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초중고 교사 100명 극단 선택…절반 이상 초등 교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 발표
원인 파악된 30명 중 53% '우울증·공황장애'
원인 파악된 30명 중 53% '우울증·공황장애'
최근 6년간 초중고 교사 100명이 극단 선택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숨진 교사 중 절반이 초등교사였다. 원인 불명을 제외하면 우울증·공황장애로 인해 숨진 사례가 과반이었다.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취합한 교육부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 선택으로 숨졌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교사가 57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 교사 28명, 중학교 교사 15명 순이었다. 지난해 초중고 전체 교사(44만명) 중 초등교사가 44%로 가장 많은 것을 감안해도, 초등 교사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 수는 2018년 14명→2019년 16명→2020년 18명→2021년 22명으로 4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19명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상반기엔 11명으로 나타났다. 교육 당국이 '원인 불명'으로 분류한 70명을 제외하고 30명 중 절반 이상인 16명(53.3%)은 '우울증·공황장애'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어 '가족갈등' 4명, '신변비관'과 '질병비관' 각각 3명, '병역의무' 2명 등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사례 중 약 40%(서울 13명, 경기 22명, 인천 3명)가 학생·학교·교사 수가 많은 수도권 지역에서 일하던 교사였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8명), 충남(7명), 전남·전북(각각 6명), 강원·대구·대전(각각 5명), 울산·경남(각각 4명), 세종(3명)이 뒤를 이었다. 광주·제주·충북교육청은 6년 간 해당 공립 초·중·고 교사가 없었다. 한편 전날 서울 종로구의 사직로 광화문 일대에서는 교사들의 자발적 모임인 '전국교사일동'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를 열었다. 폭염 속 3만여명의 교사들은 최근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등교사를 추모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권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 달라"고 주장했다.
학부모가 교사에게 상해·폭행을 가하거나 끊임없이 악성 민원을 제기하고 수업을 방해하는 사례는 최근 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학부모·보호자 등 일반인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사례는 2019학년도 227건에서 코로나19 유행으로 등교수업이 줄었던 2020년 116건, 2021년 171건으로 줄었다가 2022년 202건으로 다시 늘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 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 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취합한 교육부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 선택으로 숨졌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교사가 57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 교사 28명, 중학교 교사 15명 순이었다. 지난해 초중고 전체 교사(44만명) 중 초등교사가 44%로 가장 많은 것을 감안해도, 초등 교사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 수는 2018년 14명→2019년 16명→2020년 18명→2021년 22명으로 4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19명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상반기엔 11명으로 나타났다. 교육 당국이 '원인 불명'으로 분류한 70명을 제외하고 30명 중 절반 이상인 16명(53.3%)은 '우울증·공황장애'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어 '가족갈등' 4명, '신변비관'과 '질병비관' 각각 3명, '병역의무' 2명 등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사례 중 약 40%(서울 13명, 경기 22명, 인천 3명)가 학생·학교·교사 수가 많은 수도권 지역에서 일하던 교사였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8명), 충남(7명), 전남·전북(각각 6명), 강원·대구·대전(각각 5명), 울산·경남(각각 4명), 세종(3명)이 뒤를 이었다. 광주·제주·충북교육청은 6년 간 해당 공립 초·중·고 교사가 없었다. 한편 전날 서울 종로구의 사직로 광화문 일대에서는 교사들의 자발적 모임인 '전국교사일동'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를 열었다. 폭염 속 3만여명의 교사들은 최근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등교사를 추모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권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 달라"고 주장했다.
학부모가 교사에게 상해·폭행을 가하거나 끊임없이 악성 민원을 제기하고 수업을 방해하는 사례는 최근 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학부모·보호자 등 일반인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사례는 2019학년도 227건에서 코로나19 유행으로 등교수업이 줄었던 2020년 116건, 2021년 171건으로 줄었다가 2022년 202건으로 다시 늘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 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 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