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처럼 비가 오는 날이면, 이렇게 전철을 이용하는 게 열배는 편하지요"
일산역까지 연장된 서해선…"편하지만 배차 늘려야"
서해선 운행이 일산역까지 연장된 이후 주중 첫날인 28일 오전 7시. 일산역 플랫폼에는 서울 등으로 출근하려는 고양시민들이 빽빽이 줄을 서 있었다.

일산역에서 시흥시청 인근으로 출근하는 이영호(51) 씨는 "시흥시청 인근에 사무실이 있는데, 그동안은 자가용으로 출·퇴근을 했다"면서 "오늘 처음으로 서해선 열차를 타고 출근하는데 너무 편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일산역까지 연장된 서해선…"편하지만 배차 늘려야"
그는 "평소 월요일 아침에 출근하려면 김포대교를 넘어 부천, 시흥 나들목까지 1시간 20분 이상 걸린다.

오늘처럼 아침부터 비가 내리면 족히 2시간은 잡고 집에서 출발해야 한다"면서 "서해선 열차를 이용하면 50여분이면 충분히 도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산서구 대화동에서 안산으로 출근하는 허상원(50) 씨는 "지난달 1일 서해선 소사∼대곡 구간이 개통한 뒤부터 지하철 3호선을 타고 대곡역까지 간 뒤 서해선으로 갈아탔다"면서 "오늘부터는 (대곡역에서 갈아타지 않고) 일산역에서 바로 직행할 수 있어 너무 편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출근 시간대 서해선 열차 편성이 조금 더 늘었으면 좋겠다"며 아쉬움을 표현했다.

7시 16분 일산역에서 안산 원시역으로 향하는 4량짜리 서해선 열차가 플랫폼으로 들어오자 줄지어 기다리던 승객들이 재빨리 자리에 앉으면서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일부 승객은 서서 출근해야 했다.

일산역까지 연장된 서해선…"편하지만 배차 늘려야"
두 번째 역인 풍산역에서도 꽤 많은 시민이 열차에 올랐고, 세 번째인 백마역도 서해선을 이용하려는 시민들로 북적였다.

일산 풍산역에서 부천으로 통학하는 대학생 김 모(22) 씨는 "지난 학기 학교에 가려면 지하철을 2∼3번 갈아탔는데, 서해선이 생기면서 한 번에 갈 수 있어 너무 좋다"고 반겼다.

김 씨도 "오전 7시대에 전철이 1대 밖에 없는데 추가로 투입됐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밝혔다.

서해선 전철 운행 시간표를 보면 출퇴근 시간대 일산역∼원시역 간 운행 열차는 시간당 1회에 그친다.

이에 따라 승객이 한꺼번에 몰려 큰 혼잡이 빚어질 수도 있다.

일산역에서 경의·중앙선 열차를 타고 대곡역까지 이동한 후 (대곡역에서 출발하는) 서해선으로 환승하는 게 더 빠를 수도 있다.

실제 일산역을 기준으로 경의·중앙선 운행 횟수는 오전 6시대 4∼10분 간격으로 8회지만, 서해선은 오전 6시 23분 단 1회에 불과하다.

출근 시간대 승객이 가장 많은 오전 7시대도 경의·중앙선은 4∼7분 간격으로 10회 운행하지만, 서해선은 오전 7시 16분 1회만 운행한다.

서해선은 출근 시간대가 지난 오전 10∼11시대에는 운행 횟수가 시간당 2∼3회로 늘어난다.

일산역까지 연장된 서해선…"편하지만 배차 늘려야"
이에 대해 고양시 관계자는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이 기존의 철로를 공유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답했다.

서해선 운행 횟수를 늘리려면 경의·중앙선 운행 횟수를 줄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당초 국토교통부는 출퇴근 시간대 배차 간격을 20분대로 계획했지만, 개통을 앞둔 점검 회의에서 기존 경의·중앙선과 배차가 겹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와 운행 간격을 50분 이상으로 수정했다.

이동환 고양시장도 배차간격이 넓은 데 대한 아쉬움을 공유했다.

이 시장은 지난 25일 서해선 개통식에서 "기존 경의·중앙선 선로를 함께 쓰다 보니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이 더 촘촘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며 "서해선 전용 노선 신설을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철도공단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