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아파트촌 형성된 용인갑 … 이젠 ‘조직 선거’ 안 통한다
與野 선거 전략통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내년 격전지’
전통적으로 토박이·농촌 인구 많아 보수세 강했지만
‘한숲시티’ 등에 40대와 외지인 유입되며 변화 감지

현재 무주공산 … 국힘 현역
·민주 지역위원장 모두 구속
“용인 원도심은 토박이가 많아 이른바 ‘조직 선거’가 가능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 아파트촌이 형성되고 젊은층과 외지인이 대거 유입되면서 더 이상 선거 조직 만으로 통하지 않는 지역이 됐죠.”(용인 지역 정가 관계자)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일대 '용인 갑'은 여야 선거 전략통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내년 총선 격전지다. 전통적으로 토박이 및 농촌 인구가 많아 용인 내에서도 대체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여겨졌지만, 빠르게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면서 인구 지형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 전경. 대림산업 제공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 전경. 대림산업 제공
그렇다고 특정 정당이 우세한 흐름이 이어지는 곳도 아니다. 2020년 총선에선 용인 내 유일하게 보수정당 후보(정찬민 미래통합당 의원)를 당선시켰지만, 2022년 대선에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더 많은 표를 던졌다. 같은 해 이어진 지방선거에선 다시 국민의힘 후보들에게 경기지사·용인시장·도의원 표를 몰아 줬다.

현역 의원과 야당 지역위원장까지 모두 구속 상태라 '무주공산'이라는 점에서도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지역 정가에 따르면 내년 총선 출마 의사를 밝히며 지역 활동 중인 인사만 10여명에 달한다.

2만 유권자 '캐스팅 보트' 한숲시티

지역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선 내년 이 지역의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될 곳으로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와 '역북지구'를 동시에 꼽았다.

한숲시티는 6800가구에 달하는 매머드급 단지다.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인 허허벌판에 아파트만 우뚝 솟아 있어 2015년 분양 당시만 해도 '한숨시티'라는 오명을 들었지만, 신축 아파트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2021년 남사면에서 남사읍으로 승격됐다. 유권자 2만여 명이 한꺼번에 생겨난 것이다.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 전경. 대림산업 제공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 전경. 대림산업 제공
구속 수감 중인 정찬민 현역 의원의 등록 거주지가 한숲시티였을 정도로 지역 양당에서 모두 선거 때 집중 관리 대상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지역위원회 관계자는 "한숲시티에 40대가 대거 유입되면서 민주당세가 강해진 것으로 판단한다"며 "용인 시내와도 아파트가 많이 떨어져 있어 토박이 여론의 영향을 덜 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숲시티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는 "전용 84㎡가 4억원 안팎에서 거래돼 10대 자녀를 둔 40~50대 부부가 주로 많이 거주한다"며 "외지인이 많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아파트촌 형성된 용인갑 … 이젠 ‘조직 선거’ 안 통한다
처인구 최대 상권으로 부상한 역북지구도 신규 아파트만 1만4000여가구에 달한다. 3만여명의 인구가 거주 중이다. 인근 역삼지구를 아울러 명지대, 명지대사거리, 용인시청을 삼각구도로 하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국민의힘 당협 관계자는 "한숲시티와 역북지구가 입주하면서 선거 지형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며 "타지 유입 인구가 많아 예측이 어려워졌다"고 했다.

이주민 증가 … 조직의 힘 발휘 어렵다

지역 정가에 따르면 선거 지형 변화는 이미 2020년 총선부터 감지됐다는 평가다. 용인에서 유일하게 보수정당 후보로 정 의원이 당선됐던 선거다. 민주당이 180석을 싹쓸이 할 정도로 '민주당 바람'이 불었던 선거였지만 당시엔 오랫동안 지역 기반을 쌓아온 정 의원이 '조직'의 힘을 동원해 이겼다.

민주당 관계자는 "용인에서도 난개발이 이뤄진 곳이다보니 그로 인해 부를 축적한 토박이층이 많고, 이들이 여론을 주도하는 조직 정치가 통하던 곳"이라며 "보수세가 대체로 강하긴 해도 조직력을 이용해 민주당도 번갈아가며 당선이 가능했지만, 2015년부터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조직 선거가 점점 어려워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2022년 대선에서는 용인시 내에서 이재명 후보의 표가 가장 많이 나왔다. 용인갑에선 이 후보가 윤석열 당시 후보를 3.16%포인트 앞질렀다. 인근 기흥구와 수지구가 집값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 문제 영향을 받았다면, 상대적으로 신규 아파트 집값이 저렴했던 처인구는 외지인과 젊은층 유입이 더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민주당 지역위원장이던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이재명 대표 측근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반면 3개월 뒤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는 경기지사·용인시장·도의원 모두 국민의힘에 표를 몰아줬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선 직후였고, 지역 개발에 확실히 밀어줄 수 있는 여당을 선호했던 결과"라고 해석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주민들은 기존 원주민과 달리 지역 정치 논리에 갇혀 투표할 확률은 낮다"며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지역인 만큼 인프라 확충이나 교육·교통난 개선 등 실질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줄 인물이나 정당에 투표하려는 성향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구속의 땅'? … 후보군, 우후죽순

용인갑은 내년 총선에서 여야 모두 예측이 어려운 격전지로 꼽히지만 현재는 무주공산이다. 국민의힘 소속 현역 의원에 이어 민주당 지역위원장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도 구속 수감 상태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정치인들이 비리 혐의로 사법처리 되는 '정치 흑역사'가 잇따르는 곳이다. 17~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우제창 전 의원(당시 민주통합당), 19~20대 이우현 전 의원(당시 자유한국당) 모두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징역형을 받았다. 역대 민선 용인시장 7명도 뇌물 혐의, 사전 선거운동 혐의 등으로 모두 법정에 섰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처인구는 용인 면적의 80%를 차지하고 개발이 계속 진행되다보니 이권을 둘러싸고 전형적인 토착 비리가 만연했다"고 했다.
용인 역삼지구 조감도. 용인시 제공
용인 역삼지구 조감도. 용인시 제공
이 지역에서 내년 총선 출마가 거론되는 인물은 20명에 달한다. 10여명이 출마 선언 의사를 보였고, 자천타천 언급되는 인사들도 다수 있다. 민주당에선 이우일 지역위원장 직무대행과 권인숙 의원(비례), 백군기 전 용인시장, 오세영 전 지역위원장, 우제창 전 의원 등이 거론된다. 국민의힘에선 강만희 세무법인 다율 대표세무사, 김대남 대통령 시민사회수석실 국민통합국장, 김희철 전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 등이 총선 채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인=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