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0일 최고위원회의 회의장에 들어서고 있다 /김병언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0일 최고위원회의 회의장에 들어서고 있다 /김병언 기자
오는 10월 열리는 강서구청장 보궐 선거를 앞두고 '무공천' 기류가 이어지며 잔잔하던 국민의힘에 돌덩어리 하나가 던져졌다. 국민의힘 소속 김태우 전 강서구청장이 광복절 사면 대상에 오르면서다.

국민의힘은 10일 김 전 구청장이 광복절 특별사면·복권 대상자에 포함된 것에 대해 "특별히 당에선 입장이 없다"고 우선 선을 그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전국에 기초 지자체가 226개에 달하는데 그중 1개의 지자체 보궐선거를 가지고 중앙당이 입장을 낸다는 것 자체가 맞지도 않고, 사면에 대해 저희가 논의한 바도 없다"고 했다.

강 수석대변인의 말대로 강서구청장은 전국 기초 지자체 226개 중 한 개에 불과하지만, 이번 선거만은 '총선 전초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국민의힘이 이번 선거 '무공천'을 고심하는 것도 민주당 텃밭인 강서구에서 선거를 치렀다 '정권 심판'의 성격을 게 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총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강서구청장 공천과 관련 "물밑에서 논의가 이뤄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공식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은 전혀 없다"며 "현재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가 진행 중인 사고 당협 위원장 충원을 잘 마무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무공천' 결정이 국민의힘에 '속 편한' 결정이 되는 것도 아니다. 집권 여당이 '정치적 유불리'를 이유로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고, 무공천 그 자체로 '총선 위기론'을 부채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초 이번 선거에 이유가 됐던 김 전 구청장이 특사가 돼 사면·복권될 확률이 높아지면서, 무공천을 해야 하는 이유 역시 옅어졌다. 국민의힘 강서구 지역 조직에서도 이미 '공천'을 전제로 강서구청장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법원의 판결에 대해서 승복하기 어려우니 바로 사면한다면 애초에 잘못이 없는데 무공천 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라며 "안 내는 건 그냥 질까 봐 안 내는 것밖에 안 된다"고 쓰기도 했다. 강서구 지역 관계자들도 '후보를 내기만 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선거'라며 자신감을 보이는 상황이다.

김 전 구청장의 행보 역시 변수다. 당이 무공천을 결정할 경우, 재출마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진 김 전 구청장이 무소속으로 나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김 전 구청장은 한경닷컴에 "아직 사면이 확정된 바 없어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