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접 두 개를 이어붙인 달항아리가 60억에 낙찰됐다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지혜의 물레를 차며] 요즘 가장 '힙'한 달항아리<中>
실제 달과 유사하다는 평가 받는 조선시대 달항아리
비대칭과 불완전함의 매력에 빠지는 사람들 많아
두 기물을 이어붙이는 달항아리 제작이 더 어려워
수백, 수천 번의 손길 거쳐야 하나의 달항아리 완성
유려한 라인과 단아함은 어디선가 봤던 달 같아
실제 달과 유사하다는 평가 받는 조선시대 달항아리
비대칭과 불완전함의 매력에 빠지는 사람들 많아
두 기물을 이어붙이는 달항아리 제작이 더 어려워
수백, 수천 번의 손길 거쳐야 하나의 달항아리 완성
유려한 라인과 단아함은 어디선가 봤던 달 같아
달항아리를 처음부터 쉬이 찰 수 있었던 건 아니다. 당연히 잦은 실패와 오랜 연습이 먼저였다. 흙 한 덩이로 약 10㎝ 높이의 달항아리를 찰 수 있게 됐을 때, 욕심이 났다. 두 덩이를 따로 만들어 붙이면 더 큰 달항아리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도 우리 선조들은 큰 한 덩이로도, 두 덩이를 따로 찬 뒤 합쳐서도 달항아리를 만들었더랬다. 마치 대접 모양으로 두 기물을 만든 위 이음새를 붙여서 완성하는 '업다지' 기법의 달항아리는 그 이음새 부분을 일부러 두드러지게 그냥 두기도 한다. "이어붙였다"는 티를 내는 것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방식의 달항아리를 '조선시대 전통 달항아리'로 보고 더 선호한다고. 그래서일까. 올 3월 미국 뉴욕 크리스티경매에선 18세기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가 456만달러(약 59억6000만원)에 낙찰됐다. 완벽한 구 형태도 아니고 새하얗지도 않았다. 두 개를 이어붙인 이음새도 선명했다.
크리스티측은 "달항아리의 비대칭, 즉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불완전함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사물들 사이의 미묘한 변화를 반영한다"고 했다. "그래서 완벽한 원형보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달과 더 비슷하게 보이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마치 자연의 섭리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진짜 달 같은 달항아리의 아름다움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나도 해보고 싶었다, 조선시대 전통 달항아리. 그러나 첫 도전은 항상 어설픈 법. 일단 두 대접 모양의 흙을 만들 때부터 옆으로 자꾸 벌어지는 흙을 주워담기가 어려웠다. 이음새 부분의 둘레를 똑같이 맞춰야 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달항아리의 윗부분과 아랫부분 모양을 어떻게 하는 게 예쁠 지 감이 오지 않았다. 비슷하게 대접처럼 두 개를 만들어 붙였더니 위 사진(왼쪽)처럼 넙적한 항아리가 탄생해버렸다. 이음새도 너무 툭 튀어나와 눈에 거슬렸다.
두 번째 도전 땐 좀 더 위로 높이 벽을 세웠다. 이음새 부분의 둘레도 너무 넓지 않게 했다. 역시 첫 번째보다 나은 결과물이 탄생했다. 노력과 시간은 배신하지 않는다.
한동안 한 덩어리짜리 달항아리만 차다가 (오직 이 칼럼을 쓰기 위해) 오랜만에 두 덩어리짜리를 찼다. 지난번 실패를 곱씹어보며 항아리 벽면 라인을 길쭉하게 뽑았다. 바닥이 될 곳의 흙 두께를 충분하게 주고 윗부분이 될 곳은 구멍을 뚫어 전을 만들어야하니 두껍지 않게 했다. 달항아리 윗부분이 될 널찍한 반쪽의 모양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아 하나를 예비로 더 만들었다. 건조된 뒤 더 이쁜 아이를 골라 붙이면 될 일이다. 4~5일 뒤 자연건조된 기물 두 덩이는 '반건조' 상태라고 부른다. 굽을 깎고 벽면을 다듬기 위해선 반건조 상태여야 한다. 다 말라버리면 깎을 수가 없고 무리해서 깎다간 갈라지고 부서지기 십상이다. 제일 먼저 할 일은 달항아리의 아랫부분을 물레 위에 뒤집어 놓고 굽을 깎는 일이다. 두 기물을 붙이면 무거워지기 때문에 그 전에 마쳐야 한다. 너무 벽이 얇거나 두껍지 않게 예쁜 모양으로 깎아주고, 굽을 적당한 높이로 만들어준다. 이제 아랫부분을 뒤집어놓고 이음새 부분을 칼로 긁어 마찰력을 높여줘야 한다. 물을 발라가며 긁어준 뒤 그 위에 접합제 역할을 하는 슬립(흙물)을 발라준다. 달항아리 윗부분에도 이음새에 동일하게 해준다. 