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만원으로 창업한 이 회사…"전국 사장님들 홀렸다" [긱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0년 창업, 2013년 법인을 설립한 아임웹은 한참 뒤인 2021년 첫 외부 투자를 받았습니다.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알토스벤처스가 100억원을 투자한 건데요. 아임웹은 '노 코드'로 소규모 커머스 사업자들을 위한 웹사이트를 제작해주는 솔루션을 내놨습니다. 이미 60만 개의 웹사이트가 아임웹을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한경 긱스(Geeks)가 중견 스타트업으로 도약한 아임웹의 이수모 대표를 만났습니다.
'노 코드'와 '로우 코드'는 최근 몇 년 새 각광받는 키워드로 떠올랐다. 로우 코드는 최소한의 코딩만으로 제품을 만드는 것을 뜻하고, 노 코드는 아예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개발자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거나, 개발을 잘 모르는 사람이 앱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어 최근 주목받는 개념이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2020년 말 세상을 뒤흔들 기술 중 하나로 로우 코드를 꼽았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내년에 나올 모바일 앱의 약 70%는 로우 코드와 노 코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하기도 했다.
업력 10년을 넘긴 '형님' 스타트업 아임웹은 일찌감치 노 코드가 소상공인을 위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회사는 소규모 커머스 사업자들이 쉽게 웹사이트를 만들고 성과 지표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내놨다. 코딩 없이, 개발 인력 없이 꽤 고품질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 소규모 '셀러'가 늘어나는 최근 몇 년 간 입소문을 타고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알토스벤처스가 이 회사의 첫 외부 투자 라운드에 100억원을 투입한 것도 성장세를 눈여겨봐서다.
한경 긱스(Geeks)와 만난 이수모 아임웹 대표는 "상위 20%를 위한 서비스보다는, 나머지 80%를 위한 서비스를 만드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커머스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 매출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자를 타깃으로 삼은 이유다. 이를 위해 무조건 '편한' 서비스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 우선 소상공인들은 인력이 부족하다. 당연히 예산도 적다. 그래서 클릭 몇 번으로 웹사이트 구축을 가능케 했다. 마우스로 원하는 요소를 끌어다 놓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적용했다. HTML이나 CSS 같은 복잡한 개발 용어는 아예 몰라도 되게끔 했다. '노 코드'의 핵심이다. 소상공인의 예산이 적은 만큼 웹페이지 구축을 넘어 마케팅까지 한 번에 도울 수 있게 만들었다. 이 대표는 "아임웹을 통해 구축한 웹사이트 안에서 모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관계관리(CRM) 등의 기능을 넣어 마케팅 통합 솔루션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예를 들어 누가 가입했는지, 어떤 주문이 들어왔는지, SNS 광고 성과는 어떤지 등을 대시보드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쌓아 온 성과는 숫자로도 드러난다. 무료 버전을 이용하거나 월 1만6000~4만원 수준의 금액을 지불하는 네 종류의 요금제가 있는데, 유료 버전을 이용하는 고객사 수가 5만 개를 넘어섰다. 지금까지 아임웹을 통해 개설된 웹사이트 수는 60만 개다. 이 대표는 "고객사들의 누적 거래액을 모두 합치면 약 3조원"이라며 "작년에만 9000억원, 올해는 1조원의 거래액이 예상될 정도로 증가세가 가파르다"고 귀띔했다.
그가 또 신경 쓰는 부분은 '디자인'이다. 우선 템플릿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틀에 박힌 형태의 웹사이트가 아닌, 30개 이상의 감각적인 디자인을 담은 템플릿을 제공한다. 작은 요소들의 크기나 모양을 이리 저리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템플릿이지만 '템플릿스럽지 않다'는 게 이 대표의 말이다. 애플을 찾는 소비자가 직관과 감성을 겸비한 UX·UI에 반했듯 아임웹을 찾는 사람들도 한 번 빠지면 계속 쓰게 되는 '록인 효과'를 노리고 있다.
그렇게 직장 생활 11년차던 2010년, 자본금 400만원을 들고 창업에 뛰어들었다. 2013년 법인으로 전환했다. 때마침 스마트폰 보급으로 모바일 열풍이 불고 있었다. 창업 초기에는 모바일 앱을 만들어주는 서비스인 '코코아앰'을 내놨다. 어린이집이나 태권도 학원처럼 모바일 기능이 있으면 편리하지만 만들 여력이 없던 중소 사업자들 사이에서 꽤 입소문을 탔다. 직원 20명을 둘 정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2015년 데스밸리에 봉착했다. 성과 지표는 추락했고, 매입했던 연희동 본사 건물에 돈이 묶여 현금도 부족해졌다. 공동 창업자는 회사를 나갔고,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했다. 이 대표는 "모바일에만 치중했던 게 패착"이라며 "이용자들은 모바일 페이지 못지않게 PC 버전에 대한 수요도 많았지만, 두 기기 간 호환이 잘 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목소리가 커졌다"고 돌아봤다.
