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진에 지갑 닫는 소비자…미끄러지는 나이키 주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이키 주가가 11거래일 연속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1980년 이 회사가 상장한 이후 가장 긴 연속 하락세다. 중국의 수요 부진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나이키는 지난 24일 1.13% 하락한 97.63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9일부터 24일까지 11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다. 이 기간 주가는 10.99% 하락해 증발한 시가총액만 184억2000만달러에 달한다.
나이키의 주요 시장인 중국 경기가 부진하면서 실적 전망이 악화하자 주가도 함께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나이키의 중국 매출은 회계연도 2023년 4분기(3~5월) 기준 약 18억1000만 달러로 분기 매출액(128억3000만달러)의 14.1%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경기는 침체 징후를 잇달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발표된 중국 소매 판매 증가 폭은 2.5%로 시장 전망치였던 4.5%를 밑돌았다. 산업생산 증가율도 3.7%로 전망치인 4.4%에 미치지 못했다
미국 투자은행(IB) 레이먼드제임스의 소매업종 담당 애널리스트 릭 파텔은 "중국 경제지표 악화로 인해 투자자들이 나이키 전망에 점점 더 비관적이 되고 있다"고 했다.
나이키의 주요 공급처 중 하나인 신발·의류 소매체인 풋락커의 실적 발표도 악재로 작용했다. 풋락커는 지난 23일 2분기 주당 순이익(EPS)이 4센트라고 밝혔다.
2분기 실적 자체는 월가 전망과 일치했지만 문제는 실적 전망이었다. 풋락커는 올해 연간 매출액이 전년대비 8~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월 전 전망치였던 6.5~8% 감소 수준에서 더욱 악화됐다. 실적 감소가 예상되면서 10월 예정된 배당 외 현금배당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기대 이하의 전망을 내놓으면서 풋락커 주가는 지난 23일 하루에만 28.2%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인들이 최근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도 나이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풋락커 역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실적 악화 전망의 주된 원인으로 중·저소득층 소비자들의 지출 감소를 꼽았다.
파텔 애널리스트는 "10월에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되면 하반기 수요가 크게 변화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며 "이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는 소비자들이 가을에 더 큰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배태웅 기자
나이키는 지난 24일 1.13% 하락한 97.63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9일부터 24일까지 11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했다. 이 기간 주가는 10.99% 하락해 증발한 시가총액만 184억2000만달러에 달한다.
나이키의 주요 시장인 중국 경기가 부진하면서 실적 전망이 악화하자 주가도 함께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나이키의 중국 매출은 회계연도 2023년 4분기(3~5월) 기준 약 18억1000만 달러로 분기 매출액(128억3000만달러)의 14.1%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경기는 침체 징후를 잇달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발표된 중국 소매 판매 증가 폭은 2.5%로 시장 전망치였던 4.5%를 밑돌았다. 산업생산 증가율도 3.7%로 전망치인 4.4%에 미치지 못했다
미국 투자은행(IB) 레이먼드제임스의 소매업종 담당 애널리스트 릭 파텔은 "중국 경제지표 악화로 인해 투자자들이 나이키 전망에 점점 더 비관적이 되고 있다"고 했다.
나이키의 주요 공급처 중 하나인 신발·의류 소매체인 풋락커의 실적 발표도 악재로 작용했다. 풋락커는 지난 23일 2분기 주당 순이익(EPS)이 4센트라고 밝혔다.
2분기 실적 자체는 월가 전망과 일치했지만 문제는 실적 전망이었다. 풋락커는 올해 연간 매출액이 전년대비 8~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월 전 전망치였던 6.5~8% 감소 수준에서 더욱 악화됐다. 실적 감소가 예상되면서 10월 예정된 배당 외 현금배당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기대 이하의 전망을 내놓으면서 풋락커 주가는 지난 23일 하루에만 28.2%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인들이 최근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도 나이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풋락커 역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실적 악화 전망의 주된 원인으로 중·저소득층 소비자들의 지출 감소를 꼽았다.
파텔 애널리스트는 "10월에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되면 하반기 수요가 크게 변화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며 "이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는 소비자들이 가을에 더 큰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배태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