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명 임시주거시설이나 친인척집에 머물러
주택·도로·하천 등 시설피해 1만건 넘어…응급복구율 약 70%
지난 9일부터 계속된 호우로 전국의 주택·도로 등 시설피해가 1만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24일 오전 6시 기준 사유시설 피해는 3천285건(충북1천540, 충남911, 전북333, 경북299 등), 공공시설 피해는 7천638(충북3천399, 경북2천12, 충남1천593, 전북249, 세종186)으로 늘었다.

주택 1천636채가 침수되고 140채가 파손됐다.

상가·공장 침수는 559건이다.

도로·교량 피해는 1천204건이며 산사태 812건, 하천 512건, 소하천 863건 등의 피해도 집계됐다.

응급복구율은 사유시설 66.5%, 공공시설 69.8%다.

일시 대피한 사람은 누적 1만8천418명인데 이 가운데 2천44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임시주거시설이나 친인척집에 머물고 있다.

지난 23∼24일 이틀간의 집중호우로 광주 광산구(56명)와 전남(79명)에서는 침수 및 산사태 우려로 주민들이 대피 중이다.

농작물 침수 면적은 3만5천㏊가 넘었다.

서울의 절반 크기보다 넓은 규모다.

356㏊는 낙과 피해를 봤으며 612ha는 유실되거나 매몰됐다.

닭 등 폐사한 가축은 87만2천마리다.

지난 9일 이후 전국에서 집중호우로 사망한 사람은 47명, 실종자는 3명으로 21일 이후 변동 없다.

현재 도로는 167곳이 통제 중이며 하천변 628곳, 둔치주차장 163곳, 13개 국립공원 316개 탐방로, 숲길 99개 구간도 통제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현재 충청남부, 경북북부, 전라권에 호우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전남권을 중심으로 시간당 20∼30mm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다.

이날 오전까지 전라권을 중심으로 매우 강하고 많은 비가 예상되나 수도권과 강원도는 소강상태이며 그 밖의 지역은 밤부터 소강상태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5일까지 이틀간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강원도 5∼40㎜, 대전·충청남부 10∼60㎜, 세종·충청중·북부 5∼40㎜, 전라권 50∼100㎜, 부산·경남 남해안은 30∼80㎜, 대구·경북·경남내륙 10∼60mm, 제주 10∼60㎜ 등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