살아남기 위해 서비스를 뜯어고쳤다. 서비스는 하나의 버전만 만들어도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화면 크기나 기능 등이 연동되도록 하는 '반응형 웹' 형태로 탈바꿈했다. 커머스 기능도 넣었다. 서비스명과 사명도 아임웹으로 바꿨다. 직원들은 이미 대형 업체들이 주름잡고 있는 이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에 물음표를 던졌다. 하지만 이 대표는 성공을 확신했다. 그는 "웹사이트 제작이 불편하고 어렵고 획일화돼 있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이 분야 '페인 포인트'를 확실하게 알고 있었다"며 "디자이너 출신이라 더 잘 이해할 수 있던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다 2021년, 법인 설립 8년 만에 외부 투자를 받았다. '유니콘 제조기' 알토스벤처스가 100억원을 쐈다. 자금 조달 없이도 충분히 회사 유지가 가능했지만, 이 대표는 더 큰 성장을 선택했다. 알토스벤처스도 소상공인의 버팀목이 돼주겠다는 아임웹의 비전에 공감했다. 투자 유치 이후 구글 출신 최고기술책임자(CTO)와 골드만삭스 IB 출신 전략 담당자 등 인재 영입에 나섰다.
이제 아임웹이 그리는 미래는 '판매자 중심'의 생태계를 만드는 데 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소비자 입장에서는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구성돼 있지만, 정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판매자(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여전히 불편한 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했다. 앞으로 5년 안에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될 수 있을 만큼 인지도를 높여 성장하는 목표를 세웠다.
업력이 오래된 중견 스타트업으로서 이 대표는 후배 창업가들에게 "사람의 무게를 견디는 게 창업"이라고 조언했다. 리더가 돼 직원들을 이끌어나갈 준비가 됐느냐는 반문이다.
그는 "나를 믿고 따라주는 팀원에게 매달 꼬박꼬박 월급을 챙겨주는 게 어떻게 보면 엄청난 압박감으로 다가온다"며 "내가 한 사람을 책임질 수 있을지를 끊임없이 고민한 결과가 사업의 성공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업력 10년을 넘긴 '형님' 스타트업 아임웹은 일찌감치 노 코드가 소상공인을 위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회사는 소규모 커머스 사업자들이 쉽게 웹사이트를 만들고 성과 지표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내놨다. 코딩 없이, 개발 인력 없이 꽤 고품질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 소규모 '셀러'가 늘어나는 최근 몇 년 간 입소문을 타고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알토스벤처스가 이 회사의 첫 외부 투자 라운드에 100억원을 투입한 것도 성장세를 눈여겨봐서다.
유료 이용 고객사 5만 곳 확보한 스타트업
사실 이런 '웹빌더' 분야는 대형 업체들간 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아임웹뿐 아니라 카페24나 식스샵, 고도몰 같은 업체가 시장에 포진해 있다. 그럼에도 회사가 자신감을 내비치는 이유엔 '편의성'과 '다양성'이라는 키워드가 있다.한경 긱스(Geeks)와 만난 이수모 아임웹 대표는 "상위 20%를 위한 서비스보다는, 나머지 80%를 위한 서비스를 만드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커머스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 매출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자를 타깃으로 삼은 이유다. 이를 위해 무조건 '편한' 서비스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 우선 소상공인들은 인력이 부족하다. 당연히 예산도 적다. 그래서 클릭 몇 번으로 웹사이트 구축을 가능케 했다. 마우스로 원하는 요소를 끌어다 놓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적용했다. HTML이나 CSS 같은 복잡한 개발 용어는 아예 몰라도 되게끔 했다. '노 코드'의 핵심이다. 소상공인의 예산이 적은 만큼 웹페이지 구축을 넘어 마케팅까지 한 번에 도울 수 있게 만들었다. 이 대표는 "아임웹을 통해 구축한 웹사이트 안에서 모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관계관리(CRM) 등의 기능을 넣어 마케팅 통합 솔루션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예를 들어 누가 가입했는지, 어떤 주문이 들어왔는지, SNS 광고 성과는 어떤지 등을 대시보드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쌓아 온 성과는 숫자로도 드러난다. 무료 버전을 이용하거나 월 1만6000~4만원 수준의 금액을 지불하는 네 종류의 요금제가 있는데, 유료 버전을 이용하는 고객사 수가 5만 개를 넘어섰다. 지금까지 아임웹을 통해 개설된 웹사이트 수는 60만 개다. 이 대표는 "고객사들의 누적 거래액을 모두 합치면 약 3조원"이라며 "작년에만 9000억원, 올해는 1조원의 거래액이 예상될 정도로 증가세가 가파르다"고 귀띔했다.
