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떠난 잼버리, 'K팝 콘서트'로 피날레 [사진 issue]
'중림동 사진관'에 쓰여진 기사는 한국경제신문 지면에 반영된 기사를 정리했습니다.

'K팝 콘서트'로 마무리···"잼버리 뜻밖의 선물 잊지 않을게요"

11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스카우트 대원들이 폐영식과 K팝 콘서트를 보기 위해 경기장으로 향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최혁 기자
11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스카우트 대원들이 폐영식과 K팝 콘서트를 보기 위해 경기장으로 향하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최혁 기자
'2023 새만금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대회'가 'K팝 슈퍼 라이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잼버리 K팝 콘서트는 11일 오후7시부터 오후9시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진행됐다. 콘서트에 앞서 오후5시30분 부터 오후 6시까지는 폐영식이 진행됐다.

공연에는 NCT드림과 마마무, 뉴진스, 아이브 등 총 19개 팀이 무대에 올랐다. 이날 공연에 BTS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하이브는 "K-팝 콘서트 관람 대원 전원에게 한국 방문의 해를 기념해 BTS 포토카드 세트 4만3000개를 무상 제공한다"고 밝혔다.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모인 스카우트 대원들이 BTS 포토카드 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모인 스카우트 대원들이 BTS 포토카드 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K팝 콘서트는 당초 지난 6일 저녁 새만금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폭염과 안전문제가 제기되자 11일 전주 월드컵경기장으로 변경됐고, 이후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서울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으로 최종 변경됐다.
140개국 4만여 명의 스카우트 대원들이 11일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를 즐기고 있다./문체부 제공
140개국 4만여 명의 스카우트 대원들이 11일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를 즐기고 있다./문체부 제공
그룹 뉴진스가 11일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에서 공연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그룹 뉴진스가 11일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K팝 슈퍼라이브 콘서트에서 공연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한덕수 국무총리는 "4만여 명의 대원이 1100여 대 대형 버스로 상암 운동장에 모이고 행사 이후 안전하게 숙소로 돌아가야 한다"며 "행사장 질서유지는 물론 출연 아티스트의 안전에도 각별히 유념해 준비해 달라"고 부처 관계자들에게 주문했다.

태풍 오면 물바다···잼버리 대원 3만6000명 새만금서 조기 철수

태풍 '카눈'의 북상으로 잼버리 대회 참가자들의 본격적인 철수가 시작된 8일 전북 무안군 야영지 주차장에 대원들을 태우고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이동할 버스들이 줄지어 서 있다./행안부 제공
태풍 '카눈'의 북상으로 잼버리 대회 참가자들의 본격적인 철수가 시작된 8일 전북 무안군 야영지 주차장에 대원들을 태우고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이동할 버스들이 줄지어 서 있다./행안부 제공
전북 부안군 새만금에서 열린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에 참가한 3만6000여 명의 대원이 8일 야영지에서 전면 철수했다. 제6호 태풍 '카눈'의 직접 영향권에 들면서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새만금이 물에 잠길 수 있어서다. 대회 초반부터 폭염으로 어려움을
겪은 잼버리 대회가 '태풍'이라는 예상 밖 변수에 직면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156개국 3만6000여 명의 스카우트 대원은 8일 오전 10시부터 버스 1000여 대에 나눠 타고 순차적으로 수도권 대학 기숙사와 기업 연수 시설로 이동했다.
9일 전북 부안군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행사장에서 자원봉사자, 공무원 등이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전북도청 제공
9일 전북 부안군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행사장에서 자원봉사자, 공무원 등이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전북도청 제공
새만금 부지는 농업용지로 조성돼 평평하고 배수장치가 충분하지 않아 대회 초기부터 "소나기라도 한번 내리면 물이 고여 정상적인 활동이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새만금 잼버리가 공식적으로 끝나는 12일 이후부터 관계자들에 대한 문책과 진상조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6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상민 장관을 상대로 새만금 잼버리 관련 현안 질의를 할 예정이다.


