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란 쿤데라와 '아이브' 안유진에게 공통점이 있다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구은서의 이유 있는 고전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세계적 소설가 밀란 쿤데라(1929~2023)를 한국에 소개한 건 대입 시험이었습니다.
1980년대, 송동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는 학력고사 출제위원으로 끌려갔어요. '끌려간다'고 한 건 요즘 수능에서처럼 그 시절 출제위원들도 시험지 유출을 막으려 일정 기간 외부 접촉이 끊긴 채 합숙 생활을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감금 생활'을 하던 송 교수는 무료함을 달래려 가방에 챙겨온 독일어판 소설을 틈틈이 읽었습니다. 아직 국내에 소개된 적 없는 작가의 작품이었죠. 그런데 읽다 보니 너무 재밌어서 한국어 번역을 했어요. 다른 사람들과 어서 나눠 읽고픈 마음이었겠죠. 그는 합숙 기간을 마치자마자 출판사 민음사에 이 번역 원고를 가져갔고, 원고는 곧 책으로 출간됩니다. (이후 프랑스어 정본으로 다시 번역, 출간되면서 이 책은 절판됐습니다.) 이 소설이 바로 밀란 쿤데라의 대표작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입니다. 쿤데라는 지난달 세상을 떠난 체코 출신 프랑스 작가죠. 프랑스 신문들이 일제히 1면에 그의 부고 소식을 전했을 만큼 쿤데라는 문학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소설가입니다.
그의 작품 중 1984년 프랑스에서 발표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특히 유명해요. 1988년 국내 출간된 이후 한국에서만 100만부 이상 팔렸고, 칼럼이나 기사에서 제목을 자주 패러디하기도 합니다.
원서 제목을 직역하자면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 더 정확합니다. 박맹호 민음사 회장이 이 제목에 대해 "제목 첫 머리의 '존재'라는 말이 너무 무겁다"며 바꿀 것을 제안했죠.
소설은 체코의 민주화 운동인 '프라하의 봄'을 배경으로 토마시, 테레자, 사비나, 프란츠 네 남녀의 사랑과 우정, 이해와 오해를 다룹니다. 한 마디로 설명하기 참 까다로운 작품이에요. 좋은 책들이 늘 그렇듯이요. 이 책은 연애소설이면서 철학소설이고, 개인의 삶을 다루는 동시에 역사적 비극을 녹였습니다.
서로 대립되는 두 개념을 오가며 생각거리를 던지는 게 이 책의 특징입니다.
토마시와 테레자의 사랑 얘기도 그렇죠. 능력 있는 외과의사이자 '에로틱한 우정' 운운하며 여러 여자와 관계를 맺는 바람둥이 토마시.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나 호텔 바텐더 일을 하며 숱한 유혹에 시달리지만 정조에 집착하던 테레자.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진 건 마치 자석의 N극과 S극처럼 정반대의 사람들이기 때문이었어요. 관계와 인생의 가벼움을 추구하던 토마시는 테레자를 만나면서 정반대의 삶을 살게 됩니다.
무엇보다 이 책의 백미는 인생의 '가벼움'과 '무거움'에 대한 성찰입니다.
소설은 독일 철학자 니체의 난해한 '영원회귀' 사상으로 시작됩니다. 이 부분이 어려워서 포기했다는 독자도 많은데, 반대로 이 대목 때문에 이 책을 사랑한다는 독자도 많아요.
그런데 소설은 이 사상을 뒤집어서 삶이 지나치게 가볍고 무의미하다고도 해석합니다. 영원히 반복되지 않는다면 지금 생은 1회용품에 불과하니까요. "한 번뿐인 것은 전혀 없었던 것과 같다"는 거죠.
이런 질문도 던지죠. "무엇이 긍정적인가? 묵직한 것인가 혹은 가벼운 것인가?"
책은 이렇게 가벼움과 무거움, 영혼과 육체 등 반대되는 개념을 들어 독자를 계속해서 고민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상충되는 것 같은 두 개념을 뒤섞어놓기도 해요. 외과의사였던 토마시가 공산주의 세력을 비판하는 칼럼을 잡지에 실었다가 병원에서 쫓겨나 유리창 청소부로 일할 때, 개인사와 비극적 시대사가 하나로 합쳐지죠.
