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버스 늘리겠다는 경기도…파주·남양주에선 '파열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도가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똑버스'를 확대하는 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역교통망이 덜 갖춰졌으나 인구가 늘어나는 신도시에선 대체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농촌지역에선 대체로 시큰둥하다는 평가가 대체로 우세하다.
경기도는 오는 30일부터 승객이 호출할 수 있는 '똑버스'를 하남시 감일·위례지구에서도 운행한다고 29일 발표했다.
13인승 현대 쏠라티 승합차를 감일지구와 위례지구에 각각 3대씩 투입한다. 운행 시간은 매일 오전 6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0시 30분까지다. 다음 달 6일부터는 정식 운행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감일·위례지구와 가까운 서울 지하철역인 거여역, 마천역·장지역, 복정역 등에서도 부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똑버스는 2021년 파주 운정·교하지구에서 첫 운행을 시작한 경기도형 DRT의 고유 브랜드다. 정해진 노선과 운행계획 없이 수요자의 호출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게 특징이다. 스마트폰에 '똑타' 앱을 설치한 뒤 목적지를 입력하면 가까운 정류장에 배차된다. 기본요금은 1450원으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는 것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현재 똑버스는 고양(식사·고봉), 김포(고촌), 수원(광교), 안산(대부도), 양주(옥정), 평택(고덕), 화성(동탄·향남) 등 7개 지자체에서 총 78대를 운영 중이다. 올해 안에 안성과 이천에도 똑버스를 도입한다는 게 도의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농촌지역 똑버스 확대를 놓고선 파주와 남양주 등에서 파열음이 나오고 있다. 기존 버스·택시 등의 기존 교통체계에 혼선이 생기는 데다, 신도시에 비해 수요가 적고 운영 수익도 작을 수밖에 없어 투입해야 할 예산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파주시는 운정·교하지구의 똑버스 운행으로 1년 6개월간 40만명이 이용하는 성과를 거뒀다. 최근 농촌지역인 광탄면, 탄현면, 월롱면 등 3곳에 총 9대의 '농촌형 똑버스' 도입을 추진하는데 택시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손님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기존 복지서비스인 '천원택시'도 운행 중이라 중복투자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남양주시는 도농복합 지역인 오남읍, 진접읍, 수동면, 별내면 등에 총 14대의 똑버스를 도입하려는 계획을 추진하다가 이달 초 철회했다. 교통 수요가 적어 매년 20억원대의 시비를 투입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똑버스 운영을 시작하면 최대 9년간 운영해야 한다는 점도 기초지자체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도 스케줄에 맞춰오는 버스를 이용하는 데 익숙해 똑버스 도입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해 똑버스 운영성과를 분석하고, 시군으로부터 추가 신청도 받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똑버스는 대중교통 부족으로 불편을 겪는 도민을 위한 보조형 교통서비스"라며 "예산 여건 등을 감안해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경기도는 오는 30일부터 승객이 호출할 수 있는 '똑버스'를 하남시 감일·위례지구에서도 운행한다고 29일 발표했다.
13인승 현대 쏠라티 승합차를 감일지구와 위례지구에 각각 3대씩 투입한다. 운행 시간은 매일 오전 6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0시 30분까지다. 다음 달 6일부터는 정식 운행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감일·위례지구와 가까운 서울 지하철역인 거여역, 마천역·장지역, 복정역 등에서도 부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똑버스는 2021년 파주 운정·교하지구에서 첫 운행을 시작한 경기도형 DRT의 고유 브랜드다. 정해진 노선과 운행계획 없이 수요자의 호출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게 특징이다. 스마트폰에 '똑타' 앱을 설치한 뒤 목적지를 입력하면 가까운 정류장에 배차된다. 기본요금은 1450원으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는 것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현재 똑버스는 고양(식사·고봉), 김포(고촌), 수원(광교), 안산(대부도), 양주(옥정), 평택(고덕), 화성(동탄·향남) 등 7개 지자체에서 총 78대를 운영 중이다. 올해 안에 안성과 이천에도 똑버스를 도입한다는 게 도의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농촌지역 똑버스 확대를 놓고선 파주와 남양주 등에서 파열음이 나오고 있다. 기존 버스·택시 등의 기존 교통체계에 혼선이 생기는 데다, 신도시에 비해 수요가 적고 운영 수익도 작을 수밖에 없어 투입해야 할 예산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파주시는 운정·교하지구의 똑버스 운행으로 1년 6개월간 40만명이 이용하는 성과를 거뒀다. 최근 농촌지역인 광탄면, 탄현면, 월롱면 등 3곳에 총 9대의 '농촌형 똑버스' 도입을 추진하는데 택시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손님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기존 복지서비스인 '천원택시'도 운행 중이라 중복투자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남양주시는 도농복합 지역인 오남읍, 진접읍, 수동면, 별내면 등에 총 14대의 똑버스를 도입하려는 계획을 추진하다가 이달 초 철회했다. 교통 수요가 적어 매년 20억원대의 시비를 투입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똑버스 운영을 시작하면 최대 9년간 운영해야 한다는 점도 기초지자체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남양주시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도 스케줄에 맞춰오는 버스를 이용하는 데 익숙해 똑버스 도입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해 똑버스 운영성과를 분석하고, 시군으로부터 추가 신청도 받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똑버스는 대중교통 부족으로 불편을 겪는 도민을 위한 보조형 교통서비스"라며 "예산 여건 등을 감안해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