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배터리 수요 폭발…LG엔솔·삼성SDI '활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배터리, 2분기 사상최대 실적
LG엔솔, 매출 6분기 연속 최대
삼성SDI, 영업이익률 7%대 회복
LG엔솔, 매출 6분기 연속 최대
삼성SDI, 영업이익률 7%대 회복
국내 배터리 ‘투톱’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나란히 올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배터리 수요 증가 덕분이다. 두 회사는 북미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배터리 판매를 늘리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적극 공략해 실적 호조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2분기 매출 8조7735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27일 공시했다. 작년 동기 대비 각각 73%, 135.5% 늘어난 수치다. 상반기 매출은 17조5206억원, 영업이익은 1조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회사의 매출은 여섯 분기 연속 최대 기록을 이어갔다. 영업이익도 반기 기준 역대 최대였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한 1공장의 안정적 양산, 원통형 배터리 판매 증가, 공정 수율 증대 등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2분기 영업이익엔 GM 전기차 쉐보레 볼트 EV 리콜 충당금 관련 금액 1510억원이 반영됐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생산세액공제(AMPC) 1109억원이 이를 상쇄했다. AMPC는 배터리 업체가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셀과 모듈에 대해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아직 북미에 생산 기지를 갖추지 못한 삼성SDI는 AMPC 혜택이 없었음에도 호실적을 거뒀다. 이 회사의 2분기 매출은 5조8406억원, 영업이익은 4502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2%, 4.9% 증가했다.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상반기 매출은 11조1954억원, 영업이익은 8256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7%대를 회복했다.
삼성SDI 관계자는 “2분기 중대형 배터리 사업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견인했다”며 “특히 고부가 배터리인 전기차용 각형 P5 판매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BMW와 아우디, 리비안 등이 이 회사의 주요 고객사다. 이와 함께 전력, 무정전전원장치(UPS)용 ESS 판매 증대도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꼽혔다.
배터리업계는 올 하반기 원자재 가격 변동과 전기차 수요 감소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LG에너지솔루션은 올 2분기 매출 8조7735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27일 공시했다. 작년 동기 대비 각각 73%, 135.5% 늘어난 수치다. 상반기 매출은 17조5206억원, 영업이익은 1조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회사의 매출은 여섯 분기 연속 최대 기록을 이어갔다. 영업이익도 반기 기준 역대 최대였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한 1공장의 안정적 양산, 원통형 배터리 판매 증가, 공정 수율 증대 등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2분기 영업이익엔 GM 전기차 쉐보레 볼트 EV 리콜 충당금 관련 금액 1510억원이 반영됐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생산세액공제(AMPC) 1109억원이 이를 상쇄했다. AMPC는 배터리 업체가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셀과 모듈에 대해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아직 북미에 생산 기지를 갖추지 못한 삼성SDI는 AMPC 혜택이 없었음에도 호실적을 거뒀다. 이 회사의 2분기 매출은 5조8406억원, 영업이익은 4502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2%, 4.9% 증가했다.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상반기 매출은 11조1954억원, 영업이익은 8256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7%대를 회복했다.
삼성SDI 관계자는 “2분기 중대형 배터리 사업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견인했다”며 “특히 고부가 배터리인 전기차용 각형 P5 판매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BMW와 아우디, 리비안 등이 이 회사의 주요 고객사다. 이와 함께 전력, 무정전전원장치(UPS)용 ESS 판매 증대도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꼽혔다.
배터리업계는 올 하반기 원자재 가격 변동과 전기차 수요 감소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