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들은 우울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헬스데이 뉴스는 스웨덴 웁살라(Uppsala) 대학 면역·유전·병리학과의 테레세 요한손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 뱅크(UK Biobank) 데이터베이스 중 여성 26만4557명의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면 우울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설문 조사, 1차 진료, 입원 치료 자료를 이용해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과 경구 피임약 복용 여성을 가려내고 경구 피임약과 우울증 사이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경구 피임약을 사용한 여성의 우울증 발생률이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지 않은 여성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 피임약 사용 여성은 사용을 시작한 뒤 첫 2년 동안 우울증 진단율이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이 기간 피임약 사용 여성은 미사용 여성보다 우울증 발생률이 71% 높았지만, 피임약 사용 후 2년이 지나면 우울증 진단율은 피임약 미사용 여성보다 5%밖에 높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사춘기 때 경구 피임약을 사용한 적 있는 여성은 우울증 진단율이 18% 높았고,
과거 피임약을 사용한 시기가 성인기 이후일 때는 우울증 진단율에 별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경구 피임약 사용을 고려할 때는 이 같은 사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역학과 정신의학'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