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물꽃의 전설', 두 제주 해녀는 '물꽃'을 찾았을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주 출신 고희영 감독 메가폰
94세와 30대 해녀의 삶과 우정
담담하게 풀어낸 웰메이드 다큐
94세와 30대 해녀의 삶과 우정
담담하게 풀어낸 웰메이드 다큐
87년. 제주 서귀포시 삼달리에 사는 현순직 할머니(97)가 해녀로 물질한 기간이다. 만 일곱 살에 시작해 94세 때인 2020년에 은퇴한 최고령 해녀다.
30일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물꽃의 전설’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 동안 현 할머니(촬영 당시 89~94세)가 거주하는 삼달리 해녀촌을 비춘다. 해녀들의 일상을 현 할머니와 삼달리 최연소 해녀 채지애(34~39세)를 중심으로 밀도 있게 그렸다. 제주 출신 고희영 감독이 ‘물숨’(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제작한 다큐멘터리다.
현 할머니는 해녀들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고래 상군’이던 어머니를 따라 어릴 때부터 바다에 나섰다. ‘모전여전’이라고 했던가. 물질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인 그는 16세에 베테랑 해녀를 의미하는 ‘상군 해녀’가 됐다.
그는 독도 강화도 완도 등 전국 바다를 헤치면서 세 아들을 뒷바라지했다. 아들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거의 매일 테왁(해녀가 물질할 때 가슴에 받쳐 몸이 뜨게 하는 공 모양 기구)과 그물망을 짊어지고 바다에 나선다.
현 할머니는 후배 해녀들과 제작진에게 젊을 때 자주 갔다는 들물여의 ‘물꽃’(분홍색 산호인 밤수지맨드라미)을 전설처럼 들려준다. 삼달리에서 멀찌감치 떨어져 있는 데다 조류 변화도 심해 물질에 능한 자신만 갈 수 있었다고 현 할머니는 말한다. 그곳에는 물꽃이 흐드러지게 피었고 전복 소라 등 해산물이 넘쳐났다고 했다.
채지애는 해녀인 어머니의 뒷바라지로 육지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헤어디자이너로 일했다. 하지만 헤어드라이어 소리가 바닷소리로 들릴 만큼 향수병이 심해지자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 반대를 무릅쓰고 해녀가 됐다. 촬영을 시작할 무렵 그는 물질을 시작한 지 1년8개월밖에 안 된 ‘아기 해녀’였다. 촬영이 끝날 무렵인 2021년에는 능숙한 상군 해녀가 됐다.
현 할머니는 “저 아이가 제일 마음씨가 곱다”며 채지애에게 노하우를 전수한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은 들물여의 물꽃을 찾아가기로 의기투합한다. 두 해녀의 여정은 영화가 끝나기 20분 전부터 시작된다. 들물여 인근까지는 현 할머니와 채지애가 같이 가지만 바다에는 채지애만 들어간다. 그는 현 할머니가 그 옛날 봤던 물꽃을 만날 수 있을까.
잘 만든 다큐멘터리다. 영화는 제주 바다와 풍광을 담은 영상과 두 해녀의 인터뷰, 사람 간 대화로 구성된다. 해설하는 투의 내레이션은 없다. 그러면서도 자연과 인생을 생각해볼 틈을 준다.
제주 해녀는 ‘달의 시간’으로 산다고 한다. 물때를 따라 움직이는 해녀들은 달의 모습을 보고,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작을 때 바다로 나간다. 고 감독은 그래서 바다 위 달의 모습을 카메라에 자주 담았다고 했다. 영화는 달빛이 비치는 제주 바다로 시작해 현 할머니가 달이 뜬 바다를 바라보는 광경으로 끝난다. 이런 말과 함께.
“달은 기울었다가도 때가 되면 다시 차는데 사람은 한번 다하면 그만인가. (…) 부모가 그만큼 물려줄까. 저 바다가 잘도 고맙지. 부모보다 더 고마워.”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
30일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물꽃의 전설’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 동안 현 할머니(촬영 당시 89~94세)가 거주하는 삼달리 해녀촌을 비춘다. 해녀들의 일상을 현 할머니와 삼달리 최연소 해녀 채지애(34~39세)를 중심으로 밀도 있게 그렸다. 제주 출신 고희영 감독이 ‘물숨’(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제작한 다큐멘터리다.
현 할머니는 해녀들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고래 상군’이던 어머니를 따라 어릴 때부터 바다에 나섰다. ‘모전여전’이라고 했던가. 물질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인 그는 16세에 베테랑 해녀를 의미하는 ‘상군 해녀’가 됐다.
그는 독도 강화도 완도 등 전국 바다를 헤치면서 세 아들을 뒷바라지했다. 아들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거의 매일 테왁(해녀가 물질할 때 가슴에 받쳐 몸이 뜨게 하는 공 모양 기구)과 그물망을 짊어지고 바다에 나선다.
현 할머니는 후배 해녀들과 제작진에게 젊을 때 자주 갔다는 들물여의 ‘물꽃’(분홍색 산호인 밤수지맨드라미)을 전설처럼 들려준다. 삼달리에서 멀찌감치 떨어져 있는 데다 조류 변화도 심해 물질에 능한 자신만 갈 수 있었다고 현 할머니는 말한다. 그곳에는 물꽃이 흐드러지게 피었고 전복 소라 등 해산물이 넘쳐났다고 했다.
채지애는 해녀인 어머니의 뒷바라지로 육지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헤어디자이너로 일했다. 하지만 헤어드라이어 소리가 바닷소리로 들릴 만큼 향수병이 심해지자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 반대를 무릅쓰고 해녀가 됐다. 촬영을 시작할 무렵 그는 물질을 시작한 지 1년8개월밖에 안 된 ‘아기 해녀’였다. 촬영이 끝날 무렵인 2021년에는 능숙한 상군 해녀가 됐다.
현 할머니는 “저 아이가 제일 마음씨가 곱다”며 채지애에게 노하우를 전수한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은 들물여의 물꽃을 찾아가기로 의기투합한다. 두 해녀의 여정은 영화가 끝나기 20분 전부터 시작된다. 들물여 인근까지는 현 할머니와 채지애가 같이 가지만 바다에는 채지애만 들어간다. 그는 현 할머니가 그 옛날 봤던 물꽃을 만날 수 있을까.
잘 만든 다큐멘터리다. 영화는 제주 바다와 풍광을 담은 영상과 두 해녀의 인터뷰, 사람 간 대화로 구성된다. 해설하는 투의 내레이션은 없다. 그러면서도 자연과 인생을 생각해볼 틈을 준다.
제주 해녀는 ‘달의 시간’으로 산다고 한다. 물때를 따라 움직이는 해녀들은 달의 모습을 보고,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작을 때 바다로 나간다. 고 감독은 그래서 바다 위 달의 모습을 카메라에 자주 담았다고 했다. 영화는 달빛이 비치는 제주 바다로 시작해 현 할머니가 달이 뜬 바다를 바라보는 광경으로 끝난다. 이런 말과 함께.
“달은 기울었다가도 때가 되면 다시 차는데 사람은 한번 다하면 그만인가. (…) 부모가 그만큼 물려줄까. 저 바다가 잘도 고맙지. 부모보다 더 고마워.”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