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화’표 스펙터클…한국 SF영화 이정표 될 ‘더 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과함께' 이후 5년만의 신작…내달 2일 개봉
고해상도 기술로 우주와 달의 세계 사실적 묘사
선우 ‘개심’ 장면 개연성 부족…호불호 갈릴 듯
고해상도 기술로 우주와 달의 세계 사실적 묘사
선우 ‘개심’ 장면 개연성 부족…호불호 갈릴 듯
태양의 흑점 폭발에 따른 ‘태양풍’의 방해를 이겨내고 달 착륙에 성공한 황선우(도경수 분) 대원. 한국인 최초로 달 표면을 밟는 감격에 젖어들 무렵, 칠흙같은 하늘에서 별처럼 빛나는 유성우(流星雨)가 떨어지기 시작한다. 선우는 달 탐사를 위해 특수 제작한 월면차에 올라 폭탄처럼 지면에서 터지는 유성우를 피해 달 표면을 질주한다.
다음달 2일 개봉하는 영화 ‘더 문’ 중반부에 나오는 유성우 낙하 장면이다. 예고편에도 등장하는 이 장면에선 이전 한국 영화에선 거의 볼 수 없었던 ‘우주 스펙터클’이 그럴 듯하게 펼쳐진다. 마치 관객이 달에 와 있는 듯한 기분이 들 만큼 실감 나고 박진감이 넘친다.
지난 25일 CGV용산 아이맥스(IMAX)관에서 첫 시사회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김용화 감독이 말한 대로 “실제 액션과 시각특수효과(VFX)를 적절히 결합한” 멋진 ‘우주 볼거리’ 중 하나다. 선우가 타는 월면차는 실제로 달에서도 구동되도록 제작했다고 한다.
시나리오를 직접 쓴 김 감독은 극중 달 탐사선인 우주호 발사와 태양풍 사고 이후 살아남은 선우의 달 착륙, 유성우가 쏟아지는 달, 극적인 달 탈출 등 영화 속 장면과 내용에 대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에서 일하는 ‘우주 박사’들에게 과학적 검증과 자문 등을 받았다고 했다. 일반 관객이 영화를 보면서 비과학적이거나 사실과 크게 어긋난 ’옥의 티‘를 찾기란 쉽지 않을 듯 싶다. 영화는 2029년 선우를 포함한 대원 세 명이 탑승한 한국의 두 번째 유인(有人) 달 탐사선 '우리호'가 발사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후 이야기는 태양풍 사고로 달에 홀로 고립되는 선우를 중심으로 5년 전 한국의 첫 유인 달 탐사선 '나래호'의 폭발 사고 이후 지리산 천문대에 칩거 중이었다가 선우를 구조하기 위해 전면에 나서는 전임 우주센터장 재국(설경구), NASA에서 고위직으로 근무 중인 문영(김희애)을 축으로 진행된다. ‘더 문’이 확실히 김용화 감독의 영화임을 드러내는 것은 공들인 VFX와 함께 이 세 명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드라마다. 선우는 5년 전 사고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우주센터 직원(이성민)의 아들이고, 문영은 재국의 전처다. ‘신과함께’ 시리즈에서 익숙한 죄책감과 용서, 화해라는 주제가 다시 등장한다. 전작의 흥행에 큰 역할을 한 드라마적 요소를 이번 영화에도 전면에 내세웠지만 다소 거칠다. 특히 극중에서 서로 마주칠 일이 없는 이 세 명이 원격으로 조우하게 되는 하이라이트 장면은 관객에 따라 호불호가 엇갈릴 대목이다. 재국의 고백에 선우가 마음을 돌리고, 문영이 선우를 구하기 위해 인류애를 호소하는 장면 등에서 직전의 가슴 아픈 전개에 눈물을 흘리다가 함박웃음을 짓는 감정적 쾌감을 경험할 수도 있고,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투덜거릴 수도 있겠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지난 25일 CGV용산 아이맥스(IMAX)관에서 첫 시사회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김용화 감독이 말한 대로 “실제 액션과 시각특수효과(VFX)를 적절히 결합한” 멋진 ‘우주 볼거리’ 중 하나다. 선우가 타는 월면차는 실제로 달에서도 구동되도록 제작했다고 한다.
‘더 문’은 2017년과 2018년 영화 ’신과함께‘ 시리즈 두 편으로 모두 2668만명의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인 ‘쌍천만 감독’이 약 5년만에 내놓은 신작이다. 주호민의 웹툰이 원작인 ’신과함께‘에선 상상력을 총동원해 저승 세계를 기발하게 보여줬다면, ‘더 문’에선 가까운 미래인 2029년을 배경으로 우주와 달의 세계를 과학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시나리오를 직접 쓴 김 감독은 극중 달 탐사선인 우주호 발사와 태양풍 사고 이후 살아남은 선우의 달 착륙, 유성우가 쏟아지는 달, 극적인 달 탈출 등 영화 속 장면과 내용에 대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에서 일하는 ‘우주 박사’들에게 과학적 검증과 자문 등을 받았다고 했다. 일반 관객이 영화를 보면서 비과학적이거나 사실과 크게 어긋난 ’옥의 티‘를 찾기란 쉽지 않을 듯 싶다. 영화는 2029년 선우를 포함한 대원 세 명이 탑승한 한국의 두 번째 유인(有人) 달 탐사선 '우리호'가 발사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후 이야기는 태양풍 사고로 달에 홀로 고립되는 선우를 중심으로 5년 전 한국의 첫 유인 달 탐사선 '나래호'의 폭발 사고 이후 지리산 천문대에 칩거 중이었다가 선우를 구조하기 위해 전면에 나서는 전임 우주센터장 재국(설경구), NASA에서 고위직으로 근무 중인 문영(김희애)을 축으로 진행된다. ‘더 문’이 확실히 김용화 감독의 영화임을 드러내는 것은 공들인 VFX와 함께 이 세 명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드라마다. 선우는 5년 전 사고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우주센터 직원(이성민)의 아들이고, 문영은 재국의 전처다. ‘신과함께’ 시리즈에서 익숙한 죄책감과 용서, 화해라는 주제가 다시 등장한다. 전작의 흥행에 큰 역할을 한 드라마적 요소를 이번 영화에도 전면에 내세웠지만 다소 거칠다. 특히 극중에서 서로 마주칠 일이 없는 이 세 명이 원격으로 조우하게 되는 하이라이트 장면은 관객에 따라 호불호가 엇갈릴 대목이다. 재국의 고백에 선우가 마음을 돌리고, 문영이 선우를 구하기 위해 인류애를 호소하는 장면 등에서 직전의 가슴 아픈 전개에 눈물을 흘리다가 함박웃음을 짓는 감정적 쾌감을 경험할 수도 있고,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투덜거릴 수도 있겠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