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건축물은 한번 지어지면 대체로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킨다. 이러한 건축물들이 모여 장소의 고유한 이미지가 형성되고, 형성된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그런데 어떤 건축물이 갑자기 나타났다 갑자기 사라지면 어떨까. 꿈에서 본 장면처럼 느껴지지 않을까.

파빌리온(pavilion)은 이렇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건축물이다. ‘임시 가설물’인 이것은 특정한 목적을 갖고 일정한 기간만 세워진다. 건물을 설계할 때부터 사라짐을 염두에 두고, 끝에는 반드시 사라져야만 그 의미가 완성된다. 그래서 오래 머물러야 하는 건물들보다 여러 가지 제약에서 자유롭고 이벤트적 의미가 강한 성격을 가진다. 그리고 이 이벤트성은 장소가 가진 이미지의 고유성에 반하는, 낯섦과 새로움을 장소에 부여한다.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런던 하이드파크에 있는 서펜타인 갤러리는 매년 여름 새로운 파빌리온을 갤러리 옆에 선보인다. 공원에 펼쳐진 넉넉한 자연을 배경으로 설치되는 파빌리온은 갤러리의 훌륭한 설치작품이자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기 어려운 런던에 실현하는 건축적 실험이기도 하다.

매년 새롭게 선정된 건축가들이 자유롭게 디자인을 제시하는 이 프로젝트는 2000년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삼각형이 돋보이는 구조를 활용하여 파빌리온의 기본형인 ‘천막’의 새로운 개념을 보여준 것이 시작이었다. 이후 설치된 파빌리온들은 공원이 가진 자연 사이를 부유하며 주변 환경에 녹아들거나(2009년), 건축가 자신이 나고 자란 지역의 특색을 하이드파크에 불러오기도 했고(2018년), 다양한 색상, 재료, 규정할 수 없는 형태를 활용하여 놀이공간과도 같은 공간을 공원에 구현하기도 했다(2015년).

한편 건물 자체가 아닌 그것이 품고 있는 정원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였으며(2011년) 2012년에는 앞서 진행된 과거 파빌리온들의 흔적을 중첩시킨 고고학적 방식으로 새로운 장소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22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소재와 기술, 창의적인 디자인이 등장했으며 파빌리온의 전시 기간이 끝남과 동시에 사라지며 그 임무를 다하였다.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2023년, 올해의 파빌리온은 공원에 굳건하게 서 있는 한 그루의 나무를 닮았다. 프랑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건축가 리나 고트메(Lina Ghotmeh)가 설계한 이 파빌리온은 펼쳐놓은 우산을 연상시키는 지붕과 지붕을 떠받치고 있는 기둥, 그리고 내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패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과 공간의 바닥에까지 모두 각각의 역할에 적합한 목재가 사용되어 파빌리온이 가진 나무의 인상은 강화된다. 그리고 내부에서는 방사상으로 뻗어 나가는 지붕의 구조와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에 의해 나무의 기둥 안으로 들어온 것과 같은 느낌이 극대화된다. 패널에는 식물의 이파리를 연상시키는 패턴이 타공되어 있는데 이는 공원과 부드러운 경계를 형성한다. 파빌리온의 이러한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고민한 땅, 자연, 환경과의 관계가 반영된 결과로, 모든 것들이 공원의 경관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계획되어있다.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이 파빌리온의 실내에는 공간의 중앙에 떨어지는 빛과 패널이 형성하는 경계를 따라 놓여있는 테이블, 그리고 의자만이 존재한다. 사람들은 여기에서 마음에 드는 위치를 선택하고 거기에 앉을 수 있다. 그리고 혼자서 생각을 하거나, 함께 온 사람들과 다양한 주제에 대해 소통하면 된다.

아 타블르(À table)라는 타이틀을 가진 이 파빌리온이 시민들에게 원하는 것은 그게 전부이다. 올해 두드러지는 이 대화와 소통의 기능은 20여 년 동안 설치되었던 서펜타인 파빌리온들이 하이드 파크를 찾은 시민들에게 제공해온 가장 근본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느 여름날 공원을 찾은 시민들은 불현듯 등장한 낯선 건물에서 잠시 머물며 쉬고, 대화하고, 즐기는 각자의 소소한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이 시간들이 모여 파빌리온은 기능을 획득하고, 시민들은 다채로운 추억의 한 장면을 만들었을 것이다.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서펜타인 파빌리온에 대해 필자가 가장 인상 깊게 기억하는 장면은 2013년의 파빌리온에서다. 소우 후지모토(Sou Fujimoto)가 설계한 이 파빌리온은 백색의 경량 철골이 만들어내는 격자구조가 무수히 반복되며 파빌리온의 형태와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파빌리온의 곳곳에 사람들이 올라 앉아있는 장면은 마치 이들이 구름 위에 있는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녹색으로 가득한 공원을 배경으로 백색의 촘촘함이 모여 만들어낸 한여름 낮의 꿈같은 장면이었다. 그 장면을 지금 꿈처럼 기억할 수 있는 이유는 파빌리온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오로지 기억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잠깐 머물렀다가 어디론가 홀연히 날아가 버리는 나비처럼 말이다.(파빌리온의 어원은 ‘나비’를 뜻하는 라틴어 papilio이다)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
사진 = serpentine gallery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