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짱' 열풍에 2030 탈장 환자 증가…사타구니 근처 불룩해졌다면 의심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
늘어나는 탈장 환자
고강도 운동하다 복압 높아져
대퇴부·사타구니 등 묵직한 통증
힘 빼고 손으로 지그시 누르면
탈출된 장기 제자리 찾아가기도
통증 계속되면 응급실 찾아야
늘어나는 탈장 환자
고강도 운동하다 복압 높아져
대퇴부·사타구니 등 묵직한 통증
힘 빼고 손으로 지그시 누르면
탈출된 장기 제자리 찾아가기도
통증 계속되면 응급실 찾아야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탈장 증상으로 국내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9만2334명 중 20~30대 환자는 6.8%였다. 탈장 환자 상당수는 50세 이상 장년층이다. 의료계에선 최근 젊은 탈장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윤소경 순천향대서울병원 외과 교수는 “평균 수명이 늘면서 탈장으로 병원을 찾는 어르신이 많아졌지만 최근 젊은 탈장 환자도 늘고 있다”며 “몸짱 열풍 때문에 복근 운동을 많이 하는 게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대개 탈장은 복압이 계속 올라가는 경우에 주로 생긴다. 복부엔 늘 높은 압력이 가해진다. 이 상태로 오랜 기간을 살면 복압이 누적되기 때문에 탈장은 고령층에게 흔한 질환이다. 나이뿐 아니라 특정 행동이나 직업 등의 요인 탓에 탈장이 생기기도 한다.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거나 성악가처럼 계속 배에 힘을 많이 주는 사람도 탈장이 생기기 쉽다. 오랜 기간 기침하거나, 수술 부위 상처 때문에 복벽이 약해져 생기기도 한다.
모든 탈장 환자에게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탈장이 생기면 우선 탈출된 장기가 다시 자리를 찾아 들어가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누운 자세에서 편안하게 힘을 뺀 뒤 탈장 부위를 살펴보면 된다. 눕기만 해도 쏙 들어가거나 손으로 지그시 누르기만 해도 쏙 들어가면 응급 수술이 필요한 상태는 아니다. 다만 이때 세게 힘을 줘 탈장 부위를 누르면 안 된다. 윤 교수는 “이런 상태라면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며 “성인 탈장은 없던 상태로 돌아가는 게 쉽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커지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 수술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수술 후엔 배에 압력이 올라가는 동작 등을 삼가야 한다. 수술 뒤 한 달 정도는 복근운동을 하거나 무거운 것을 드는 동작은 피해야 한다. 변을 볼 때 과도하게 힘을 주지 않도록 변비가 있는 사람은 변비약을 먹어 배변 활동을 돕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