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용호 CAIO "최고 AI 책임자는 조직 내 조율자가 돼야…CEO의 인공지능 환상 깨주는 것도 역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Zoom In
스타트업 인덴트코퍼레이션 하용호 CAIO
티맥스·KTH·SKT 등 거친
국내 1세대 '데이터 과학자'
기술직군과만 협력하면 실패
제품·마케팅 책임자들과 함께
AI 어떻게 활용할지 의논해야
스타트업 인덴트코퍼레이션 하용호 CAIO
티맥스·KTH·SKT 등 거친
국내 1세대 '데이터 과학자'
기술직군과만 협력하면 실패
제품·마케팅 책임자들과 함께
AI 어떻게 활용할지 의논해야
“최고인공지능책임자(CAIO)는 조직 내 조율자, 번역가가 돼야 합니다.”
CAIO는 최근 스타트업 업계를 흔든 화두다. 챗GPT가 산업 전방위로 영향을 미치며 AI 분야에 책임자를 두는 곳이 늘었다. 하지만 아직 그 효용을 두곤 의견이 분분하다.
스타트업 인덴트코퍼레이션의 하용호 신임 CAIO(사진)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최근 업무를 시작했다. 국내 1세대 데이터과학자로 꼽히는 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커머스·금융 등 CAIO가 탄생할 분야가 더 남아 있다”며 “데이터와 AI의 선순환 성장을 만드는 조직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그는 2007년 티맥스소프트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을 담당하며 개발자 일을 시작했다. 이후 KTH(현 KT알파)와 SK텔레콤 빅데이터 태스크포스(TF)를 거치며 데이터과학자로 안착했다. 스타트업 넘버웍스를 창업해 카카오에 매각하고, 카카오에서 일하다 투자사인 XYZ벤처파트너스 공동대표를 맡기도 했다.
다양한 경험을 한 그는 CAIO가 갖춰야 할 주요 자질로 조율 능력을 꼽는다. 비개발직군과의 대화에 능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스타트업 내 AI 조직은 통상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있다가 독립하는 경우가 많다. 관성대로 평범한 개발자처럼 일하며, 주요 협력팀을 기술직군으로 한정하는 순간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하 CAIO는 “CTO가 아니라 최고제품책임자(CPO), 최고마케팅책임자(CMO)와 함께 AI 활용 방안을 의논해야 한다”고 했다. 그가 맡고 있는 AI 조직은 영업팀과 마케팅팀 바로 옆에 붙어 있다. AI는 제품·서비스와 함께할 때 의미를 찾는다는 판단에서다.
최고경영자(CEO)가 가지고 있는 AI에 대한 막연한 환상도 깨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반기엔 많은 회사의 CEO들이 GPT 시리즈가 서비스를 혁신할 수 있다는 얘기를 외부에서 듣고 와 무작정 개발을 지시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럴 때 CAIO는 파괴적 변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직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덴트코퍼레이션은 AI 기반 리뷰 분석 솔루션을 제작한다. 작년 이 회사에 합류할 당시 맡은 직책은 최고데이터책임자(CDO)였다. 하 CAIO는 “데이터가 회사에 정확한 의사결정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CAIO로의 분화는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스타트업 업계의 시니어급 AI 인력 중에는 데이터 전문가 출신이 흔하다. 데이터가 AI의 자양분이기 때문에 데이터과학자들이 독학으로 AI 숙달에 이른 사례가 많다.
그는 데이터를 다루는 많은 스타트업에서 곧 CAIO가 필요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대표적인 분야로 고객 데이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커머스와 금융 분야를 꼽았다. 하 CAIO는 “순간의 결정이 곧바로 순이익과 직결되는 사업 영역에서 AI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CAIO는 최근 스타트업 업계를 흔든 화두다. 챗GPT가 산업 전방위로 영향을 미치며 AI 분야에 책임자를 두는 곳이 늘었다. 하지만 아직 그 효용을 두곤 의견이 분분하다.
스타트업 인덴트코퍼레이션의 하용호 신임 CAIO(사진)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최근 업무를 시작했다. 국내 1세대 데이터과학자로 꼽히는 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커머스·금융 등 CAIO가 탄생할 분야가 더 남아 있다”며 “데이터와 AI의 선순환 성장을 만드는 조직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그는 2007년 티맥스소프트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을 담당하며 개발자 일을 시작했다. 이후 KTH(현 KT알파)와 SK텔레콤 빅데이터 태스크포스(TF)를 거치며 데이터과학자로 안착했다. 스타트업 넘버웍스를 창업해 카카오에 매각하고, 카카오에서 일하다 투자사인 XYZ벤처파트너스 공동대표를 맡기도 했다.
다양한 경험을 한 그는 CAIO가 갖춰야 할 주요 자질로 조율 능력을 꼽는다. 비개발직군과의 대화에 능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스타트업 내 AI 조직은 통상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있다가 독립하는 경우가 많다. 관성대로 평범한 개발자처럼 일하며, 주요 협력팀을 기술직군으로 한정하는 순간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하 CAIO는 “CTO가 아니라 최고제품책임자(CPO), 최고마케팅책임자(CMO)와 함께 AI 활용 방안을 의논해야 한다”고 했다. 그가 맡고 있는 AI 조직은 영업팀과 마케팅팀 바로 옆에 붙어 있다. AI는 제품·서비스와 함께할 때 의미를 찾는다는 판단에서다.
최고경영자(CEO)가 가지고 있는 AI에 대한 막연한 환상도 깨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반기엔 많은 회사의 CEO들이 GPT 시리즈가 서비스를 혁신할 수 있다는 얘기를 외부에서 듣고 와 무작정 개발을 지시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럴 때 CAIO는 파괴적 변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직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덴트코퍼레이션은 AI 기반 리뷰 분석 솔루션을 제작한다. 작년 이 회사에 합류할 당시 맡은 직책은 최고데이터책임자(CDO)였다. 하 CAIO는 “데이터가 회사에 정확한 의사결정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CAIO로의 분화는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스타트업 업계의 시니어급 AI 인력 중에는 데이터 전문가 출신이 흔하다. 데이터가 AI의 자양분이기 때문에 데이터과학자들이 독학으로 AI 숙달에 이른 사례가 많다.
그는 데이터를 다루는 많은 스타트업에서 곧 CAIO가 필요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대표적인 분야로 고객 데이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커머스와 금융 분야를 꼽았다. 하 CAIO는 “순간의 결정이 곧바로 순이익과 직결되는 사업 영역에서 AI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