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대표 과학소설(SF) 드라마 ‘블랙 미러’의 제작자 찰리 브루커는 시즌 1을 선보인 2011년 영국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블랙 미러는 넷플릭스를 대체 불가한 OTT로 키운 일등 공신 중 하나다. SF 옴니버스 드라마로 매회 주인공과 주제가 바뀌는 단편들로 구성돼 있다. 지난 6월 4년 만에 새로운 시즌인 시즌 6이 공개됐다.

브루커가 가디언 인터뷰에서 던진 질문은 블랙 미러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다. 인류가 필요해서 만든 첨단 기술은 과연 인간에게 도움만 되는가. 그 자체로, 혹은 악용돼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가? 물리적인 폭력이 아니어도 우리의 정신을 뒤흔들고 윤리와 존엄성을 무너뜨릴 수 있는가? 그럴 수 있다면, 편리하다는 이유로 다수가 용인하면 그렇게 해도 괜찮은 것인가?
‘블랙 미러’에서 등장하는 미래 사회의 기술들은 참신하고 편리하다. 사고로 숨을 거둔 배우자의 SNS 등 기록을 분석해 그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사람의 모습을 한 인공지능(AI) 로봇은 10년 전인 2013년 시즌 2 <돌아올게>에서 등장했다. 원하지 않는 사람을 내 시야와 인생에서 문자 그대로 지워버리고, 의식의 일부를 잘라 영혼의 분신을 만들어 집안일을 시키고 자백에 활용하는 외전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미래 기술의 집약체다.

단편 속 등장인물들은 새로운 기술들에 적응한 채로 살아간다. 그러나 해피 엔딩은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화에서 인간은 기술의 차가운 면모와 이를 손에 쥔 권력에 당해 좌절하고, 불행해진다. 소수의 저항하는 인간이 있지만, 대부분은 성공하지 못한다.
이들은 기술을 탑재한 시스템에 순응하며 인간성을 저버린다. 군인들은 무고한 시민들을 죽였다는 죄책감을 떨치기 위해 이들을 ‘벌레’로 보이게 감각을 조종하는 기기를 이식한다(시즌 3 <보이지 않는 사람들>). 납치된 영국 공주를 살리기 위해 납치범의 요구대로 돼지와 수간을 하는 수상을 TV로 생중계하는 시간, 영국 시민 모두가 이를 보느라 거리는 텅 빈다(시즌 1 <공주와 돼지>). 꿀벌 드론을 해킹한 살인범이 죽일 인물을 SNS에서 투표할 때 40만명의 시민들이 해시태그(#)와 인물 사진을 업로드하며 동참했다.

지난달 공개된 ‘블랙미러 시즌 6’은 그래서 아쉽다. 1화 <존은 끔찍해>를 제외한 나머지 5화 중 우리의 미래를 상상하고 두렵게 만들 만한 기술이 등장한 화는 없었다. 공포를 자아내기 위한 장치는 괴물과 악마 등 현실에 없는 마법 뿐이었다. 절대 오지 않을 미래는 무섭지 않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