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도 탐낸 그 회사…86조 기업 상장 초읽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반도체 설계 1위 Arm, 내달 나스닥 상장 추진
소프트뱅크, 비전펀드1 보유 '25% 지분' 인수
소프트뱅크, 비전펀드1 보유 '25% 지분' 인수
2년간 투자 손실로 고전해온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의 손정의 회장이 핵심 기술기업이자 추정가치 640억 달러(약 86 조원) 규모인 Arm의 미국 나스닥 상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현지시간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소프트뱅크그룹은 다음 달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할 것으로 알려진 Arm 지분 가운데 비전펀드가 보유하고 있던 25%를 인수했다.
앞서 손정의 회장은 2016년 스마트폰 핵심 프로세서(AP)와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설계 기술을 가진 Arm을 당시 약 320억 달러에 인수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이후 약 25%, 80억 달러 상당의 지분을 사우디 국부펀드등과 함께 조성한 100조원 규모 비전펀드1에 매각했다. Arm은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지적재산권 분야 점유율 41.1%, 모바일 프로세서 특허로 해당 분야 90%의 점유율을 가진 최대 기업이다. 애플과 삼성전자, 엔비디아 등의 반도체 업체가 모두 고객사다.
월스트리트저널과 파이낸셜타임즈 등에 따르면 이번 거래에서 소프트뱅크는 해당 지분 가치를 최초 매각 당시의 약 2배인 160억 달러 규모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뱅크는 이번에 되사들인 지분과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지분 75%를 더해 Arm 지분 90%를 보유하게 됐다.
이번 재인수 과정에서 사들인 지분의 대부분은 비전펀드1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공동투자한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그룹의 계열사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의 보유분으로 알려졌다. 손 회장은 투자은행 레인그룹에 협상 자문을 맡긴 후 비전펀드가 독립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심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달 중순 이후 상장할 것으로 알려진 Arm의 지분 가치는 약 640억 달러 규모, 우리 돈 약 86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 9월 엔비디아가 독과점 우려로 규제에 막힐 당시 추정 가치인 약 660억 달러 규모에 근접한 규모다.
Arm의 지난해 4분기(2022년 회계기준 3분기) 매출액은 7억 4,600만 달러로 우리돈 약 9,400억 원 상당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연간 매출액은 약 27억 달러, 우리 돈으로 3조 6천억 원에 달한다. 올해 전세계 기업공개 가운데 최대규모가 될 Arm의 투자에 참여할 기업과 투자기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Arm은 일부 파트너·고객사 가운데 소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해왔다. 현재까지 투자자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는 소프트뱅크가 Arm 상장 전 지분 매각으로 기업가치를 최대한 유지하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통상 기업공개 이후 지분 매각은 1년 이상 소요되는데다 향후 주가 변동 위험에 노출되는 등 일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올해 최대 기업공개가 성사될 경우 손정의 회장은 지난해부터 5분기 연속 진행된 투자 손실 오명을 벗을 기회를 얻게 된다. 손정의 회장은 2022년 회계연도(22년 4월~23년 3월) 약 9,701억엔, 우리 돈 9조 5,800억 원 규모의 적자를 내는 등 비전펀드 투자 손실로 인한 2년 연속 눈덩이 적자로 고전해왔다. 소프트뱅크그룹은 3분기 연속 적자를 지속했지만, 산하 비전펀드는 쿠팡과 그랩홀딩스 주가 반등에 힘입어 지난 2분기 1,598억엔, 약 1조 4,703억 원으로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이런 변화는 손 회장의 공격적인 투자기조를 재개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앞서 손 회장은 지난 6월 연례 주주총회에서 "3년간 수비를 철저히 한 결과 수중에 약 5조엔이 넘는 현금이 있다"며 "이제 공세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Arm 상장에 성공하게 되면 식료품 배달기업인 인스타카트(Instacart), 소프트웨어 기업인 데이터브릭스(Databricks) 등 그동안 미뤄온 스타트업의 상장을 재개할 동력을 얻게 된다. 이에 대해 럭스 캐피탈 공동설립자인 조쉬 울프는 파이낸셜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올해 말 아주 작은 IPO창이 열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소프트뱅크는 다음 주 재무와 운영에 대한 세부 계획이 담긴 F-1 문서를 공개하고 상장에 앞선 상세 정보를 공개할 전망이다.