이제 윗부분을 아랫부분 위에 뒤집어 붙여준다. 이음새의 둘레가 동일하다면 딱 맞게 붙게 된다. 물론, 똑같이 만들었어도 건조 과정에서 줄어드는 정도가 각기 다를 수 있다. 이땐 스펀지에 물을 묻혀 너비를 같게 만들어주면서 붙여야 한다. 역시, 세상엔 쉬운 일이란 하나도 없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이음새 위에 흙가래를 붙인다. 물레를 천천히 돌려가며 흙가래를 위아래로 잘 펴준다. 너무 세게 누르면 안되고 흙을 너무 얇게 펴서도 안된다. 적당한 게 원래 어렵다. 잘 펴준 뒤엔 윗부분에 구멍을 뚫고 안쪽 이음새에도 흙가래를 붙여준다. 달항아리가 크기 때문에 일어서서 항아리 안으로 팔을 넣어 천천히 잘 펴줘야 한다. 세어보진 않았지만 안쪽 흙가래를 붙이는 데만도 100번 이상 물레를 돌린 것 같다. 팔이 떨어져나가는 줄 알았다. 이제 끝나간다. 다 잘 붙였다 싶으면 윗부분 벽면과 전 부분을 다듬어준다. 아랫부분과 라인이 잘 이어지도록 칼로 다듬고 전의 높이, 두께를 정해 깎아준다. 크기가 큰 달항아리일수록 전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볼쌍사납다. 뭐든지 '적당'해야 하고 '균형'을 이뤄야 한다. 크기나 높이를 정해놓고 찬 건 아니지만 완성하고 보니 높이가 약 44㎝였다. 물론 건조과정과 가마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좀 더 줄어들 테지만 이만하면 꽤 크다 싶어 만족스러웠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공방에 가보니 반건조 상태였던 달항아리가 잘 마르고 있었다. 상온에서 천천히, 충분히 건조시켜야만 가마에서 구웠을 때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물론 잘 건조된 기물도 갈라지기 십상이지만(그건 어디까지나 가마'신' 마음에 달렸다).
그렇게 완성된 달항아리는 아직 1차 가마 소성(초벌)을 기다리고 있다. 큰 기물일수록 열흘 이상의 시간을 건조해야 한다. 아마도 이번 주말쯤 초벌에 들어갈 수 있을 게다. 그 다음 과정은 유약을 바른 뒤 재벌(2차 가마 소성)하는 것이다. 과연 이음새 부분이 갈라지지 않고 예쁘게 완성될 수 있을까? 완성되면 어떤 색깔의 유약을 발라볼까? 이중시유(두 가지 유약을 섞어 바르는 기법)를 해볼까, 안과 밖을 다른 색으로 해볼까? 완성된 이 달항아리는 내가 어딘가에서 바라봤던 달과 닮아있을까? 오늘도 난 달항아리 생각에 푹 잠긴 채 퇴근한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예전에도 우리 선조들은 큰 한 덩이로도, 두 덩이를 따로 찬 뒤 합쳐서도 달항아리를 만들었더랬다. 마치 대접 모양으로 두 기물을 만든 위 이음새를 붙여서 완성하는 '업다지' 기법의 달항아리는 그 이음새 부분을 일부러 두드러지게 그냥 두기도 한다. "이어붙였다"는 티를 내는 것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방식의 달항아리를 '조선시대 전통 달항아리'로 보고 더 선호한다고. 그래서일까. 올 3월 미국 뉴욕 크리스티경매에선 18세기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가 456만달러(약 59억6000만원)에 낙찰됐다. 완벽한 구 형태도 아니고 새하얗지도 않았다. 두 개를 이어붙인 이음새도 선명했다.
크리스티측은 "달항아리의 비대칭, 즉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불완전함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사물들 사이의 미묘한 변화를 반영한다"고 했다. "그래서 완벽한 원형보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달과 더 비슷하게 보이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마치 자연의 섭리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진짜 달 같은 달항아리의 아름다움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나도 해보고 싶었다, 조선시대 전통 달항아리. 그러나 첫 도전은 항상 어설픈 법. 일단 두 대접 모양의 흙을 만들 때부터 옆으로 자꾸 벌어지는 흙을 주워담기가 어려웠다. 이음새 부분의 둘레를 똑같이 맞춰야 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달항아리의 윗부분과 아랫부분 모양을 어떻게 하는 게 예쁠 지 감이 오지 않았다. 비슷하게 대접처럼 두 개를 만들어 붙였더니 위 사진(왼쪽)처럼 넙적한 항아리가 탄생해버렸다. 이음새도 너무 툭 튀어나와 눈에 거슬렸다.
