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성모병원 "로봇으로 뇌사자 신장 이식받은 50대 회복해 퇴원"
"국내 최초 '뇌사자 기증 신장' 로봇이식 수술 성공"
국내 최초로 로봇을 이용해 뇌사자기 기증한 신장을 이식하는 수술이 성공했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은 지난달 만성 사구체신염으로 투병 중이던 50대 여성 환자가 로봇 수술로 뇌사자의 신장을 이식받고 12일 만에 회복해 퇴원했다고 7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이식팀은 수술용 로봇을 이용해 A씨의 하복부를 6㎝가량으로 최소 절개하고 기증 신장을 넣은 다음, 로봇 팔이 들어갈 수 있는 1㎝ 크기의 작은 구멍 4개를 통해 혈관을 문합하는 데 성공했다.

병원은 "일반적 개복수술을 통한 신장이식의 경우 절개창이 약 20㎝에 이르고, 수술 후 환자의 통증이 심해 비교적 회복이 더딘 한편 흉터 또한 크게 남는다"며 로봇수술은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병원에 따르면 이번 뇌사자 공여 신장이식 로봇 수술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뤄졌다.

그동안 국내 로봇 신장이식 수술은 뇌사가 아닌 살아있는 상태에서 장기를 기증하는 '생체 공여' 사례에서만 시행됐다.

장기이식에서는 당사자 간 이식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한데, 뇌사자 공여 이식의 경우 사전 검사 등 준비가 어렵고 빨리 대상을 선정해 수술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수술을 집도한 가톨릭대학교 혈관이식외과 황정기 교수는 "신장이식을 받는 분 중에서는 동맥경화 등 혈관질환으로 인해 로봇 혈관 문합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뇌사자 공여는 이식 후 콩팥기능지연이 생길 가능성도 커 로봇수술 조건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병원은 공여자와 환자의 혈관 건강 상태 등이 좋았고, 병원에서 최근 혈액검사 기록 등을 보유하고 있었던 점 등이 수술 요건에 부합해 로봇수술 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국내 신장이식 중 40% 정도가 뇌사자 공여 장기로 시행되는 만큼 이번 수술이 뇌사자 공여 이식 최소침습수술 활성화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