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미지 하락·책임론 불가피
잼버리 전원 조기 철수에 '게도 구럭도 다 놓친' 전북도 '씁쓸'
태풍 '카눈'의 한반도 북상으로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원들이 조기 철수하기로 하면서 7일 전북지역 분위기가 무겁게 가라앉았다.

영국과 미국 스카우트 대표단이 빠지면서 '반쪽' 행사로 전락한 가운데 끝까지 반전을 노렸으나 결국 만신창이가 된 채 허무하게 끝을 맺게 됐기 때문이다.

잼버리는 월드컵과 올림픽에 이은 세계 3대 이벤트로 꼽힐 만큼 국제적 위상이 높은 대회다.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국가 브랜드를 높이고 새만금 개발사업을 앞당겨 지역개발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폭염에 따른 온열 질환자와 벌레 물림 환자 속출, 열악한 환경과 폭염, 조직위원회의 안일한 현실 인식과 준비 등 '총체적 부실'로 스스로 발목을 잡았다.

잼버리 야영장은 개막일부터 '바람 앞에 등불'처럼 위태로운 상황이 이어지며 우려를 샀다.

대회 개막일인 지난 1일부터 하루에 수십∼수백명에 달하는 온열 질환자가 나왔고 외국 대원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까지 잇따랐다.

샤워실과 화장실이 지저분하고 허술하며, 음식이 형편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대회를 유치하고 6년간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는 말이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약속과 민간 단체들의 노력으로 한숨 돌리는 듯했으나 이번에는 성 추문이 터지면서 또다시 큰 타격을 입었다.

잼버리 전원 조기 철수에 '게도 구럭도 다 놓친' 전북도 '씁쓸'
어렵게 버텨오던 새만금 잼버리는 결국 북상하는 태풍 소식에 주저앉고 말았다.

힘 한번 써보지 못한 채였다.

전 대원이 새만금 영지를 떠나기로 하면서 결국 상처만 남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역 이미지 반등이란 소기의 목적 달성은 일찌감치 물 건너갔다.

행사 내내 여론의 질타를 받으면서, 오히려 대회를 열지 않은 것만 못하게 됐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애초 전북도는 이번 잼버리가 세계 청소년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및 활동 촉진, 국가 이미지 제고, 민간교류를 통한 공공외교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행사여서 지역 성장을 이끌며 국격을 높이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홍보했다.

전북연구원은 잼버리를 통해 생산 1천198억원, 고용 1천98명, 부가가치 406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캠핑 산업 등 간접적인 효과를 더하면 생산유발효과는 6천억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대원들이 조기 퇴소하면서 경제적 효과는 이런 예상을 크게 밑돌 수밖에 없게 됐다.

물론 이 모든 책임이 전북도에만 있지는 않다.

조직위원회 구성만 봐도 위원장에 여성가족부 등 정부 부처 장관 3명이 포진한 반면 전북지사는 집행 역할에 머문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예산 역시 정부 지원 없이는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잼버리 전원 조기 철수에 '게도 구럭도 다 놓친' 전북도 '씁쓸'
그렇지만 전북도가 주도적으로 새만금에 대회를 유치했고 이후 실무 준비를 해온 만큼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는 건 궁색하다.

특히 대회를 망친 주범으로 지목되는 폭염, 벌레, 위생 등은 모두 예견됐거나 대처할 수 있었던 문제들이었다.

이 때문에 전북도는 한동안 거센 책임론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다.

잼버리 준비를 이유로 수십차례나 다녀온 외유성 해외 출장이 어떤 파장을 낳을지도 지켜볼 대목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전북도가 잼버리의 성공을 통해 특별자치도로서의 능력을 발휘하고 새만금 개발사업의 장기적인 긍정적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으나 각종 실수로 행사의 주도권이 중앙정부로 넘어갔다"고 짚었다.

이 관계자는 "아무것도 얻은 것 없이 오히려 무능한 이미지만 남기고 말았다"면서 "게도 구럭도 다 놓친, 전북도 역량의 한계를 보여준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최선을 다해 준비했는데 악재와 악수가 거듭되면서 오명만 뒤집어쓰게 됐다"라며 "당분간 매머드급 국제대회 행사 유치는 요원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