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예술가, 비포장도로를 걷는 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한결 카라얀 젊은 지휘자상 2023년 수상자
내내 바빴던 지난 5년, 특히나 바빴던 2023년, 잠깐 숨 돌릴 시간이 생겨 지난날들을 회상해봤습니다.
2001년 초등학교 입학 후 피아노학원을 다니던 중, 작곡을 배우라고 권유받은 그 순간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날이 바로 ‘음악가의 길이 나의 길’이란 걸 처음 느낀 날이기 때문입니다. 이후 당연한 듯 이 길을 걸었습니다. 졸업을 1년 앞둔 2006년, 중학생이 되면 음악을 배우러 서울로 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주변에 음악가는 아무도 없었고 그러라고 시킨 사람도 없었죠. 그저 무엇에 홀린 듯 그렇게 홀로 길을 떠났습니다.
예원학교 입학식 때 만난 친구들이 평생 처음 만난 또래 음악가와 예술가였습니다. 개울, 뒷산, PC방, 운동장밖에 없었던 제 주변은 갑자기 음악과 예술로 뒤덮였습니다.
서울에서의 삶도 대구 외곽 촌동네에서 자란 저에게는 큰 변화였고 도전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특수한 입시제도와 그로 인해 상상했던 것과 많이 달랐던 교육방식에 저는 자퇴하고 독일로 향하는 비행편에 올랐습니다.
중학교 시절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등 기악을 전공하는 친구들이 부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다들 어릴 적부터 음악 세계를 접한 게 부러웠고, 무엇보다 기악과에는 좋은 교육 시스템이 많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각종 대회와 정기연주회 오디션 등 눈앞에 보이는 목표들이 있었거든요. 반면 시골에서 올라와 갑자기 작곡 전공 학생이 된 저에게는 누구도 뭘 해야 할지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아마 선생님들도 모르셨을 겁니다. 대회도, 오디션도, 연주 기회도 없었습니다. 당시엔 작곡이란 것 자체가 미지의 세계였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반기를 들었습니다. 기악과 친구들은 솔리스트 오디션을 준비하는데, 작곡 전공이란 이유로 정기연주회 때 강제로 합창을 하는 게 싫어서 교향곡 하나를 제멋대로 써 갔다가 퇴짜를 맞기도 했죠.
어느 순간 깨달았습니다. ‘음악 자체가 무한한 미지의 세계이자 미궁’이라는 걸요. 예술로 가는 길은 하나의 정답과 같은 길이 아니라 무수하게 많은 비포장도로가 있고, 예술가 스스로 그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현재와 과거의 대가들이 방향을 제시해주지만, 그걸 참고해 길을 완성하는 것은 각 예술가의 몫이라는 것도요.
이 글을 쓰다 보니 여태 ‘맨땅에 헤딩하며 살았구나’란 생각이 듭니다. 제가 걸어온 길이 미지의 길이었기에 오히려 마음 편히 부딪쳐 볼 수 있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아니면 저는 아마 단순하게 새로운 길,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좋아했던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2001년 초등학교 입학 후 피아노학원을 다니던 중, 작곡을 배우라고 권유받은 그 순간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날이 바로 ‘음악가의 길이 나의 길’이란 걸 처음 느낀 날이기 때문입니다. 이후 당연한 듯 이 길을 걸었습니다. 졸업을 1년 앞둔 2006년, 중학생이 되면 음악을 배우러 서울로 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주변에 음악가는 아무도 없었고 그러라고 시킨 사람도 없었죠. 그저 무엇에 홀린 듯 그렇게 홀로 길을 떠났습니다.
예원학교 입학식 때 만난 친구들이 평생 처음 만난 또래 음악가와 예술가였습니다. 개울, 뒷산, PC방, 운동장밖에 없었던 제 주변은 갑자기 음악과 예술로 뒤덮였습니다.
서울에서의 삶도 대구 외곽 촌동네에서 자란 저에게는 큰 변화였고 도전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특수한 입시제도와 그로 인해 상상했던 것과 많이 달랐던 교육방식에 저는 자퇴하고 독일로 향하는 비행편에 올랐습니다.
음악 위해 서울로, 다시 독일로
뮌헨에서 작곡을 공부했고, 피아노와 지휘도 함께 배웠습니다. 그렇게 집을 떠난 지 16년, 한국을 떠난 지 12년이 지났습니다. 돌아보면 저는 물 흐르듯 훤히 다 아는 길을 걸어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매 순간 하나도 모르는 미지의 길만 굳이 찾아 걸어왔더군요.중학교 시절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등 기악을 전공하는 친구들이 부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다들 어릴 적부터 음악 세계를 접한 게 부러웠고, 무엇보다 기악과에는 좋은 교육 시스템이 많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각종 대회와 정기연주회 오디션 등 눈앞에 보이는 목표들이 있었거든요. 반면 시골에서 올라와 갑자기 작곡 전공 학생이 된 저에게는 누구도 뭘 해야 할지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아마 선생님들도 모르셨을 겁니다. 대회도, 오디션도, 연주 기회도 없었습니다. 당시엔 작곡이란 것 자체가 미지의 세계였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반기를 들었습니다. 기악과 친구들은 솔리스트 오디션을 준비하는데, 작곡 전공이란 이유로 정기연주회 때 강제로 합창을 하는 게 싫어서 교향곡 하나를 제멋대로 써 갔다가 퇴짜를 맞기도 했죠.
정답 없는 길, 스스로 개척해야
그래서 독일로 떠났습니다. 독일에서 공부하면 길이 뻥 뚫릴 줄 알았는데, 더 미궁 속으로 빠져들었습니다. 좋은 선생님은 많았지만 저를 위한 길잡이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보이지 않던 길을 더 많이 보여주셔서 더욱더 혼란스럽게 됐습니다.어느 순간 깨달았습니다. ‘음악 자체가 무한한 미지의 세계이자 미궁’이라는 걸요. 예술로 가는 길은 하나의 정답과 같은 길이 아니라 무수하게 많은 비포장도로가 있고, 예술가 스스로 그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현재와 과거의 대가들이 방향을 제시해주지만, 그걸 참고해 길을 완성하는 것은 각 예술가의 몫이라는 것도요.
이 글을 쓰다 보니 여태 ‘맨땅에 헤딩하며 살았구나’란 생각이 듭니다. 제가 걸어온 길이 미지의 길이었기에 오히려 마음 편히 부딪쳐 볼 수 있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아니면 저는 아마 단순하게 새로운 길,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좋아했던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