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출 "민주당, 총선 전략으로 오염수 문제 끌고 가려 해"
與 만난 전통시장 상인들 "오염수 말고 처리수로 써달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수산업계에 이어 전통시장 상인들로부터도 제기됐다.

권택준 전국상인연합회 부산지회장은 1일 국민의힘이 국회에서 연 '수산물 소비 촉진 및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우리가 말 한마디라도 오염수라는 말보다 처리수라고 썼으면 얼마나 좋겠느냐"고 말했다.

권 지회장은 "우리 서민들이 오염수란 말을 들으면 전통시장에 오질 않는다"며 "이 자리에서 (명칭을 바꿔 달라고) 꼭 부탁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상인 대표들은 이와 함께 내년 지원 예산 증액, 소금 시장가격 점검, 공무원들의 전통시장 회식 장려 등을 건의했다.

이에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야당 측의 무책임한 괴담 정치에 따끔한 회초리를 들어주시라"고 당부했다.

박 의장은 "원내 제1당인 거대 야당은 민생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트집 삼아 거짓 선전, 선동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내년 총선 전략으로 오염수 문제를 끌고 가려는 게 아닌가 하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 의장은 다만, 이날 공식 발언에서 '처리수'가 아닌 '오염수'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앞서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열린 수산물 소비 상생 협약식에서 "오늘 이 시간 이후로 모든 우리 어업인은 오염수에서 처리수로 명칭을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여당 역시 명칭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취재진에게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오염 처리수이기 때문에 그 용어를 쓸지를 검토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당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의원은 같은 날 "위원장인 내가 (오염 처리수 용어를) 썼으니까 이미 우리는(당은) 공식화했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역시 같은 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 출석해 용어 변경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