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맘대로 노래 부른다…美, 세계 첫 뇌파로 연주 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두개골 피하에 전극 92개 삽입
AI가 기록·해독…단어·소리 재구성
신경질환 환자 의사소통 도와줘
AI가 기록·해독…단어·소리 재구성
신경질환 환자 의사소통 도와줘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UC버클리) 소속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인간 뇌파로 곡을 연주하는 데 성공했다. 뇌졸중,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등 신경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강세나 억양과 같은 음악적 요소를 가미해 의사소통하도록 돕는 획기적인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을 거란 평가다.
16일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번 실험은 이날 국제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연구팀은 뇌전증(간질) 수술 경험이 있는 29명의 환자에게 영국 록 밴드 핑크플로이드의 1979년 앨범 ‘더 월’에 실린 수록곡 ‘어나더 브릭 인 더 월 파트1’을 들려준 뒤 음악을 듣는 동안 이들의 뇌 활동을 분석했다. 두개골 피하에 총 92개 전극을 삽입해 뇌로부터 나오는 전기 신호를 포착하는 뇌파검사(EEG)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AI 기술로 뇌파 기록을 해독한 뒤 이를 기반으로 곡에 사용된 단어와 소리를 재구성했다. 분명하진 않았지만 ‘그저 벽 속의 벽돌이었을 뿐’이라는 노래 구절이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구현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나이트 UC버클리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는 “마치 물속에서 말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이런 시도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를 로봇처럼 내뱉는 형식이 아니라 인간이 말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언어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가 의미 있다는 설명이다. 앞으로는 루게릭병을 앓았던 고(故) 스티븐 호킹 박사처럼 부자연스럽게 소리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다.
이 연구팀은 이전에도 입 밖으로 말을 꺼내지 않고 상상한 단어가 무엇인지 맞히는 데 성공했다. EEG를 활용한 단어 재구성 실험은 2012년 처음 시작됐고 10년이 지난 지금 노래 마디를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16일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번 실험은 이날 국제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연구팀은 뇌전증(간질) 수술 경험이 있는 29명의 환자에게 영국 록 밴드 핑크플로이드의 1979년 앨범 ‘더 월’에 실린 수록곡 ‘어나더 브릭 인 더 월 파트1’을 들려준 뒤 음악을 듣는 동안 이들의 뇌 활동을 분석했다. 두개골 피하에 총 92개 전극을 삽입해 뇌로부터 나오는 전기 신호를 포착하는 뇌파검사(EEG)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AI 기술로 뇌파 기록을 해독한 뒤 이를 기반으로 곡에 사용된 단어와 소리를 재구성했다. 분명하진 않았지만 ‘그저 벽 속의 벽돌이었을 뿐’이라는 노래 구절이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구현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나이트 UC버클리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는 “마치 물속에서 말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이런 시도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를 로봇처럼 내뱉는 형식이 아니라 인간이 말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언어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가 의미 있다는 설명이다. 앞으로는 루게릭병을 앓았던 고(故) 스티븐 호킹 박사처럼 부자연스럽게 소리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다.
이 연구팀은 이전에도 입 밖으로 말을 꺼내지 않고 상상한 단어가 무엇인지 맞히는 데 성공했다. EEG를 활용한 단어 재구성 실험은 2012년 처음 시작됐고 10년이 지난 지금 노래 마디를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