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이 보험업계 상생금융 1호 상품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을 21일 출시했다. 결혼, 출산, 경제적 자립 등을 고민하는 2030세대 청년들을 위한 목돈 마련 목적의 저축보험이다. 한화생명은 "청년들의 경제적 안정과 미래 자립 기반 마련에 힘을 보태고자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5년간 5% 확정금리 제공

한화생명, 디딤돌 저축보험 출시…"월 75만원으로 5년에 5000만원"
한화생명 2030 목돈마련 디딤돌저축보험은 만 19세~39세,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000만원 이하면 누구나 가입 가능하다. 계약자와 보험대상자는 동일인이어야 한다. 가구 중위소득이나 우대 금리 등의 복잡한 제한 조건은 가입자 편의를 위해 최대한 단순화 했다는 설명이다.

5년간 연 5% 확정금리를 제공한다. 월 보험료 10만원~50만원까지 가능하고, 추가 납입을 통해 매월 최대 75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결혼을 앞둔 청년이나 자녀 계획이 있는 신혼부부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준다. 보험가입 후 결혼 시 0.5%, 자녀 1인 출산 시 0.5%, 추가로 자녀 1인 출산 시 1%로 최대 2%의 보너스를 지급한다.

보험기간 중 결혼이나 출산을 한 경우에만 해당하며, 만기 시점에 이미 납입한 보험료 전체에 대해 보너스를 지급한다. 만기 하루 전에 결혼을 했다 해도, 5년간 납입했던 보험료 전액에 대해 보너스 0.5%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취약계층을 위한 보험료 할인 혜택도 있다. 관련 법에서 정한 장애인, 저소득 한부모가정, 차상위 다문화가정인 경우 ‘상생할인’을 적용해 월 보험료의 1%(최대 5000원)까지 할인해 준다.

가입 후 1개월만 지나면, 중도 해지하더라도 원금을 보장한다. 5년 만기 시점의 환급률은 110% 내외 수준으로, 최대 가입금액인 월 보험료 75만원 납입 시 약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총 납입보험료가 4500만원임을 감안할 때, 연 100만원 가량의 수익(총 500만원)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9월부터 온라인 가입 가능

보험계약의 유지율을 제고하기 위해 중도인출, 납입 일시중지 기능도 탑재했다. 가입 1개월 후에는 해지환급금의 70% 범위 내에서 연 12회 중도인출이 가능하다. 보험료 납입 여력이 없어 계약 유지에 어려움이 생길 땐 일시중지를 이용해 해지를 방지할 수 있다.

보험상품이기 때문에 사망 및 재해 사고시 보장도 포함되어 있다. 보험기간 중 사망하면, 사망 당시 계약자적립금에 월 보험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더해 사망보험금을 지급한다. 재해 장해시에는 최대 1000만원에 장해지급률을 곱한 금액을 보장한다.

성윤호 한화생명 상품개발팀장은 “사업비는 최소화하고 고객 혜택은 극대화한 상품”이라며 “2030세대들이 폭넓게 좋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가입대상을 확대하고, 보험료 납입에 유연성을 더하는 등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 최적화돼 있다”고 강조했다.

당분간은 설계사를 통해 대면으로만 가입이 가능하다. 9월 온라인 채널에서도 가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다른 보험사도 상생상품 '고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과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가 지난 7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빌딩에서 열린 상생 금융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상생친구 협약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과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가 지난 7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빌딩에서 열린 상생 금융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상생친구 협약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뉴스1
한화생명은 지난 7월 '상생친구 협약식'을 열고 이 상품 출시 계획을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한화생명을 찾아 "한화생명의 상생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 원장이 '상생 압박'을 공표한 만큼 다른 생명·손해보험사도 상생상품 출시를 고민하고 있다.

보험사가 올해 역대급 실적을 거둔 만큼 다른 회사도 서둘러 상생상품을 내놔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적용됐을 뿐 보험사의 체질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며 "15년간 이익을 내지 말라는 실손보험 IFRS17 가이드라인과 최근 두 차례 이어진 자동차보험료 인하로 금융당국의 압박이 공식화됐는데 그 이상의 어떤 상생을 바라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