두 번째 도전 땐 좀 더 위로 높이 벽을 세웠다. 이음새 부분의 둘레도 너무 넓지 않게 했다. 역시 첫 번째보다 나은 결과물이 탄생했다. 노력과 시간은 배신하지 않는다.
한동안 한 덩어리짜리 달항아리만 차다가 (오직 이 칼럼을 쓰기 위해) 오랜만에 두 덩어리짜리를 찼다. 지난번 실패를 곱씹어보며 항아리 벽면 라인을 길쭉하게 뽑았다. 바닥이 될 곳의 흙 두께를 충분하게 주고 윗부분이 될 곳은 구멍을 뚫어 전을 만들어야하니 두껍지 않게 했다. 달항아리 윗부분이 될 널찍한 반쪽의 모양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아 하나를 예비로 더 만들었다. 건조된 뒤 더 이쁜 아이를 골라 붙이면 될 일이다. 4~5일 뒤 자연건조된 기물 두 덩이는 '반건조' 상태라고 부른다. 굽을 깎고 벽면을 다듬기 위해선 반건조 상태여야 한다. 다 말라버리면 깎을 수가 없고 무리해서 깎다간 갈라지고 부서지기 십상이다. 제일 먼저 할 일은 달항아리의 아랫부분을 물레 위에 뒤집어 놓고 굽을 깎는 일이다. 두 기물을 붙이면 무거워지기 때문에 그 전에 마쳐야 한다. 너무 벽이 얇거나 두껍지 않게 예쁜 모양으로 깎아주고, 굽을 적당한 높이로 만들어준다. 이제 아랫부분을 뒤집어놓고 이음새 부분을 칼로 긁어 마찰력을 높여줘야 한다. 물을 발라가며 긁어준 뒤 그 위에 접합제 역할을 하는 슬립(흙물)을 발라준다. 달항아리 윗부분에도 이음새에 동일하게 해준다. 이제 윗부분을 아랫부분 위에 뒤집어 붙여준다. 이음새의 둘레가 동일하다면 딱 맞게 붙게 된다. 물론, 똑같이 만들었어도 건조 과정에서 줄어드는 정도가 각기 다를 수 있다. 이땐 스펀지에 물을 묻혀 너비를 같게 만들어주면서 붙여야 한다. 역시, 세상엔 쉬운 일이란 하나도 없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이음새 위에 흙가래를 붙인다. 물레를 천천히 돌려가며 흙가래를 위아래로 잘 펴준다. 너무 세게 누르면 안되고 흙을 너무 얇게 펴서도 안된다. 적당한 게 원래 어렵다. 잘 펴준 뒤엔 윗부분에 구멍을 뚫고 안쪽 이음새에도 흙가래를 붙여준다. 달항아리가 크기 때문에 일어서서 항아리 안으로 팔을 넣어 천천히 잘 펴줘야 한다. 세어보진 않았지만 안쪽 흙가래를 붙이는 데만도 100번 이상 물레를 돌린 것 같다. 팔이 떨어져나가는 줄 알았다. 이제 끝나간다. 다 잘 붙였다 싶으면 윗부분 벽면과 전 부분을 다듬어준다. 아랫부분과 라인이 잘 이어지도록 칼로 다듬고 전의 높이, 두께를 정해 깎아준다. 크기가 큰 달항아리일수록 전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볼쌍사납다. 뭐든지 '적당'해야 하고 '균형'을 이뤄야 한다. 크기나 높이를 정해놓고 찬 건 아니지만 완성하고 보니 높이가 약 44㎝였다. 물론 건조과정과 가마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좀 더 줄어들 테지만 이만하면 꽤 크다 싶어 만족스러웠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공방에 가보니 반건조 상태였던 달항아리가 잘 마르고 있었다. 상온에서 천천히, 충분히 건조시켜야만 가마에서 구웠을 때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물론 잘 건조된 기물도 갈라지기 십상이지만(그건 어디까지나 가마'신' 마음에 달렸다).
그렇게 완성된 달항아리는 아직 1차 가마 소성(초벌)을 기다리고 있다. 큰 기물일수록 열흘 이상의 시간을 건조해야 한다. 아마도 이번 주말쯤 초벌에 들어갈 수 있을 게다. 그 다음 과정은 유약을 바른 뒤 재벌(2차 가마 소성)하는 것이다. 과연 이음새 부분이 갈라지지 않고 예쁘게 완성될 수 있을까? 완성되면 어떤 색깔의 유약을 발라볼까? 이중시유(두 가지 유약을 섞어 바르는 기법)를 해볼까, 안과 밖을 다른 색으로 해볼까? 완성된 이 달항아리는 내가 어딘가에서 바라봤던 달과 닮아있을까? 오늘도 난 달항아리 생각에 푹 잠긴 채 퇴근한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