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낮 경상해안에 오를 듯…미·일·중도 상륙 예상 마찬가지
2020년 특별재난지역 선포 부른 하이선과 경로 비슷할 듯
장마 수해 복구 아직인데 태풍 상륙 전망…각국 예상은
제6호 태풍 카눈이 10일 낮 경상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상이 걸렸다.

지난 장맛비 수해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기상청이 6일 오전 10시 발표한 태풍정보와 이후 진행한 브리핑을 종합하면 이날 오전 9시 일본 오키나와 북동쪽 190㎞ 해상을 지난 카눈은 7일 오전 9시 오키나와 동북동쪽 해상에 이른 뒤 이동 방향을 북쪽으로 틀 전망이다.

이후 카눈은 9일 새벽과 아침 사이 규슈 서쪽 해상에 진입하고 9일 밤 동해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규슈 동쪽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는데 서쪽을 스치듯 지나가는 것으로 예상이 조정됐다.

카눈이 경상해안에 상륙하는 시점은 10일 낮, 동해북부해상으로 다시 빠져나가는 때는 11일 새벽으로 예상됐다.

각국 기상당국도 카눈의 국내 상륙을 예상한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6일 정오(한국시간) 예보에서 카눈이 10일 오전 9시 대마도에 이른 뒤 북서진을 거듭해 부산으로 상륙하는 경로를 제시했다.

일본 기상청도 카눈이 10일 오전 대마도 인근을 지나 부산 동쪽으로 상륙할 것으로 JTWC와 비슷하게 전망 중이다.

중국 중앙기상대와 대만 교통부 중앙기상국 전망도 큰 틀에서 미국이나 일본과 다르지 않다.

장마 수해 복구 아직인데 태풍 상륙 전망…각국 예상은
주요 수치예모보델들이 모의한 카눈 예상 경로도 상륙으로 모이고 있다.

6일 오전 3시 유럽 중기예보센터 모델(ECMWF) 전망치 평균(앙상블 평균)은 카눈이 대마도보다는 제주에 가깝게 지나면서 전남남해안에 상륙하는 경로다.

같은 시각 미국 대기해양청 모델(GEFS)은 JTWC 전망과 비슷한 경로를 유력 경로로 제시했다.

장마 수해 복구 아직인데 태풍 상륙 전망…각국 예상은
기상청은 카눈 동쪽에서 발달하는 열대저압부 발달 정도와 위치, 북태평양고기압 확장세, 대기 상층에서 우리나라로 북서쪽에서 접근해오는 기압골 위상 등이 카눈 진로의 열쇠를 쥔 것으로 분석했다.

박정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열대저압부가 발달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 아래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동쪽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대기 상층 기압골은 태풍을 북쪽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기상청 예상 경로대로면 9일 밤부터 10일 밤까지 부산·울산·경남, 10일 새벽부터 11일 오전까지 대구·경북·충북, 10일 아침부터 11일 낮까지 강원과 경기동부가 바람의 풍속이 15㎧ 이상인 태풍의 강풍반경에 들 전망이다.

카눈 예상 경로는 2020년 9월 6~7일 국내에 영향을 준 태풍 하이선과 비슷하다.

당시 하이선 때문에 2명이 실종되고 5명이 부상했으며 1천213건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하이선이 이전 태풍 마이삭과 함께 큰 피해를 일으키면서 5개 시군, 19개 읍면동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기도 했다.

지난달 장마로 발생한 수해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가운데 카눈의 상륙이 예상되면서 피해가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최근 한 달간 누적 강수량은 전국 평균 473.2㎜로 평년 치(284.6㎜)의 1.5배가 넘는다.

카눈의 영향으로 7~10일 강원영동과 경상동해안을 중심으로 비가 내리고 9~10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오겠다.

강원영동과 경상동해안, 울릉도, 독도에는 9~10일 강한 비바람이 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