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망 예술가를 NFT로 해외에 더 잘 알릴 수 있죠” [긱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지숙 아트토큰 대표
삼성 스마트TV에서 아트 NFT 플랫폼 'R2R' 운영
"NFT 관련 2차 시장으로 관련 산업 더 커질 것"
삼성 스마트TV에서 아트 NFT 플랫폼 'R2R' 운영
"NFT 관련 2차 시장으로 관련 산업 더 커질 것"

홍지숙 아트토큰 대표(사진)는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트 NFT는 다른 예술품과 달리 쉽게 매매하고 보유할 수 있다”며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예술 경험에 대한 접근성도 높다”여 이같이 설명했다. 2021년에 설립된 아트토큰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트 스타트업이다. 아트 NFT 플랫폼 '투알투(2R2)'를 운영하고 있다. NFT 기반 디지털 아트 관련 다양한 전시회와 행사를 열기도 했다.
그가 아트토큰을 창업한 계기도 NFT의 독특한 특성 때문이다. NFT는 인터넷상에서 쉽게 보유할 수 있고 판매와 구입이 쉽다. 무엇보다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소유관계를 인터넷에서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미술 작품 아카이빙(기록 저장)에 관심이 있었던 홍 대표는 NFT가 미술 작품 보관 등 물리적인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관련 사업을 준비했고 L&S인베스트먼트, KTB네트워크,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으로부터 사업성을 인정받아 투자를 받았다.
아트 NFT는 쉽게 즐길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서 바로 관람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가정에서 접근성이 높다는 것이 홍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요즘에는 대부분 집이 대형 스마트TV를 보유하고 있는데 TV가 미술관의 작품 액자 역할을 하면서 집을 갤러리로 만들어 준다”고 설명했다.

홍 대표는 NFT 관련 2차 시장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글로벌 NFT 업계에서는 NFT의 IP(지식재산권)도 NFT 소유자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사례가 늘고 있다. NFT 제작자는 NFT 보유자가 해당 NFT의 이미지를 마음대로 활용해 2차 저작물을 제작하거나 상업적 판매를 허용한 것이다. 가장 가격이 비싼 NFT인 '지루한 원숭이들의 요트클럽(BAYC)'의 경우에는 BAYC 소유자들이 커피 프랜차이즈, 의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BAYC의 IP를 활용하려고 한다. 홍 대표는 “아트 NFT는 IP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적합한 NFT”라며 “NFT 시장이 더 커질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아트토큰은 웹3.0 산업의 보상 체계를 적극 활용해 2R2 서비스를 키울 계획이다. 웹3.0의 특징은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그에 따른 보상이 꼽힌다. 홍 대표는 2R2에도 보상 시스템을 도입했다. R2R 이용자가 선호하는 작품에 투표하거나 다른 활동을 하게 되면 토큰을 받는다. 향후 토큰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홍 대표는 “마케팅이나 홍보 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아트토큰에서 접할 수 있는 아트 NFT와 보상으로 이용자가 계속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아트토큰은 일본 등 해외 시장도 진출할 계획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