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만성질환자 늘었지만 '대체로 건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년간 분석…노쇠지수 낮아져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와 강민구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교수팀은 2008~2020년 국내 만 65세 이상 노인 1만7784여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노쇠 지수 등을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정 교수팀은 동반 질환, 기능적 수행 능력, 징후 및 증상, 검사 수치 등 4개 영역 30여 가지 항목을 평가해 노쇠 지수를 측정했다. 지수에 따라 건강한 단계, 노쇠 전 단계, 노쇠 단계로 분류했다. 지수가 0.2점 미만이면 건강한 단계, 0.2점 이상이면 노쇠 전 단계다. 노쇠 전 단계는 노화와 만성질환이 함께 영향을 줘 걷는 속도가 점차 느려지고 허리가 약간 굽고 근육이 조금 빠진 상태다.
국내 고령층의 평균 노쇠지수는 2008년 0.23점에서 2020년 0.18점으로 낮아졌다. 전반적인 상태가 노쇠 전 단계에서 건강한 단계로 나아졌다는 의미다. 노쇠 비율은 2008년 41.1%에서 2020년 23.1%로 절반 정도 줄었다. 노쇠하지 않고 건강한 노인 비율은 2008년 28.7%에서 2020년 44.2%로 늘었다.
정 교수는 “의료 접근성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와 예방조치를 취한 게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젊을 때부터 규칙적 생활 습관과 운동,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