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지휘하고 싶다…'꿈의 무대' 둘러싼 父子의 신경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화 '마에스트로'
'라스칼라' 지휘자 놓고 벌이는
父子의 꼬인 관계와 질투 그려
지휘 장면·배경음악 인상깊지만
현실성 부족한 결말은 아쉬워
'라스칼라' 지휘자 놓고 벌이는
父子의 꼬인 관계와 질투 그려
지휘 장면·배경음악 인상깊지만
현실성 부족한 결말은 아쉬워
아르투로 토스카니니(1867~1957), 툴리오 세라핀(1878~1968), 빅토르 데 사바타(1892~1967),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1914~2005), 클라우디오 아바도(1933~2014), 리카르도 무티(1941~), 리카르도 샤이(1953~)…. 클래식 애호가라면 누구나 들어봤음직 한 전설적인 지휘자들이다. 이들은 모두 이탈리아 태생인데 또 하나의 공통점은 밀라노 라스칼라 극장에서 상임지휘자 또는 음악감독을 지냈다는 것이다. 월드클래스 지휘자들과 함께 세계 최고 권위의 오페라극장으로 성장한 라스칼라는 지휘자나 성악가라면 누구나 서고 싶어 하는 ‘꿈의 무대’로 통한다.
오는 9일 개봉하는 영화 ‘마에스트로’는 라스칼라 차기 음악감독 자리를 두고 아버지와 아들이 경쟁하는 해프닝을 다룬다. 영화는 클래식 지휘자들의 얘기지만 가족영화에 가깝다. ‘열렬한 클래식 애호가’라고 자평하는 프랑스 영화감독 브뤼노 시슈가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했다.
영화는 아들 드니 뒤마르(이반 아탈 분)가 프랑스의 권위 있는 음악상 빅투아르상을 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는 상패를 받고 객석을 바라보는데 아버지 프랑수아 뒤마르(피에르 아르티니 분)가 앉아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아버지는 집에서 TV를 통해 아들의 시상식 장면을 보고 있다. 아들이 일종의 자축무대로 자신의 오케스트라와 연주를 시작할 무렵. 아버지는 TV를 끄고 축음기에서 자신이 녹음한 듯한 음반을 튼다. 이때 흐르는 음악이 성악곡인 ‘어머니가 가르쳐준 노래’다. 작곡가인 드보르자크가 자녀 세 명을 병환으로 먼저 떠나보낸 직후 지은 곡이다. 프랑수아는 이 노래를 들으며 묘한 표정을 짓는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어느 날 라스칼라 측의 실수 때문에 더욱 꼬이게 된다. 드니에게 제안해야 할 라스칼라 음악감독 자리를 프랑수아에게 해버렸기 때문이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이런 상황을 직접 설명해야 하는 처지가 된다. 우여곡절 끝에 사건이 해결된 뒤 아들은 녹음실에서 모차르트의 성가곡 ‘주님을 찬양하라’를 지휘한다. 아버지 못지않게 라스칼라 음악감독이 되고 싶었던 아들의 환희가 소프라노의 밝은 목소리와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배경 음악을 알고 영화를 본다면 더욱 깊이 있게 주인공들의 심경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법하지만 몰라도 문제는 없다.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가 세밀하고 정교해서다. 예를 들어 드니가 자신의 아들 마티유와 피아노 의자에 나란히 앉아 브람스의 간주곡(인터미션) 7번을 왼손과 오른손 파트로 나눠 함께 연주하며 서먹서먹했던 관계를 푸는 장면이 나온다. 가슴이 뭉클해지는 이 장면에서 연주곡 제목을 몰라도 감동의 크기엔 전혀 영향이 없을 듯하다.
현실성 없는 엔딩은 호불호가 나뉠 수 있다. 영화 포스터 사진으로 쓰이기도 했는데 아들이 라스칼라 데뷔 무대에서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서곡을 연주할 때 아버지도 지휘를 하고 있다. 차라리 아들의 연주가 끝난 다음 아버지가 객석에서 일어나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는 정도로 마무리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버지와 아들 지휘자 역을 각각 맡은 아르티니와 아탈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연기파 배우답게 뛰어난 내면 연기를 보여준다. 이들의 개성 넘치는 ‘지휘 모습’도 인상적이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
오는 9일 개봉하는 영화 ‘마에스트로’는 라스칼라 차기 음악감독 자리를 두고 아버지와 아들이 경쟁하는 해프닝을 다룬다. 영화는 클래식 지휘자들의 얘기지만 가족영화에 가깝다. ‘열렬한 클래식 애호가’라고 자평하는 프랑스 영화감독 브뤼노 시슈가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했다.
영화는 아들 드니 뒤마르(이반 아탈 분)가 프랑스의 권위 있는 음악상 빅투아르상을 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는 상패를 받고 객석을 바라보는데 아버지 프랑수아 뒤마르(피에르 아르티니 분)가 앉아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아버지는 집에서 TV를 통해 아들의 시상식 장면을 보고 있다. 아들이 일종의 자축무대로 자신의 오케스트라와 연주를 시작할 무렵. 아버지는 TV를 끄고 축음기에서 자신이 녹음한 듯한 음반을 튼다. 이때 흐르는 음악이 성악곡인 ‘어머니가 가르쳐준 노래’다. 작곡가인 드보르자크가 자녀 세 명을 병환으로 먼저 떠나보낸 직후 지은 곡이다. 프랑수아는 이 노래를 들으며 묘한 표정을 짓는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는 어느 날 라스칼라 측의 실수 때문에 더욱 꼬이게 된다. 드니에게 제안해야 할 라스칼라 음악감독 자리를 프랑수아에게 해버렸기 때문이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이런 상황을 직접 설명해야 하는 처지가 된다. 우여곡절 끝에 사건이 해결된 뒤 아들은 녹음실에서 모차르트의 성가곡 ‘주님을 찬양하라’를 지휘한다. 아버지 못지않게 라스칼라 음악감독이 되고 싶었던 아들의 환희가 소프라노의 밝은 목소리와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배경 음악을 알고 영화를 본다면 더욱 깊이 있게 주인공들의 심경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법하지만 몰라도 문제는 없다.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가 세밀하고 정교해서다. 예를 들어 드니가 자신의 아들 마티유와 피아노 의자에 나란히 앉아 브람스의 간주곡(인터미션) 7번을 왼손과 오른손 파트로 나눠 함께 연주하며 서먹서먹했던 관계를 푸는 장면이 나온다. 가슴이 뭉클해지는 이 장면에서 연주곡 제목을 몰라도 감동의 크기엔 전혀 영향이 없을 듯하다.
현실성 없는 엔딩은 호불호가 나뉠 수 있다. 영화 포스터 사진으로 쓰이기도 했는데 아들이 라스칼라 데뷔 무대에서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서곡을 연주할 때 아버지도 지휘를 하고 있다. 차라리 아들의 연주가 끝난 다음 아버지가 객석에서 일어나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는 정도로 마무리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버지와 아들 지휘자 역을 각각 맡은 아르티니와 아탈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연기파 배우답게 뛰어난 내면 연기를 보여준다. 이들의 개성 넘치는 ‘지휘 모습’도 인상적이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