'키치'는 이 책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쿤데라는 "(이 소설의 일부는) 키치에 대한 에세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키치란 쉽게 말해 거짓 가면을 뜻해요. 가짜인데 진짜인 척하는 것, 진실을 가린 허상, 예술을 논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돈벌이를 추구하는 것, 현실의 그림자를 부정하고 그럴 듯한 이미지만을 보여주는 정치 이데올로기나 슬로건도 키치라고 볼 수 있어요.
쿤데라는 키치에 대해 "거짓으로 예쁘게 보여주는 거울에 자기를 비춰보고 이를 통해 흡족한 마음으로 자신을 인정하는" 태도라고 설명한 적 있습니다. 의심할 자유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당시 전체주의 정권과도 비슷합니다.
삶이나 인간 존재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으면, 이런 키치에 휘둘리며 살기 십상입니다. 오늘날은 키치의 천국이죠. 고된 일상의 행복하고 번듯한 순간만 편집해 공유하는 소셜미디어가 대표적입니다. 키치라는 단어 들으면 노래부터 떠오르는 분들도 있으실 거예요. 아이돌 아이브가 최근 내놓은 노래 '키치'는 "달콤한 말, 뒤에 숨긴 너의 의도대로 따라가진 않을 거야"고 말하는데, 쿤데라가 말했던 키치에 대한 저항과 반항의 정신을 담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싸구려 예술'이라는 뜻도 갖고 있는 키치를 대중예술이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에서 소위 '고급예술'에 대한 풍자 같기도 해요. 그런데 이런 쿤데라 역시 키치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건 아이러니합니다. 체코 출신인 그는 프라하의 봄에 참여했다가 탄압을 받자 프랑스로 망명해 작품활동을 이어갑니다. 그 뒤로 '저항작가'라는 꼬리표가 따라붙고, 사람들은 정치적 메시지를 덧씌워 그의 작품을 해석합니다. 소설 속 화가 사비나는 자신의 작품을 사람들이 정치적 의도로만 분석하자 "나의 적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키치예요!" 말하는데, 쿤데라가 외치고 싶었던 문장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 이 작품은 여성의 육체를 지나치게 성적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습니다.
여러 해석이 있지만, 이 작품을 추천하고 싶은 건 무엇보다 읽는 재미가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속도감 있는 전개, 남편의 정부와 누드 사진을 찍는 파격적 장면, "사랑은 단 하나의 은유에서도 생겨날 수 있다"를 비롯한 아름다운 문장들, 체코의 실제 역사와 맞물리는 소설 속 사건들…. 다채로운 매력이 이 책을 일찌감치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읽을 때마다 새로운 책, 그래서 다시 읽기를 참을 수 없는 책. 우리는 그런 책을 고전이라고 부릅니다.
참고 자료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박성창 외, <밀란 쿤데라 읽기>, 민음사
-아리안 슈맹 지음, 김병욱 옮김, <밀란 쿤데라를 찾아서>, 뮤진트리
-김한올,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 나타난 화자의 키치 연구: 인물의 육체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통권 제45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21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1980년대, 송동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는 학력고사 출제위원으로 끌려갔어요. '끌려간다'고 한 건 요즘 수능에서처럼 그 시절 출제위원들도 시험지 유출을 막으려 일정 기간 외부 접촉이 끊긴 채 합숙 생활을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감금 생활'을 하던 송 교수는 무료함을 달래려 가방에 챙겨온 독일어판 소설을 틈틈이 읽었습니다. 아직 국내에 소개된 적 없는 작가의 작품이었죠. 그런데 읽다 보니 너무 재밌어서 한국어 번역을 했어요. 다른 사람들과 어서 나눠 읽고픈 마음이었겠죠. 그는 합숙 기간을 마치자마자 출판사 민음사에 이 번역 원고를 가져갔고, 원고는 곧 책으로 출간됩니다. (이후 프랑스어 정본으로 다시 번역, 출간되면서 이 책은 절판됐습니다.) 이 소설이 바로 밀란 쿤데라의 대표작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입니다. 쿤데라는 지난달 세상을 떠난 체코 출신 프랑스 작가죠. 프랑스 신문들이 일제히 1면에 그의 부고 소식을 전했을 만큼 쿤데라는 문학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소설가입니다.
