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주식 사들인 외국인…6년만에 중국 추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인 주식 투자자들이 최근 경기둔화를 겪는 중국 대신 아시아의 또 다른 경제 대국 일본으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6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 보고서의 올해 상반기 통계를 인용해 외국인의 일본 주식 매수 규모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모건스탠리의 투자 전략가들도 지난주 보고서에서 중국 증시가 최근 반등 기미를 보였지만 미국과 유럽의 펀드 매니저들은 지난달에 오히려 중국과 홍콩의 주식을 순매도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시아 최대의 두 주식시장이 투자자금을 놓고 경쟁하는 가운데 일본이 중국을 앞서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통신은 골드만삭스 보고서와 관련한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 매수 규모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대신 일본 주식 보유 비중을 확대하는 금융권의 동향을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10억달러(약 1조3천억원)의 자산을 보유한 아시아 중심 펀드 알리안츠 오리엔탈 인컴은 최근 중국 대신 일본 주식 비중을 크게 늘렸다. 이 펀드 내 일본 주식의 비중은 지난 6월 말 기준 40%로 중국 비중의 5배에 달한다.
작년 말만 하더라도 이 펀드 내 일본과 중국 주식의 비중은 각각 25%, 16% 수준이었다.
실제로 일본 주식 관련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는 올해 21% 급등했지만 중국의 경우 0.5% 상승에 그쳤다.
이스트스프링 투자의 고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올리버 리는 "일본 기업이 제조·자동화 등에서 노하우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급망 다각화를 통해 이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 당국은 최근 소비 진작 등을 위해 여러 정책을 내놨지만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미흡한 상황으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의 전략가들은 최근 "투자자들은 지난 3월 이후 (중국 정부의) 미지근한 조치들에 실망했으며 (중국 시장에 대한) 신뢰도는 여전히 매우 취약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와중에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상하이 봉쇄 등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치(7%대 초반)보다 낮은 6.3%를 기록했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에 그치며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해외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선호 분위기는 일본 중앙은행이 최근 기존 금융완화 정책을 수정, 채권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에서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글로벌 긴축 속에서도 일본은 단기금리를 동결하고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도하기 위한 무제한 국채 매입을 진행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이어왔다.
그러나 올해 일본 물가가 진정되지 않자 지난달 말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의 상한선을 0.5%로 두되 시장 상황에 따라 이를 일정 수준 초과해도 용인하기로 했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오른 나라의 통화는 강세를 띠는 경향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이번 조치 후에도 엔화 가치가 급격하게 출렁이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소시에테제네랄 SA의 프랭크 벤지르머 아시아 주식 전략 책임자는 "일본의 통화 정책이 매우 점진적으로 정상화될 것이라는 신호가 많아진다"며 "이는 엔화가 빠르게 재평가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투자 전략가들도 일본은행의 최근 조치에 대해 '오버행'(overhang·잠재적 매도 물량)이 제거된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대형주 비중을 선택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증시 전반으로 관심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글로벌 펀드는 7월 22∼28일 한 주 동안 1천960억엔(약 1조8천억원)의 일본 주식을 매입하기도 했다. 글로벌 펀드는 3월 말 이후 1주만 빼고 계속 일본 주식을 사들이는 상황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 증시가 단기간에 급등한 상태로 밸류에이션도 과거보다는 덜 매력적인 상황이라 신중히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블룸버그통신은 6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 보고서의 올해 상반기 통계를 인용해 외국인의 일본 주식 매수 규모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모건스탠리의 투자 전략가들도 지난주 보고서에서 중국 증시가 최근 반등 기미를 보였지만 미국과 유럽의 펀드 매니저들은 지난달에 오히려 중국과 홍콩의 주식을 순매도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시아 최대의 두 주식시장이 투자자금을 놓고 경쟁하는 가운데 일본이 중국을 앞서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통신은 골드만삭스 보고서와 관련한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 매수 규모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대신 일본 주식 보유 비중을 확대하는 금융권의 동향을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10억달러(약 1조3천억원)의 자산을 보유한 아시아 중심 펀드 알리안츠 오리엔탈 인컴은 최근 중국 대신 일본 주식 비중을 크게 늘렸다. 이 펀드 내 일본 주식의 비중은 지난 6월 말 기준 40%로 중국 비중의 5배에 달한다.
작년 말만 하더라도 이 펀드 내 일본과 중국 주식의 비중은 각각 25%, 16% 수준이었다.
실제로 일본 주식 관련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는 올해 21% 급등했지만 중국의 경우 0.5% 상승에 그쳤다.
이스트스프링 투자의 고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올리버 리는 "일본 기업이 제조·자동화 등에서 노하우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급망 다각화를 통해 이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 당국은 최근 소비 진작 등을 위해 여러 정책을 내놨지만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미흡한 상황으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의 전략가들은 최근 "투자자들은 지난 3월 이후 (중국 정부의) 미지근한 조치들에 실망했으며 (중국 시장에 대한) 신뢰도는 여전히 매우 취약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와중에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상하이 봉쇄 등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치(7%대 초반)보다 낮은 6.3%를 기록했고,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에 그치며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해외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선호 분위기는 일본 중앙은행이 최근 기존 금융완화 정책을 수정, 채권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에서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글로벌 긴축 속에서도 일본은 단기금리를 동결하고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도하기 위한 무제한 국채 매입을 진행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이어왔다.
그러나 올해 일본 물가가 진정되지 않자 지난달 말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의 상한선을 0.5%로 두되 시장 상황에 따라 이를 일정 수준 초과해도 용인하기로 했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오른 나라의 통화는 강세를 띠는 경향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이번 조치 후에도 엔화 가치가 급격하게 출렁이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소시에테제네랄 SA의 프랭크 벤지르머 아시아 주식 전략 책임자는 "일본의 통화 정책이 매우 점진적으로 정상화될 것이라는 신호가 많아진다"며 "이는 엔화가 빠르게 재평가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투자 전략가들도 일본은행의 최근 조치에 대해 '오버행'(overhang·잠재적 매도 물량)이 제거된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대형주 비중을 선택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증시 전반으로 관심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글로벌 펀드는 7월 22∼28일 한 주 동안 1천960억엔(약 1조8천억원)의 일본 주식을 매입하기도 했다. 글로벌 펀드는 3월 말 이후 1주만 빼고 계속 일본 주식을 사들이는 상황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 증시가 단기간에 급등한 상태로 밸류에이션도 과거보다는 덜 매력적인 상황이라 신중히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