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LG 회장이 22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 자나두 연구소에서 크리스티안 위드브룩 자나두 CEO와 함께 양자컴퓨팅 관련 실험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LG 제공
구광모 LG 회장이 22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 자나두 연구소에서 크리스티안 위드브룩 자나두 CEO와 함께 양자컴퓨팅 관련 실험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LG 제공
구광모 LG 회장이 최근 미국·캐나다를 방문해 그룹의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인공지능(AI)·바이오 사업 현황을 살피고 경영 전략을 점검했다. 현지 유망 스타트업과 연구기관도 방문해 최신 기술 트렌드를 익히고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임직원들에게는 "LG는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10년, 20년을 미리 준비해 새로운 산업을 주도해 왔다"고 말하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적극적으로 도전할 것을 강조했다. 취임 5년차를 맞은 구 회장이 미래 사업 준비에 그치지 않고 핵심 역량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AI, 바이오 등 신사업 점검

LG는 24일 "구 회장이 21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나흘 간 LG화학 생명과학본부의 보스턴 법인과 계열사 아베오, 토론토의 LG전자 AI 랩(Lab) 등을 방문해 바이오와 AI 분야의 미래 사업을 점검했다"고 발표했다.

구 회장의 북미 출장은 2018년 회장 취임 이후 수년 간 이어온 미래준비 행보를 전 세계로 확장해 나간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LG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AI, 바이오, 클린테크(clean tech) 등 이른바'ABC' 분야를 선정하고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배터리처럼..."끊임없는 도전" 강조

출장 첫 날 일정은 보스턴에서 소화했다. 보스턴은 글로벌 바이오 관련 기업·연구기관 2000여개가 밀집해 있다. 최근 '바이오 산업의 메카'로 불린다.
구광모 LG 회장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의 다나파버를 방문해 세포치료제 생산에서 항암 기능을 강화시킨 세포를 선별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LG 제공
구광모 LG 회장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의 다나파버를 방문해 세포치료제 생산에서 항암 기능을 강화시킨 세포를 선별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LG 제공
구 회장은 2019년 설립된 LG화학 생명과학본부 보스턴 법인(이노베이션센터)과 LG화학이 지난 1월 인수한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찾았다. 항암 신약, 세포치료제를 중심으로 '2030년 글로벌 톱 티어' 제약사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점검했다.

구 회장은 “LG의 바이오 사업이 지금은 비록 작은 씨앗이지만 꺾임 없이 노력하고 도전해 나간다면 LG를 대표하는 미래 거목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30년 넘는 기술개발·투자를 통해 현재의 주력사업으로 자리잡은 배터리처럼 바이오 사업과 관련해서도 '끊임없는 도전'을 주문한 것이다.

둘째날인 22일엔 AI 특화도시 토론토를 방문해 AI 분야 미래준비를 이어갔다. LG전자 'AI 랩'을 찾은 구 회장은 경영진들과 AI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연구개발(R&D) 방향, 계열사 간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미팅에서 LG는 고객 관점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AI 기술의 실행력을 더욱 높이고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구 회장은 "AI는 향후 모든 산업에 혁신을 촉발하고 사업 구도에 커다란 파급력을 미칠 미래 게임체인저"라며 "지금까지 확보한 기술들이 계열사의 실질적 사업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레슨런(lesson learn)'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여가자”고 강조했다.

미래사업 '글로벌 톱' 수준으로 육성 의지

구 회장은 LG의 인공지능(AI)·바이오 사업을 점검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지 유명 연구기관·스타트업을 방문했다. 최신 산업 트렌드와 기술을 익히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산업계에선 "구 회장의 미래 경영이 더욱 치밀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보스턴에선 세계 최고 항암 연구시설인 다나파버 암 센터와 바이오·제약 분야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시설인 랩센트럴을 잇달아 방문했다. 구 회장은 로리 글림쳐 다나파버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세포치료제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연구중심병원과 제약기업 간 협력 모델과 항암 연구의 새로운 동향을 살피고 의견을 나눴다. 이어 랩센트럴 창립자 중 한 명인 요하네스 프루에하우프 CEO를 만나 보스턴 바이오 창업 생태계와 글로벌 혁신 스타트업 육성 모델을 소개받았다.
구광모 LG 회장이 미국 보스턴 랩센트럴에서 요하네스 프루에하우프(Johannes Fruehauf) 랩센트럴 CEO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LG 제공
구광모 LG 회장이 미국 보스턴 랩센트럴에서 요하네스 프루에하우프(Johannes Fruehauf) 랩센트럴 CEO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LG 제공
토론토에서는 세계 4대 AI 석학 중 한 명인 제프리 힌튼이 설립한 벡터 연구소를 찾아 AI 분야 최신 기술 동향을 살폈다. 구글의 딥러닝, 우버의 자율주행, 엔비디아의 컴퓨터비전 등이 벡터 연구소를 거쳐 탄생했다. 스타트업 자나두도 구 회장의 방문지에 들어갔다. 이 업체는 2016년 설립된 양자컴퓨팅 선도 기업으로 기업 가치가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로 추정된다.

LG 관계자는 “구 회장이 산업 생태계를 살핀 것은 AI 바이오 등의 미래 사업들을 글로벌 톱 수준으로 육성해 미래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행보”라고 설명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