그의 작품 중 1984년 프랑스에서 발표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특히 유명해요. 1988년 국내 출간된 이후 한국에서만 100만부 이상 팔렸고, 칼럼이나 기사에서 제목을 자주 패러디하기도 합니다.
원서 제목을 직역하자면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 더 정확합니다. 박맹호 민음사 회장이 이 제목에 대해 "제목 첫 머리의 '존재'라는 말이 너무 무겁다"며 바꿀 것을 제안했죠.
오늘 이 순간이 영원히 반복된다?
소설은 체코의 민주화 운동인 '프라하의 봄'을 배경으로 토마시, 테레자, 사비나, 프란츠 네 남녀의 사랑과 우정, 이해와 오해를 다룹니다. 한 마디로 설명하기 참 까다로운 작품이에요. 좋은 책들이 늘 그렇듯이요. 이 책은 연애소설이면서 철학소설이고, 개인의 삶을 다루는 동시에 역사적 비극을 녹였습니다.
서로 대립되는 두 개념을 오가며 생각거리를 던지는 게 이 책의 특징입니다.
토마시와 테레자의 사랑 얘기도 그렇죠. 능력 있는 외과의사이자 '에로틱한 우정' 운운하며 여러 여자와 관계를 맺는 바람둥이 토마시.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나 호텔 바텐더 일을 하며 숱한 유혹에 시달리지만 정조에 집착하던 테레자.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진 건 마치 자석의 N극과 S극처럼 정반대의 사람들이기 때문이었어요. 관계와 인생의 가벼움을 추구하던 토마시는 테레자를 만나면서 정반대의 삶을 살게 됩니다.
"이상한 일이군요, 6호실에 계시다니."토마시와 테레자가 처음 만나 나누는 이 대화는 묘한 긴장감을 자아냅니다. 마치 영화 '화양연화' 속 좁은 계단에서 아슬아슬한 간격을 두고 스쳐 지나가는 두 남녀를 떠올리게 해요.
"뭐가 이상하지요?"
(…)
"당신은 6호실에 머물고 나는 6시에 근무가 끝나거든요."
"그리고 나는 7시에 기차를 타지요."
무엇보다 이 책의 백미는 인생의 '가벼움'과 '무거움'에 대한 성찰입니다.
소설은 독일 철학자 니체의 난해한 '영원회귀' 사상으로 시작됩니다. 이 부분이 어려워서 포기했다는 독자도 많은데, 반대로 이 대목 때문에 이 책을 사랑한다는 독자도 많아요.
영원한 회귀란 신비로운 사상이고, 니체는 이것으로 많은 철학자를 곤경에 빠뜨렸다. 우리가 이미 겪었던 일이 어느 날 그대로 반복될 것이고 이 반복 또한 무한히 반복된다고 생각하면! 이 우스꽝스러운 신화가 뜻하는 것이 무엇일까?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은 (아주 단순하게 말해서) '삶이 마치 영원히 굴러가는 수레바퀴처럼 반복된다'고 생각해보라는 겁니다. 내 삶의 매 순간, 1분 1초가 영원히 반복된다면 어떨까요. 어깨가 무거워지죠. 이번 생에서 이뤄진 선택은 이번 삶뿐 아니라 다음 생까지, 그 다음 생까지… 영원히 영향을 미칠 테니까요.
그런데 소설은 이 사상을 뒤집어서 삶이 지나치게 가볍고 무의미하다고도 해석합니다. 영원히 반복되지 않는다면 지금 생은 1회용품에 불과하니까요. "한 번뿐인 것은 전혀 없었던 것과 같다"는 거죠.
