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용자보수비율 2021년 67.5%→지난해 68.7%로 상승
시간당 노동생산성 49.4달러…독일 88달러·미국 87.6달러
노동소득분배 개선됐지만…한국, 생산성은 OECD 33위
지난해 국민계정에서 노동을 대가로 가계에 돌아가는 몫은 늘어났지만 기업의 몫은 줄어들면서 노동 소득분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생산성 역시 개선됐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그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피용자보수는 1천29조7천억원으로 전년(982조8천억원) 대비 4.77%(46조9천억원) 증가했다
반면 영업잉여는 434조7천억원으로 2021년(449조2천억원) 대비 3.23%(14조5천억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피용자보수 비율은 68.7%로, 전년(67.5%) 대비 1.2%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용자보수 비율은 2018년 63.5%에서 2019년 66.4%, 2020년 68.4%까지 높아졌다가 2021년 67.5%로 하락했지만 지난해 다시 상승했다.
노동소득분배 개선됐지만…한국, 생산성은 OECD 33위
피용자보수는 국민소득 중 노동의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임금 등을 의미하며, 영업잉여는 기업에 돌아가는 몫을 나타낸다.

피용자보수 비율은 요소비용국민소득(피용자보수+영업잉여)에서 피용자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한국은행은 과거에 노동소득분배율이라는 명칭을 쓰다가 피용자보수에 자영업자나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근로자 노동비용이 포함되지 않는 점을 고려, 지난해 이를 피용자보수 비율로 변경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지난달 내놓은 '2023 대한민국 경제' 보고서에서 "국내총생산 중 노동의 몫으로 돌아가는 비중은 2010년 이후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피용자보수 비율은 2008년 61.1%에서 2022년 68.7%로 14년간 약 7.6%p 상승했다"고 밝혔다.

자영업자의 소득인 혼합소득을 반영해 노동-자본 간 분배를 살펴봐도 노동에 분배되는 몫은 상승세에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더디게 개선되면서 여전히 주요국 중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예산정책처가 한국생산성본부 자료를 인용한 데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전산업의 노동생산성 지수는 110.2(2015=100)로 전년(107.8) 대비 2.22% 상승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102.7로, 지난해 1분기(104.7) 대비 1.92% 하락했다.

노동생산성은 노동 투입당 산출의 비율로 정의되며, 보통 부가가치를 취업자 수(또는 총 노동시간)로 나눈 1인당(노동 시간당) 부가가치를 지수화해 나타낸다.

노동생산성 증가는 동일한 투입으로 더 많은 산출물(생산량 또는 부가가치)을 얻거나 동일한 산출물을 보다 적은 투입으로 얻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동생산성은 경제 전체 성장 가능성을 측정하는 중요지표로 여겨진다
예산정책처는 "우리나라 전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 직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2021∼2022년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나 올해 1분기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부가가치 증가율이 둔화했지만 노동 투입 증가율은 큰 폭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OECD 국가별 노동생산성 비교를 위해 시간당 노동생산성을 사용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49.4달러(PPP 적용)로 37개국 중 33위에 그쳤다.

이는 OECD 평균(64.7달러)의 4분의 3 수준이다.
노동소득분배 개선됐지만…한국, 생산성은 OECD 33위
노동생산성 1위인 아일랜드(155.5달러)와 비교하면 30% 수준이고, 독일(88.0달러)과 미국(87.6달러), 핀란드(80.3달러) 등은 물론 일본(53.2달러)에 비해서도 생산성이 떨어졌다.

우리나라보다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는 국가는 그리스와 칠레, 멕시코, 콜롬비아 등 4개국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