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3.2% 증가…국제유가 약세에 수출 금액은 22% 감소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량 2억3천만배럴…2년 연속 증가세
올해 상반기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대한석유협회는 국내 정유 4사인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의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량이 2억2천850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3.2% 증가한 것으로, 수출량은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2021년 석유제품 수출량은 코로나 영향으로 1억9천600만 배럴로 급감하며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글로벌 이동 수요 증가 등에 따라 석유제품 수출량이 회복되고 있다.

또 석유화학 경기 둔화에 따른 내수 수요 위축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정유업계가 적극적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고 석유협회는 설명했다.

다만 수출 금액은 국제유가 약세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으로 작년 동기보다 22.1% 감소한 218억1천100만달러를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배럴당 11.4달러에 그쳤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52% 감소한 것이다.

정유업계의 상반기 경영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량 2억3천만배럴…2년 연속 증가세
석유제품 중 최다 수출 품목은 경유로 전체 물량의 41%를 차지했다.

이어 휘발유(20%), 항공유(19%), 나프타(8.0%) 순으로 나타났다.

항공유는 글로벌 여객 수요 증가로 수출량이 작년 동기보다 20.6% 늘었다.

나프타는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수출량이 41% 급증했다.

국가별 수출 순위는 호주(18.2%), 싱가포르(11.8%), 중국(11.2%), 일본(10.1%), 미국(9.6%)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한 호주는 올해 상반기에도 수출 물량이 25.6% 늘었다.

대미 휘발유 수출량도 작년 동기보다 95% 증가한 525만 배럴로 반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 휘발유 재고가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하절기 드라이빙 시즌이 도래하면서 한국 석유제품 수출량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 우려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으로 인해 하반기 수출량 증가세를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석유협회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