"모든 것이 일순간, 난생 처음으로, 준비도 없이 닥친 것이다. 마치 한 번도 리허설을 하지 않고 무대에 오른 배우처럼. 그런데 인생의 첫 번째 리허설이 인생 그 자체라면 인생에는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런 질문도 던지죠. "무엇이 긍정적인가? 묵직한 것인가 혹은 가벼운 것인가?"
책은 이렇게 가벼움과 무거움, 영혼과 육체 등 반대되는 개념을 들어 독자를 계속해서 고민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상충되는 것 같은 두 개념을 뒤섞어놓기도 해요. 외과의사였던 토마시가 공산주의 세력을 비판하는 칼럼을 잡지에 실었다가 병원에서 쫓겨나 유리창 청소부로 일할 때, 개인사와 비극적 시대사가 하나로 합쳐지죠.
"이 소설은 키치에 대한 에세이다"
이 소설은 왜 자꾸 독자를 헷갈리게 만들까요. 무언가에 확신을 갖고 사유를 멈추는 걸 경계해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에요.'키치'는 이 책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쿤데라는 "(이 소설의 일부는) 키치에 대한 에세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키치란 쉽게 말해 거짓 가면을 뜻해요. 가짜인데 진짜인 척하는 것, 진실을 가린 허상, 예술을 논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돈벌이를 추구하는 것, 현실의 그림자를 부정하고 그럴 듯한 이미지만을 보여주는 정치 이데올로기나 슬로건도 키치라고 볼 수 있어요.
쿤데라는 키치에 대해 "거짓으로 예쁘게 보여주는 거울에 자기를 비춰보고 이를 통해 흡족한 마음으로 자신을 인정하는" 태도라고 설명한 적 있습니다. 의심할 자유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당시 전체주의 정권과도 비슷합니다.
삶이나 인간 존재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으면, 이런 키치에 휘둘리며 살기 십상입니다. 오늘날은 키치의 천국이죠. 고된 일상의 행복하고 번듯한 순간만 편집해 공유하는 소셜미디어가 대표적입니다. 키치라는 단어 들으면 노래부터 떠오르는 분들도 있으실 거예요. 아이돌 아이브가 최근 내놓은 노래 '키치'는 "달콤한 말, 뒤에 숨긴 너의 의도대로 따라가진 않을 거야"고 말하는데, 쿤데라가 말했던 키치에 대한 저항과 반항의 정신을 담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싸구려 예술'이라는 뜻도 갖고 있는 키치를 대중예술이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에서 소위 '고급예술'에 대한 풍자 같기도 해요. 그런데 이런 쿤데라 역시 키치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건 아이러니합니다. 체코 출신인 그는 프라하의 봄에 참여했다가 탄압을 받자 프랑스로 망명해 작품활동을 이어갑니다. 그 뒤로 '저항작가'라는 꼬리표가 따라붙고, 사람들은 정치적 메시지를 덧씌워 그의 작품을 해석합니다. 소설 속 화가 사비나는 자신의 작품을 사람들이 정치적 의도로만 분석하자 "나의 적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키치예요!" 말하는데, 쿤데라가 외치고 싶었던 문장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 이 작품은 여성의 육체를 지나치게 성적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습니다.
여러 해석이 있지만, 이 작품을 추천하고 싶은 건 무엇보다 읽는 재미가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속도감 있는 전개, 남편의 정부와 누드 사진을 찍는 파격적 장면, "사랑은 단 하나의 은유에서도 생겨날 수 있다"를 비롯한 아름다운 문장들, 체코의 실제 역사와 맞물리는 소설 속 사건들…. 다채로운 매력이 이 책을 일찌감치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읽을 때마다 새로운 책, 그래서 다시 읽기를 참을 수 없는 책. 우리는 그런 책을 고전이라고 부릅니다.
참고 자료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박성창 외, <밀란 쿤데라 읽기>, 민음사
-아리안 슈맹 지음, 김병욱 옮김, <밀란 쿤데라를 찾아서>, 뮤진트리
-김한올,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 나타난 화자의 키치 연구: 인물의 육체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통권 제45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21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