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공원 지하성지…슬픔을 숨기자, 순교자들의 빛이 남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배세연의 스페이스 오디세이
천주교 순교 성지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요즘 세대는 와닿지 않는 순교
박해 당한 수난사 알리기보다
아늑하고 신성한 공간 만들어
선입견없이 다가갈 수 있게 해
천주교 순교 성지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요즘 세대는 와닿지 않는 순교
박해 당한 수난사 알리기보다
아늑하고 신성한 공간 만들어
선입견없이 다가갈 수 있게 해
![콘솔레이션 홀에서 마주하는 빛과 어둠.](https://img.hankyung.com/photo/202308/AA.34311961.1.jpg)
돌을 쌓아 무언가를 기억하는 것은 인간만이 하는 일이다. 기념의 형식으로 지칭되는 이것은 시대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됐다. 현대에는 미니멀리즘이 이 형식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싱턴DC 베트남 참전용사기념비, 911 메모리얼, 베를린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런 형식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도 많다. 모든 것을 너무 추상화한 형식이 어떻게 기억을 전달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올바른 정보 없이는 올바른 기억도 없기 때문이다.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전체적으로 이런 특성을 갖고 있다. 이곳은 길게 나 있는 길을 걷게 하고 공간 자체의 공간감을 느끼게 한다. 박물관 각각의 공간에 기념을 위한 의미는 분명히 있지만 모든 공간이 의미에 매몰돼 천주교의 수난사를 이야기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공간이 좋았다’고 기억하게 된다. 이 중 사람들이 특히 좋았다고 이야기하는 곳은 지하 3층의 하늘광장과 콘솔레이션 홀이다. 18m 높이의 공간이 하늘을 향해 열려있는 하늘광장은 네 면의 벽과 바닥까지 모두 적벽돌이 촘촘하게 쌓여있다. 하늘광장 맞은편에는 어둡고 거대한 매스가 바닥에서 2m 떠 있는데, 이 매스를 머리 위에 두고 내부로 들어서면 3개 층 높이의 거대 공간이 나타난다. 콘솔레이션 홀인 이곳에서는 공중에 떠 있는 벽에 흘러다니는 영상으로 인해 마치 다른 세상에 들어선 것 같다. 어두운 공간의 중앙에서 떨어지는 한 줄기 빛만이 공간을 밝혀 신성함과 엄숙함이 동시에 느껴진다.
이런 공간을 제대로 경험하기 위해서는 관람객의 역할이 중요하다. 공간에서 느낀 그 좋음이 의미하는 게 무엇인지 궁금해하고, 정보를 찾아보고,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해보는 일 말이다. 특정 주체가 선별한 역사에 기대는 것이 아닌,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역사를 세워보는 일이다. 그것이 현대인들이 과거를 기억하는 방식이어야 하고 현대의 기념 공간들이 지지하고 있는 방식인 것이다.
한양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