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전자제품자회사, 미국 업체 제이빌 중국자회사 인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YD는 스마트폰 부품 등 전자제품 제조업 확대
제이빌은 EV,재생에너지,의료 등에 투자 재원 마련
제이빌은 EV,재생에너지,의료 등에 투자 재원 마련
테슬라를 바짝 추격중인 중국 BYD의 전자제품 자회사 BYD 일렉트로닉이 미국의 전자제품 제조업체 제이빌(JBL)의 중국내 모바일 전자제품 제조 자회사를 158억위안(2조8,700억원) 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BYD는 전자 제품 자회사의 확대를 통해 스마트폰 부품 등 전자제품 사업을 확대할 전망이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와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BYD과 제이빌은 이 날 이 같은 거래 계약 내용을 발표했다.
제이빌은 이번 거래가 계약 전자제품 제조업체 역사상 최대 규모 거래라고 밝혔다. 제이빌 주식은 뉴욕증시 개장전 거래에서 3.2% 상승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하는 제이빌 서킷은 이 달 중국 청도와 우시에 있는 생산 시설을 흡수하는 회사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를 BYD에 매각한다.
BYD 일렉트로닉은 월요일 홍콩에서 처음에 9% 하락했으나 하락세에서 반전, 전체 시장은 1% 상승으로 마감했다. 모기업 BYD의 홍콩 상장 주식은 0.7% 상승했다.
현재는 전기 자동차 사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BYD는 전자 부품 판매로 시작했다. 2007년 BYD는 BYD일렉트로닉 사업부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BYD 일렉트로닉의 주요 사업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 가전제품용 전자부품 판매로 2022년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이 사업이 차지하고 있다.
컨설팅 회사인 시노 오토 인사이트의 설립자인 투 리는 "BYD는 단순히 EV를 지배하는 것 이상을 지향하고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BYD가 한때 애플의 공급업체 였으며 이 같은 전자제품 백그라운드를 통해 모바일 공급망에서 탁월한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
씨티 분석가들은 메모에서 이번 거래가 우시에 있는 제이빌의 그린 포인트 금속 케이스 사업과 관련이 있으며 BYD 일렉트로닉이 더 높은 시장 점유율을 통해 애플의 케이스 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이빌의 최고경영자(CEO)인 케니 윌슨은 이번 거래를 통해 제이빌이 “전기 자동차, 재생 에너지, 의료, AI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등에 추가로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빌 주가 차트]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28일(현지시간) 로이터와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BYD과 제이빌은 이 날 이 같은 거래 계약 내용을 발표했다.
제이빌은 이번 거래가 계약 전자제품 제조업체 역사상 최대 규모 거래라고 밝혔다. 제이빌 주식은 뉴욕증시 개장전 거래에서 3.2% 상승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하는 제이빌 서킷은 이 달 중국 청도와 우시에 있는 생산 시설을 흡수하는 회사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를 BYD에 매각한다.
BYD 일렉트로닉은 월요일 홍콩에서 처음에 9% 하락했으나 하락세에서 반전, 전체 시장은 1% 상승으로 마감했다. 모기업 BYD의 홍콩 상장 주식은 0.7% 상승했다.
현재는 전기 자동차 사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BYD는 전자 부품 판매로 시작했다. 2007년 BYD는 BYD일렉트로닉 사업부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BYD 일렉트로닉의 주요 사업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 가전제품용 전자부품 판매로 2022년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이 사업이 차지하고 있다.
컨설팅 회사인 시노 오토 인사이트의 설립자인 투 리는 "BYD는 단순히 EV를 지배하는 것 이상을 지향하고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BYD가 한때 애플의 공급업체 였으며 이 같은 전자제품 백그라운드를 통해 모바일 공급망에서 탁월한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
씨티 분석가들은 메모에서 이번 거래가 우시에 있는 제이빌의 그린 포인트 금속 케이스 사업과 관련이 있으며 BYD 일렉트로닉이 더 높은 시장 점유율을 통해 애플의 케이스 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이빌의 최고경영자(CEO)인 케니 윌슨은 이번 거래를 통해 제이빌이 “전기 자동차, 재생 에너지, 의료, AI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등에 추가로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빌 주가 차트]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