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차기사장에 김동철 전 의원 유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달 임명 땐 첫 정치인 수장
"에너지 분야 경력 없어" 우려
"에너지 분야 경력 없어" 우려
한국전력이 이르면 다음달 말 차기 사장을 맞이할 전망이다. 4선(17~20대) 국회의원 출신인 김동철 전 바른미래당 의원(사진)이 유력한 후보다. 차기 한전 사장은 강도 높은 자구안을 이행하는 동시에 급증하는 전력 인프라 투자를 책임져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된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지난 25일 회의를 열어 김 전 의원을 포함한 복수 후보를 차기 한전 사장 후보자로 추천하는 안건을 의결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한전 감독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를 바탕으로 조만간 한전에 단수 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다. 이후 한전 이사회와 임시주주총회에서 선임 안건이 통과되면 산업부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사장을 임명하는 것으로 인선은 마무리된다. 9월 안에 이 같은 절차가 모두 끝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차기 한전 사장으로 유력한 김 전 의원이 임명되면 1961년 한전 출범 이후 62년 만에 첫 정치인 출신 사장이 된다. 그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뒤 산업은행을 거쳐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현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광주 광산갑에 출마해 당선됐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내리 4선을 했고, 19대 국회에서는 바른미래당(당시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 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정부·여당에선 사상 최초로 총부채가 200조원을 넘어선 한전이 재무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강도 높은 자구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제대로 지휘하려면 외부 인사가 수장을 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전은 지난 5월 주요 건물 매각, 임직원 급여 반납 등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재무구조 개선을 하겠다는 자구책을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김 전 의원이 뚜렷한 에너지 분야 경력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전은 올해 2분기 전기요금 인상과 맞물려 정승일 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지난 5월 조기 퇴임한 후 이정복 경영관리부사장이 사장 직무를 대행하고 있다. 사실상 3개월 넘게 리더십 공백이 이어지면서 경영 정상화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지난 25일 회의를 열어 김 전 의원을 포함한 복수 후보를 차기 한전 사장 후보자로 추천하는 안건을 의결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한전 감독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를 바탕으로 조만간 한전에 단수 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다. 이후 한전 이사회와 임시주주총회에서 선임 안건이 통과되면 산업부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사장을 임명하는 것으로 인선은 마무리된다. 9월 안에 이 같은 절차가 모두 끝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차기 한전 사장으로 유력한 김 전 의원이 임명되면 1961년 한전 출범 이후 62년 만에 첫 정치인 출신 사장이 된다. 그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뒤 산업은행을 거쳐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현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광주 광산갑에 출마해 당선됐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내리 4선을 했고, 19대 국회에서는 바른미래당(당시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 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정부·여당에선 사상 최초로 총부채가 200조원을 넘어선 한전이 재무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강도 높은 자구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제대로 지휘하려면 외부 인사가 수장을 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전은 지난 5월 주요 건물 매각, 임직원 급여 반납 등을 통해 2026년까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재무구조 개선을 하겠다는 자구책을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김 전 의원이 뚜렷한 에너지 분야 경력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전은 올해 2분기 전기요금 인상과 맞물려 정승일 사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지난 5월 조기 퇴임한 후 이정복 경영관리부사장이 사장 직무를 대행하고 있다. 사실상 3개월 넘게 리더십 공백이 이어지면서 경영 정상화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