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충무공 장검, 국보 등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순신 장검'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충무공 이순신이 직접 남긴 문구 새겨져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등 4건은 보물로
충무공 이순신이 직접 남긴 문구 새겨져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등 4건은 보물로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의 호국 의지가 담긴 장검 한 쌍이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됐다. 이순신의 허리띠를 보관했던 '요대함(腰帶函)'은 보물 '이순신 유물 일괄'에 추가됐다.
문화재청은 '이순신 장검(李舜臣 長劍)'을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칼이다.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두 자루의 장검이 한 쌍을 이룬다. '이순신 장검'에는 이순신이 직접 지은 문구가 새겨져 있다. 몸체가 196.8㎝인 칼의 칼날에는 '삼척서천산하동색(三尺誓天山河動色)', 197.2㎝인 또 다른 칼에는 '일휘소탕혈염산하(一揮掃蕩血染山河)'라고 적혀 있다.
모두 합치면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는 시구가 완성된다. 각 문구는 이순신의 유고 전집 <이충무공전서>(1795) 속 기록과 일치한다. 유물에는 장검의 제작 시기와 제작자에 관한 정보도 새겨져 있다. 칼자루 안에 적힌 '갑오사월일조태귀련이무생작(甲午四月日造太貴連李茂生作)'이란 문구에서 '갑오년 4월에 태귀련과 이무생이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충무공 이순신의 역사성을 상징하는 유물로 가치가 탁월하고,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분명하며, 조선 도검의 전통 제작기법에 일본 제작기법이 유입돼 적용된 양상을 밝힐 수 있으므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련된 균형미와 조형감각 등 뛰어난 제작 기술과 수준 높은 예술성을 두루 갖췄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번 유물은 외날이라는 특성상 '이순신 장도'란 이름으로 국보로 지정 예고됐지만, 이날 정식으로 국보에 오르며 '이순신 장검'이란 명칭으로 바뀌었다. 전통적으로 '도(刀)'는 외날, '검(劍)'은 양날의 칼을 뜻한다. 문화재청은 "고대에 이미 '도'와 '검'의 표현이 혼용돼왔고, 오랜 기간 '장검'으로 불렸다는 점 등을 고려해 '이순신 장검'으로 국보 지정했다"고 했다. 보물 '이순신 유물 일괄'에서 '이순신 장검'이 빠진 자리는 '요대함'이 채웠다. 허리띠를 담아 보관했던 원형의 나무함으로, 함 속에 요대를 넣고 뚜껑처럼 덮는 형태다. 이로써 '이순신 유물 일괄'에는 기존의 '옥로(玉鷺)', '복숭아 모양 잔과 받침', '요대(腰帶)'에 '요대함'이 추가된 구성을 갖게 됐다.
한편 추사 김정희의 학문과 예술세계를 대변하는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조선 중기 제작된 불화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조선 전기 동종 양식을 계승한 '파주 보광사 동종', 고려 공민왕 대 제작된 불교 경전 목판본인 '불조삼경' 등 유물 4건은 보물로 지정됐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문화재청은 '이순신 장검(李舜臣 長劍)'을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칼이다.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두 자루의 장검이 한 쌍을 이룬다. '이순신 장검'에는 이순신이 직접 지은 문구가 새겨져 있다. 몸체가 196.8㎝인 칼의 칼날에는 '삼척서천산하동색(三尺誓天山河動色)', 197.2㎝인 또 다른 칼에는 '일휘소탕혈염산하(一揮掃蕩血染山河)'라고 적혀 있다.
모두 합치면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는 시구가 완성된다. 각 문구는 이순신의 유고 전집 <이충무공전서>(1795) 속 기록과 일치한다. 유물에는 장검의 제작 시기와 제작자에 관한 정보도 새겨져 있다. 칼자루 안에 적힌 '갑오사월일조태귀련이무생작(甲午四月日造太貴連李茂生作)'이란 문구에서 '갑오년 4월에 태귀련과 이무생이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충무공 이순신의 역사성을 상징하는 유물로 가치가 탁월하고,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분명하며, 조선 도검의 전통 제작기법에 일본 제작기법이 유입돼 적용된 양상을 밝힐 수 있으므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련된 균형미와 조형감각 등 뛰어난 제작 기술과 수준 높은 예술성을 두루 갖췄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번 유물은 외날이라는 특성상 '이순신 장도'란 이름으로 국보로 지정 예고됐지만, 이날 정식으로 국보에 오르며 '이순신 장검'이란 명칭으로 바뀌었다. 전통적으로 '도(刀)'는 외날, '검(劍)'은 양날의 칼을 뜻한다. 문화재청은 "고대에 이미 '도'와 '검'의 표현이 혼용돼왔고, 오랜 기간 '장검'으로 불렸다는 점 등을 고려해 '이순신 장검'으로 국보 지정했다"고 했다. 보물 '이순신 유물 일괄'에서 '이순신 장검'이 빠진 자리는 '요대함'이 채웠다. 허리띠를 담아 보관했던 원형의 나무함으로, 함 속에 요대를 넣고 뚜껑처럼 덮는 형태다. 이로써 '이순신 유물 일괄'에는 기존의 '옥로(玉鷺)', '복숭아 모양 잔과 받침', '요대(腰帶)'에 '요대함'이 추가된 구성을 갖게 됐다.
한편 추사 김정희의 학문과 예술세계를 대변하는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조선 중기 제작된 불화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조선 전기 동종 양식을 계승한 '파주 보광사 동종', 고려 공민왕 대 제작된 불교 경전 목판본인 '불조삼경' 등 유물 4건은 보물로 지정됐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