새만금 떠난 잼버리 대원, 기업·대학에 짐 풀었다

네덜란드 스카우트 대원들이 8일 용인시 마북동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으로 향하고 있다./최혁 기자
네덜란드 스카우트 대원들이 8일 용인시 마북동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으로 향하고 있다./최혁 기자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원들은 새만금을 떠나 서울 경기 등 8개 시·도로 흩어졌다. 지방자치단체가 대학 기숙사와 기업 연수원을 확보해 급한 불은 껐지만 조기 퇴영으로 인한 숙식비 등 수십억 이상의 추가 '청구서'는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이다.
영국 스카우트 대원들이 6일 서울시내 한 호텔 로비에서 대기하고 있다./강은구기자
영국 스카우트 대원들이 6일 서울시내 한 호텔 로비에서 대기하고 있다./강은구기자
지자체별로는 경기 1만3568명(숙소 64곳, 88개국), 인천 3257명(8곳`27개국), 충남 6274명(18곳`18개국), 전북 5541명(5곳`10개국)이 머문다.

포르투칼에서 온 한 대원은 "기숙사에 침실과 욕실이 잘 마련돼 있어 좋다"며 "남은 기간에 한국의 전통문화와 한옥시설을 체험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잼버리 지원 나선 현대차···전주공장 견학 프로그램도

7일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 마북캠퍼스에 입소한 핀란드, 네덜란드 스카우트 대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현대차그룹 제공
7일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 마북캠퍼스에 입소한 핀란드, 네덜란드 스카우트 대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현대차그룹 제공
슬로베니아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경기도 용인 기아오산교육센터에서 기아차 EV9를 관람하고 있다./임대철기자
슬로베니아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경기도 용인 기아오산교육센터에서 기아차 EV9를 관람하고 있다./임대철기자
현대자동차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지원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4일부터 잼버리 조직위원회와 협의해 청소년 대원을 위한 생수와 양산을 각각 5만 개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캡술형 프리미어 좌석과 의료 장비 등을 갖춘 심신 회복 버스,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사무 공간으로 개조한 '유니버스 모바일 오피스'도 제공했다. 잼버리 대원을 위해 물품 지원에 나선 건 국내 기업 중 현대차그룹이 처음이다.
마케도니아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T본사 티움에서 VR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을 하고 있다./김범준 기자
마케도니아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T본사 티움에서 VR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을 하고 있다./김범준 기자
SK그룹도 잼버리 행사를 지원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과 충북 청수 사업장에서 하루 100여 명이 참가할 수 있는 공장 투어를 했다.
스위스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에서 태권도 체험을 하고 있다./이솔 기자
스위스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에서 태권도 체험을 하고 있다./이솔 기자
한 스카우트 대원이 김치 만들기 체험을 한 뒤 활짝 웃고 있다./세계스카우트연맹 제공
한 스카우트 대원이 김치 만들기 체험을 한 뒤 활짝 웃고 있다./세계스카우트연맹 제공
롯데그룹도 힘을 보탰다. 롯데웰푸드는 아이스크림 1만 개와 냉동고 20대를 전달했다.

국민은행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이온 음료 10만 개를 전달했고, 신한은행도 이온 음료 10만 개와 경기 용인에 있는 블루캠퍼스 연수원을 제공했다.

하나금융은 이온 음료 20만 개를 전달하고 인천 글로벌캠퍼스 연수원을 개방했다.

추가 숙박비·버스 대절비···정부가 전액 지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8일 태풍 카눈 북상에 따라 세계잼버리 참가자들의 비상 대피 상황을 상공에서 살펴보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8일 태풍 카눈 북상에 따라 세계잼버리 참가자들의 비상 대피 상황을 상공에서 살펴보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정부는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조기 퇴영 이후 추가로 발생하는 숙박비, 버스대절비, 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사후 정산 하겠다는 입장이나 전례가 없어 대회 이후 혼란이 우려된다. 당장 조기 퇴영으로 인한 추가 숙박비는 수십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지가 각 대학을 조사한 결과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학 기숙사 대관과 식비를 1인당 하루 2만원 안팎으로 보고 있다. 대원 3만7000여 명이 폐영식때 까지 머물 예정이어서 숙식비만 최소 29억6000만원 정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관광버스 대절비용까지 합산하면 수십억원의 비용이 추가로 늘어난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청와대 춘추관을 방문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덴마크와 노르웨이 스카우트 대원들이 9일 청와대 춘추관을 방문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정부는 쓴 비용을 추후 특별교부금 형식으로 보전해줄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비용은 정부가 지자체와 협의해 사후 정산하는 방식으로 충당할 계획"이라며 "다만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기관마다 숙식비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없어 비용 보전을 두고 대회 이후 혼란이 예상된다.

한편 서울시 관계자는 “식사와 문화프로그램 지원 등은 우선 예비비를 통해 집행할 계획”이라며 “현재 남아 있는 일반 예비비는 896억원 정도로 예산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