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세 명 중 한 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의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 변화’를 발표했다. 최근 10년(2012~2022년)간 결혼, 출산, 노동 등에 대한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약 1만8600가구에 속한 조사 대상자 3만6000여 명 중 19~34세 청년들의 응답을 별도로 뽑아낸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36.4%로 10년 전인 2012년(56.5%)보다 20.1%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중(50.0%)보다 13.6%포인트 낮다.

청년 절반 이상 "아이 안 낳겠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을 성별로 나눠 보면 여성 28.0%, 남성 43.8%로 나타났다. 각각 10년 전보다 18.9%포인트, 22.3%포인트 낮다. 결혼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청년들은 ‘결혼 자금 부족’(33.7%)을 꼽았다. ‘필요성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이 뒤를 이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모니터링평가센터장은 “주택 등 결혼 자금 마련, 여성의 경력 단절, 독박육아 등의 부담을 해소해줄 정책 지원과 우리 사회의 가치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드러낸 조사 결과”라고 분석했다.

혼인 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53.5%로 집계됐다. 이 항목을 조사하기 시작한 2018년(46.4%)부터 꾸준히 증가했다. 결혼하지 않고 동거할 수 있다고 답한 청년은 80.9%에 달했다. 10년 전(61.8%)보다 19.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39.6%로 10년 전(29.8%)보다 9.8%포인트 증가했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이혼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청년(14.9%)보다 9.2%포인트 많았다.

10년 전 청년들의 선호 직장은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는데,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 순으로 조사됐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