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신선식품 제외)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이 전월보다 둔화했다.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기준으로 삼는 근원 CPI 상승률이 높게 나오긴 했지만, 일본은행이 통화긴축 기조로 전환할 가능성은 아직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총무성은 신선식품을 제외하고 산정한 7월 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 올랐다고 18일 발표했다. 전월(3.3%) 대비 상승폭이 둔화했고, 시장 추정치에도 부합했다. 단 일본은행의 목표치(2%)를 16개월 연속 웃돌았다. 3%대 상승률을 11개월째 이어갔다. 신선식품 가격이 포함된 CPI 상승률은 3.3%로 시장 추정치(2.5%)를 웃돌았다.

시장은 서비스 물가에 주목했다. 일본의 7월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로 1.6%를 기록한 전월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판매세 인상 효과가 있던 1997년을 제외하면 1993년부터 일본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 아래였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일본에서도 인플레이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일부 상품에 집중됐던 물가 상승세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되기도 한다.

그러나 물가 지표 때문에 일본은행이 금융완화 정책을 크게 바꿀 가능성은 작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물가상승률 2%가 안정적·지속적으로 이어질 때 금융완화책인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수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단 식품 등의 가격 상승이 아니라 임금 상승과 내수 증대로 물가가 오르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가브리엘 응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지 않았는데 물가가 오르면서 실질소득이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민간소비가 향후 위축되면 일본은행이 당분간 단기 정책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