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불황·일손 부족 이중고…65%가 年판매 1000만원 미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형 유통업체와 손잡고 ‘몸집’을 키우거나 첨단화에 성공한 농가가 있는 반면 뚜렷한 판로가 없는 상당수 영세 농가는 불황으로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 여기에 청년 인구 감소와 외국인 근로자 이탈에 따라 일손 부족이 심화해 이중고를 겪는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농가의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66만6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65.1%를 차지했다. 판매액 1000만원 미만 농가는 2017년 46만3000가구(44.5%)에서 5년 만에 20만 가구 넘게 급증했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대형화, 상품 혁신에 성공한 농가에만 유통업체가 몰리다 보니 대다수 농가는 지역농협에 납품하는 데 의존하고 있다”며 “매출이 줄어 대형화나 품종 개량 등은 꿈도 못 꾸고, 수입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다”고 지적했다.
근로자 부족 및 임금 상승으로 한계에 직면한 농가도 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농촌 일손이 부족해지자 농번기에 외국인 근로자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농가의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66만6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65.1%를 차지했다. 판매액 1000만원 미만 농가는 2017년 46만3000가구(44.5%)에서 5년 만에 20만 가구 넘게 급증했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대형화, 상품 혁신에 성공한 농가에만 유통업체가 몰리다 보니 대다수 농가는 지역농협에 납품하는 데 의존하고 있다”며 “매출이 줄어 대형화나 품종 개량 등은 꿈도 못 꾸고, 수입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다”고 지적했다.
근로자 부족 및 임금 상승으로 한계에 직면한 농가도 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농촌 일손이 부족해지자 농번기에 외국인 근로자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