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만 바라보다 '직격탄'…"반등 희망 버렸다" 최악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기업들, 사업보고서에 줄줄이 "中리스크" 명시
세계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중국의 성장세가 꺾이자 전방위적인 타격이 가해지고 있다. 건설 자재부터 전자 제품, 관광, 명품에 이르기까지 전 업종이 영향권에 놓인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은 앞다퉈 암울한 사업 전망을 쏟아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8일 “전 세계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일제히 중국의 성장 둔화에 따른 영향을 (2분기) 사업 보고서에 명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업 대부분이 실적 악화의 원인을 중국 경제 상황에 돌렸다.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인 비쉐이인터테크놀로지의 조엘 스메즈칼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에서의 수요가 부진하다”고 했고, 영국의 명품 전문 전자 상거래 기업인 파페치의 호세 페레이라 네베스 CEO도 “모든 사람들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가 폭발적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미국의 통신 및 전자기기 전문 기업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는 중국 사업 부진을 이유로 올해 실적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이지 않다. 대중 투자 규모를 늘렸던 독일 화학그룹 바스프(BASF)의 마틴 브루더뮐러 CEO는 “올해 남은 기간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며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다른 독일계 화학 기업인 코베스트로의 마커스 스텔만 CEO도 “작년 한 해에만 이익 규모가 3분의 1 가까이 쪼그라들었다”며 “당분간 중국 경제는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기업들 사이에선 중국이 단순히 일시적인 침체기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성장 동력을 완전히 잃은 탓에 금리 인하, 금융 시장 개혁 등 일련의 정부 조치도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은 특히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유례없는 수준으로 치솟은 데 주목한다.
마틴 바스프 CEO는 “중국인들은 자국 정부에 대해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으며, 신뢰도 부족하다”며 “그들은 자녀 교육에 많은 돈을 썼지만, 현재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20%에 달한다. 중국인들은 부동산 시장에서도 많은 돈을 잃었다. 이제 그들은 소비에 매우 신중하다”고 짚었다. 독일 특수화학소재 기업 에보닉의 마이케 슈 최고재무책임자(CFO)도 “건설업은 여전히 위기에 처해 있으며, 청년층의 실업이 진짜 문제”라고 했다. 다만 애플, 스타벅스, 월마트, 랄프로렌 등 예외 사례도 있다. 팀 쿡 애플 CEO는 올해 2분기 3% 감소한 매출이 3분기에는 8%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월마트와 랄프로렌 매출도 최근 눈에 띄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스타벅스는 중국 경제 둔화가 자사 사업에 “눈에 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 경제 악화에 따른 무역 둔화는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타격이 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두 지역의 누적 수입액은 14% 이상 후퇴했다. 일본의 수출 실적은 지난 7월 기준 2년여 만에 처음으로 뒷걸음질했고, 한국과 태국 정부는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 잡았다. 시장에선 위안화 가치 하락에 따라 싱가포르달러, 태국 바트, 멕시코 페소 등 신흥국 통화에도 연쇄적인 압박이 가해질 수 있을 거란 우려가 나온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파이낸셜타임스(FT)는 28일 “전 세계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일제히 중국의 성장 둔화에 따른 영향을 (2분기) 사업 보고서에 명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업 대부분이 실적 악화의 원인을 중국 경제 상황에 돌렸다.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인 비쉐이인터테크놀로지의 조엘 스메즈칼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에서의 수요가 부진하다”고 했고, 영국의 명품 전문 전자 상거래 기업인 파페치의 호세 페레이라 네베스 CEO도 “모든 사람들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가 폭발적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했다. 미국의 통신 및 전자기기 전문 기업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는 중국 사업 부진을 이유로 올해 실적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이지 않다. 대중 투자 규모를 늘렸던 독일 화학그룹 바스프(BASF)의 마틴 브루더뮐러 CEO는 “올해 남은 기간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며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다른 독일계 화학 기업인 코베스트로의 마커스 스텔만 CEO도 “작년 한 해에만 이익 규모가 3분의 1 가까이 쪼그라들었다”며 “당분간 중국 경제는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기업들 사이에선 중국이 단순히 일시적인 침체기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성장 동력을 완전히 잃은 탓에 금리 인하, 금융 시장 개혁 등 일련의 정부 조치도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은 특히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유례없는 수준으로 치솟은 데 주목한다.
마틴 바스프 CEO는 “중국인들은 자국 정부에 대해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으며, 신뢰도 부족하다”며 “그들은 자녀 교육에 많은 돈을 썼지만, 현재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20%에 달한다. 중국인들은 부동산 시장에서도 많은 돈을 잃었다. 이제 그들은 소비에 매우 신중하다”고 짚었다. 독일 특수화학소재 기업 에보닉의 마이케 슈 최고재무책임자(CFO)도 “건설업은 여전히 위기에 처해 있으며, 청년층의 실업이 진짜 문제”라고 했다. 다만 애플, 스타벅스, 월마트, 랄프로렌 등 예외 사례도 있다. 팀 쿡 애플 CEO는 올해 2분기 3% 감소한 매출이 3분기에는 8%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월마트와 랄프로렌 매출도 최근 눈에 띄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스타벅스는 중국 경제 둔화가 자사 사업에 “눈에 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 경제 악화에 따른 무역 둔화는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타격이 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두 지역의 누적 수입액은 14% 이상 후퇴했다. 일본의 수출 실적은 지난 7월 기준 2년여 만에 처음으로 뒷걸음질했고, 한국과 태국 정부는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 잡았다. 시장에선 위안화 가치 하락에 따라 싱가포르달러, 태국 바트, 멕시코 페소 등 신흥국 통화에도 연쇄적인 압박이 가해질 수 있을 거란 우려가 나온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