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정책소식지 발행…기초과학전문기관 유치 등 저변 확대 필요
"경남 기초과학 인력 전국의 4%, 투자규모 1% 불과"
경남 기초과학 인력이 전국 대비 4%,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전국 대비 1%에 불과해 기초과학분야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기초과학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28일 발행한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조현진 연구위원이 '경남의 기초과학 현황과 육성방안'이라는 주제의 글을 실어 경남 기초과학 관련기관과 인력, 투자현황을 바탕으로 기초과학 육성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글에서 조 연구위원은 국가주도 기초과학 육성정책은 1989년 최초로 제정된 기초과학연구진흥법과 2002년 개정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을 근간으로 꾸준히 시행됐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교육부 등 정부는 연구기관, 연구인력 및 연구성과 도약을 목표로 다양한 기초연구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 등 외국에서도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하는 등 적극적인 과학기술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산업발전을 토대로 성장한 경남은 응용기술, 산업화 투자는 활발하고 관련 기관과 인력도 집적된 반면,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경남 기초과학 인력은 전국 대비 약 4%,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전국 대비 약 1%로 나타나 기초과학 분야에서 성과를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언급했다.

조 연구위원은 "경남 기초과학 육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초과학의 중요성 인식, 기초과학문화 확산이 시급하다"며 "기초과학연구원, 고등과학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등 도내에 기초과학 전문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KAIST, KIST 분원 설립 등으로 저변을 확대하면서 경남도 주도적인 기초과학 육성 정책 수립과 추진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