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만성질환자 늘었지만 '대체로 건강'
최근 10여년 간 국내 고령층 중 만성질환자는 증가했지만, 노인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좋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와 강민구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교수팀은 2008~2020년 국내 만 65세 이상 노인 1만7784여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노쇠 지수 등을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고령층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지표가 노쇠다. 허약한 정도를 확인하는 노쇠는 노화와 질병 등으로 전반적인 인체 기능이 떨어져 외부 스트레스 등에 취약해진 상태를 말한다. 생활 습관이 불규칙하거나 질병을 앓고 있을 때, 질환 치료를 위한 약제 복용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신체 활동이 떨어지면 노쇠 위험은 증가한다.

정 교수팀은 동반 질환, 기능적 수행 능력, 징후 및 증상, 검사 수치 등 4개 영역 30여 가지 항목을 평가해 노쇠 지수를 측정했다. 지수에 따라 건강한 단계, 노쇠 전 단계, 노쇠 단계로 분류했다. 지수가 0.2점 미만이면 건강한 단계, 0.2점 이상이면 노쇠 전 단계다. 노쇠 전 단계는 노화와 만성질환이 함께 영향을 줘 걷는 속도가 점차 느려지고 허리가 약간 굽고 근육이 조금 빠진 상태다.

국내 고령층의 평균 노쇠지수는 2008년 0.23점에서 2020년 0.18점으로 낮아졌다. 전반적인 상태가 노쇠 전 단계에서 건강한 단계로 나아졌다는 의미다. 노쇠 비율은 2008년 41.1%에서 2020년 23.1%로 절반 정도 줄었다. 노쇠하지 않고 건강한 노인 비율은 2008년 28.7%에서 2020년 44.2%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2008년 17.9%에서 2020년 40.9%로, 당뇨병은 20.6%에서 30.0%, 심혈관질환은 5.6%에서 9.3%까지 증가했다. 반면 씹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비율은 2008년 59.4%에서 2020년 33.1%까지 줄었다. 일상 활동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비율은 42.2%에서 12.0%로, 흡연자는 17.0%에서 9.3%로 줄었다.

정 교수는 “의료 접근성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와 예방조치를 취한 게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젊을 때부터 규칙적 생활 습관과 운동,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