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0년 849억원을 투입하고 ‘연대협력협의체’를 출범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3년이 지났지만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게 바이오업계의 평가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정부 지원금이 대기업이나 대학교, 연구소 등으로 분산돼 실질적으로 소부장기업에는 많이 흘러가지 않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정부가 국산 소부장을 쓰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고, 세제 금융 혜택도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바이오 기술 뿐만 아니라 바이오 제조 분야에서도 세계를 선도하겠다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바이오 소부장의 최강자인 미국은 지난해 9월 바이오 제조 역량을 키우기 위해 20억달러(약 2조6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BBI)를 발표했다. 미 국방부는 바이오 제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민관 협력 사업에 5년간 10억달러를 투입하기로 했고 다른 부처들도 연구·개발(R&D), 정부 조달프로그램, 인력 양성 등 다방면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10년 내 바이오산업 시장 규모가 30조달러(약 4경290조원)로 커질 것으로 보고 바이오 소부장 자국화에 적극 나선 것이다.

기술집약적 산업인 바이오는 영업이익률이 20~50%로 6% 안팎인 기존 제조업 대비 월등히 높고 진입장벽이 높아 대표적인 미래 신수종산업으로 꼽힌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갈 길이 먼 상황이다. 국내 바이오 원료의약품 자급률은 평균 27.8%, 바이오 소부장 장비 국산화율은 16.5%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바이오 소부장은 중국에도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정책적으로 자국 바이오 소부장을 사용하도록 유도해온 덕분에 배지 레진 등 핵심 바이오 소부장 기술이 한국을 추월했다”고 말했다.

공장 설립과 관련해선 외국계 기업에 비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바이오기업 대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수요기업이 밀집한 인천 송도에 공장을 지으려고 4~5년간 지방자치단체를 설득해도 ‘외국투자기업만 가능하다’며 거절당했다”며 “반면 외국 소부장기업은 공장 설립 신청 수개월만에 지자체의 허가가 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강력한 육성 의지와 함께 바이오 대기업과 중소 소부장 기업 간 기술 상생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균민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대외부총장)는 “수요 기업이 소부장 기업에 적극적으로 기술 컨설팅을 해주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소부장 후발주자로서 가장 빨리 추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연대협력협의체에서 성공 사례가 많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5월부터 '소부장 테스트 프로그램’을 시행해 소부장 기업에 무료로 품질 개선 컨설팅을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싸이티바·써모피셔, 독일 머크·싸토리우스 등의 국내 공장 유치를 주도했고 해외 생산물량을 국내로 전환하고 있다. 셀트리온 역시 소부장업체의 샘플링백과 싱글유즈플랜트 등의 국산화를 지원해 직접 사용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 자동차와 스마트폰의 경쟁력은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를 떠받치는 1~3차 협력업체에서 나온다”며 “바이오도 초기 산업생태계 형성에 정부와 대기업의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오기환 바이오협회 전무는 “업력이 수백 년 된 외국회사를 도저히 따라잡기 어려운 분야도 있다”며 “이길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되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