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라임 의혹은 정치 공작" vs 금감원 "분명한 특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감원, 전날 발표 이어 입장자료 배포
"60여개 개방형 펀드 중 네 개만 불법적 자금 수혈로 환매"
"환매 중단으로 고통받은 투자자 비하면 혜택" 재차 강조
"60여개 개방형 펀드 중 네 개만 불법적 자금 수혈로 환매"
"환매 중단으로 고통받은 투자자 비하면 혜택" 재차 강조

25일 금융감독원은 "라임의 개방형 펀드 60여개 중 유독 네 개 펀드에서만 다른 펀드의 자금을 가져오거나, 라임자산운용의 고유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환매가 이뤄졌다"며 "라임이 불법적인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해 투자자의 손실을 축소하도록 한 것은 분명한 사실로, 금감원은 이를 특혜성 환매로 판단한다"는 입장 자료를 냈다. 전날 발표를 재차 강조한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특혜 환매' 수혜자 A씨가 김상희 더민주 의원으로 지목됐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거래 증권사의 권유에 따라 수천만원 손해를 보고 환매를 했다"며 "나를 포함해 투자자 16명이 전원 동시에 환매를 받았다"며 반박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당시 네 개 펀드는 부실한 자산이나 비시장성 자산을 편입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시 대량 환매신청에 대해 정상적인 환매를 할 수 없었고, 다른 자금을 지원받지 않고는 환매 연기가 불가피했다"며 "이들 펀드에 대해 불법적 자금지원으로 손실을 회피한 것은 특혜를 준 것"이라고 맞섰다.
이날 금감원은 라임펀드 등이 투자한 회사에서 횡령으로 빠져나간 돈이 불법 로비 자금이나 정치 자금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공식 제기했다. 전날 라임 피투자사의 횡령 사례만 밝혔을 뿐, 최종 사용처가 어디로 이어졌는지 가능성 등에 대해선 말을 아낀 것과는 대조적이다. 금감원은 "(펀드) 피투자사의 자금유용 의혹과 관련해서는 자금흐름을 비롯해 불법 로비자금이나 정치권 유입 등 사용처가 명확히 규명될 수 있도록 수사과정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고 했다.
선한결/성상훈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