션 의무화 조치로 가입자의 전반적인 연금계좌 수익률이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기준 판매·운용 중인 223개 디폴트옵션 상품의 6개월 수익률 평균은 약 5.8%로 집계됐다. 1분기 평균 수익률(2.9%)보다 두 배 높다.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지난 2분기 1조1019억원으로 올 1분기(3019억원) 대비 세 배 넘는 규모로 뛰었다. 이 중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이 취급하고 있는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9766억원에 달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퇴직연금 시장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커 은행들도 주목하고 있다”며 “맞춤형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가입자의 수익률을 높이고 고객을 유치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