그가 또 신경 쓰는 부분은 '디자인'이다. 우선 템플릿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틀에 박힌 형태의 웹사이트가 아닌, 30개 이상의 감각적인 디자인을 담은 템플릿을 제공한다. 작은 요소들의 크기나 모양을 이리 저리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템플릿이지만 '템플릿스럽지 않다'는 게 이 대표의 말이다. 애플을 찾는 소비자가 직관과 감성을 겸비한 UX·UI에 반했듯 아임웹을 찾는 사람들도 한 번 빠지면 계속 쓰게 되는 '록인 효과'를 노리고 있다.
400만원 들고 창업 나선 디자이너
이 대표가 디자인을 강조한 이유는 그의 독특한 이력에 있다. 그는 디자이너 출신이다. 시각디자인학을 전공하고 웹디자이너로 일했다. 2000년 닷컴 버블이 일 즈음 중소기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제조 기반 중소기업 특유의 보수적인 문화가 썩 마음에 들지 않았다. 벤처기업들이 우후죽순 생기던 시기라 언젠가는 IT 기업에서 자유로운 문화를 누리고 싶었다. 디자이너로 일하다 보니 틀에 박힌 형태, 이용자가 맞춰야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반감을 갖게 됐다.그렇게 직장 생활 11년차던 2010년, 자본금 400만원을 들고 창업에 뛰어들었다. 2013년 법인으로 전환했다. 때마침 스마트폰 보급으로 모바일 열풍이 불고 있었다. 창업 초기에는 모바일 앱을 만들어주는 서비스인 '코코아앰'을 내놨다. 어린이집이나 태권도 학원처럼 모바일 기능이 있으면 편리하지만 만들 여력이 없던 중소 사업자들 사이에서 꽤 입소문을 탔다. 직원 20명을 둘 정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2015년 데스밸리에 봉착했다. 성과 지표는 추락했고, 매입했던 연희동 본사 건물에 돈이 묶여 현금도 부족해졌다. 공동 창업자는 회사를 나갔고,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했다. 이 대표는 "모바일에만 치중했던 게 패착"이라며 "이용자들은 모바일 페이지 못지않게 PC 버전에 대한 수요도 많았지만, 두 기기 간 호환이 잘 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목소리가 커졌다"고 돌아봤다.
살아남기 위해 서비스를 뜯어고쳤다. 서비스는 하나의 버전만 만들어도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화면 크기나 기능 등이 연동되도록 하는 '반응형 웹' 형태로 탈바꿈했다. 커머스 기능도 넣었다. 서비스명과 사명도 아임웹으로 바꿨다. 직원들은 이미 대형 업체들이 주름잡고 있는 이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에 물음표를 던졌다. 하지만 이 대표는 성공을 확신했다. 그는 "웹사이트 제작이 불편하고 어렵고 획일화돼 있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이 분야 '페인 포인트'를 확실하게 알고 있었다"며 "디자이너 출신이라 더 잘 이해할 수 있던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법인 설립 8년 만에 첫 투자 유치
아임웹의 성장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렸다.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e커머스 수요가 늘자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2016년 7월 베타 서비스 출시 이후 고객사들의 거래액 합이 1조원에 도달했던 시점은 4년2개월 뒤인 2020년 9월이었지만, 그 후 2조원 달성까지는 1년4개월, 3조원은 1년1개월이 걸렸다. 연간 영업이익도 꾸준히 20억~30억원을 거뒀다.그러다 2021년, 법인 설립 8년 만에 외부 투자를 받았다. '유니콘 제조기' 알토스벤처스가 100억원을 쐈다. 자금 조달 없이도 충분히 회사 유지가 가능했지만, 이 대표는 더 큰 성장을 선택했다. 알토스벤처스도 소상공인의 버팀목이 돼주겠다는 아임웹의 비전에 공감했다. 투자 유치 이후 구글 출신 최고기술책임자(CTO)와 골드만삭스 IB 출신 전략 담당자 등 인재 영입에 나섰다.
이제 아임웹이 그리는 미래는 '판매자 중심'의 생태계를 만드는 데 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소비자 입장에서는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구성돼 있지만, 정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판매자(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여전히 불편한 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했다. 앞으로 5년 안에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될 수 있을 만큼 인지도를 높여 성장하는 목표를 세웠다.
업력이 오래된 중견 스타트업으로서 이 대표는 후배 창업가들에게 "사람의 무게를 견디는 게 창업"이라고 조언했다. 리더가 돼 직원들을 이끌어나갈 준비가 됐느냐는 반문이다.
그는 "나를 믿고 따라주는 팀원에게 매달 꼬박꼬박 월급을 챙겨주는 게 어떻게 보면 엄청난 압박감으로 다가온다"며 "내가 한 사람을 책임질 수 있을지를 끊임없이 고민한 결과가 사업의 성공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