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
현지시간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소프트뱅크그룹은 다음 달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할 것으로 알려진 Arm 지분 가운데 비전펀드가 보유하고 있던 25%를 인수했다.
앞서 손정의 회장은 2016년 스마트폰 핵심 프로세서(AP)와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설계 기술을 가진 Arm을 당시 약 320억 달러에 인수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이후 약 25%, 80억 달러 상당의 지분을 사우디 국부펀드등과 함께 조성한 100조원 규모 비전펀드1에 매각했다. Arm은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지적재산권 분야 점유율 41.1%, 모바일 프로세서 특허로 해당 분야 90%의 점유율을 가진 최대 기업이다. 애플과 삼성전자, 엔비디아 등의 반도체 업체가 모두 고객사다.
월스트리트저널과 파이낸셜타임즈 등에 따르면 이번 거래에서 소프트뱅크는 해당 지분 가치를 최초 매각 당시의 약 2배인 160억 달러 규모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뱅크는 이번에 되사들인 지분과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지분 75%를 더해 Arm 지분 90%를 보유하게 됐다.
이번 재인수 과정에서 사들인 지분의 대부분은 비전펀드1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공동투자한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그룹의 계열사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의 보유분으로 알려졌다. 손 회장은 투자은행 레인그룹에 협상 자문을 맡긴 후 비전펀드가 독립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심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달 중순 이후 상장할 것으로 알려진 Arm의 지분 가치는 약 640억 달러 규모, 우리 돈 약 86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 9월 엔비디아가 독과점 우려로 규제에 막힐 당시 추정 가치인 약 660억 달러 규모에 근접한 규모다.
Arm의 지난해 4분기(2022년 회계기준 3분기) 매출액은 7억 4,600만 달러로 우리돈 약 9,400억 원 상당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연간 매출액은 약 27억 달러, 우리 돈으로 3조 6천억 원에 달한다. 올해 전세계 기업공개 가운데 최대규모가 될 Arm의 투자에 참여할 기업과 투자기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Arm은 일부 파트너·고객사 가운데 소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해왔다. 현재까지 투자자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는 소프트뱅크가 Arm 상장 전 지분 매각으로 기업가치를 최대한 유지하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통상 기업공개 이후 지분 매각은 1년 이상 소요되는데다 향후 주가 변동 위험에 노출되는 등 일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올해 최대 기업공개가 성사될 경우 손정의 회장은 지난해부터 5분기 연속 진행된 투자 손실 오명을 벗을 기회를 얻게 된다. 손정의 회장은 2022년 회계연도(22년 4월~23년 3월) 약 9,701억엔, 우리 돈 9조 5,800억 원 규모의 적자를 내는 등 비전펀드 투자 손실로 인한 2년 연속 눈덩이 적자로 고전해왔다. 소프트뱅크그룹은 3분기 연속 적자를 지속했지만, 산하 비전펀드는 쿠팡과 그랩홀딩스 주가 반등에 힘입어 지난 2분기 1,598억엔, 약 1조 4,703억 원으로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이런 변화는 손 회장의 공격적인 투자기조를 재개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앞서 손 회장은 지난 6월 연례 주주총회에서 "3년간 수비를 철저히 한 결과 수중에 약 5조엔이 넘는 현금이 있다"며 "이제 공세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Arm 상장에 성공하게 되면 식료품 배달기업인 인스타카트(Instacart), 소프트웨어 기업인 데이터브릭스(Databricks) 등 그동안 미뤄온 스타트업의 상장을 재개할 동력을 얻게 된다. 이에 대해 럭스 캐피탈 공동설립자인 조쉬 울프는 파이낸셜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올해 말 아주 작은 IPO창이 열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소프트뱅크는 다음 주 재무와 운영에 대한 세부 계획이 담긴 F-1 문서를 공개하고 상장에 앞선 상세 정보를 공개할 전망이다.
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