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산업 지도 바꾼다…전기차 공장 전환에 16조원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트로이트 기반 자동차 공장 일자리 줄어
반면 미국 남부 지역 전기차 공장 일자리 급증
기존 내연차 자동차 노조 불만 터져 나오자
미 정부, 서둘러 지원책 마련
반면 미국 남부 지역 전기차 공장 일자리 급증
기존 내연차 자동차 노조 불만 터져 나오자
미 정부, 서둘러 지원책 마련
미국 정부가 전기차 공장으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차 생산 업체에 16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배터리 공급망에도 4조원 이상을 지원한다. 최근 미국 남부 지역에 전기차 조립 공장과 배터리 생산라인이 집중적으로 건설되면서 기존 자동차 제조 중심지였던 북부 5대호 주변 도시를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어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디트로이트 기반의 자동차 노동조합의 표심을 얻고, 중국 전기차 배터리 발전을 견제하기 위해 내놓은 조치로 풀이된다.
이 중 20억달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미국 내 제조 전환 보조금’이고, 100억달러는 에너지부의 첨단기술 차량 제조 프로그램에 따른 대출 지원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번 정책은 미국자동차노동조합(UAW)이 임금인상과 함께 전기차 생산 확대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이유로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나온 유화책으로 풀이된다. UAM은 미국 자동차 업계 ‘빅3’인 포드·GM·스텔란티스의 노동자 15만명을 대변해 임금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랜홈 장관은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 있어 일자리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에너지부는 생산직 노동자에게 고임금을 지급하거나 단체 협약을 유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프로젝트가 지원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도 이날 별도 성명을 내고 “바이드노믹스(바이든+이코노믹스)에 따른 청정 경제 구축은 수십년간 미국 경제를 지탱해온 노조 노동자와 자동차 업체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그렇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UAW는 2020년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이번 재선을 앞두고선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정책 등에 대한 불만으로 지지를 보류한 상태다. 전기차는 내연차에 비해 공장 조립방식이 더 단순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전기차 공장이 미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건설된 것도 UAW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포드자동차는 테네시주 스탠턴에 전기차 제조 단지를 건설 중이다. 인구 400명 규모의 스탠턴 시에 들어서는 이 공장은 약 6000명의 근로자를 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과 SK온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건설한다.
미시간주 앤아버에 본사를 둔 비영리 단체인 자동차 연구 센터에 따르면 자동차 회사들은 2018년 이후 미국에 1100억 달러 이상의 전기차 관련 투자를 발표했으며 그 금액의 약 절반이 남부 지역에 몰려 있다.
제조업 기반이 약한 남부 주 정부가 수십 년 동안 자동차 업체를 유치하기 위해 파격적인 세금 혜택과 저렴한 가격의 부지 제공을 한 영향이다.
비교적 낮은 에너지 비용도 이유로 꼽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남부 주에서는 셰일 가스 시추 등으로 값싼 비용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 제조시설의 경우 기존 공장의 5배에 달할 만큼 에너지 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저렴한 에너지 비용은 공장 건설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미국 에너지 정보국의 2023년 6월 데이터에 따르면 북부 미시간주의 평균 전기 가격은 킬로와트시 당 8.29 센트인 반면 테네시주는 6.41 센트, 조지아주는 7.01 센트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공장 관련 일자리도 남부로 빠르게 이동했다.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가 미국 노동통계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5대호 지역의 자동차 제조업 관련 고용 인원은 약 38만 2000명 수준이다. 지난 20년 동안 34% 감소한 결과다. 반면 남부 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비슷한 규모가 증가해 현재 21만 3000명이 자동차 제조업에서 근무하고 있다. 여기에 현재 발표된 자동차 공장 건설 계획이 현실화하면 이 지역에 최소 4만명의 일자리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발표된 정책은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측면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WSJ은 이에 대해 "(미국) 기업들과 미국 정부는 북미의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며 "배터리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신정은/뉴욕=박신영 특파원 newyearis@hankyung.com
자동차 노조 유화책으로 내놔
31일(현지시간)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기자들과의 통화에서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자동차 생산을 위해 제조시설을 개조하는데 120억달러(약 15조90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 중 20억달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미국 내 제조 전환 보조금’이고, 100억달러는 에너지부의 첨단기술 차량 제조 프로그램에 따른 대출 지원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번 정책은 미국자동차노동조합(UAW)이 임금인상과 함께 전기차 생산 확대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이유로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나온 유화책으로 풀이된다. UAM은 미국 자동차 업계 ‘빅3’인 포드·GM·스텔란티스의 노동자 15만명을 대변해 임금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그랜홈 장관은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 있어 일자리 제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에너지부는 생산직 노동자에게 고임금을 지급하거나 단체 협약을 유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프로젝트가 지원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도 이날 별도 성명을 내고 “바이드노믹스(바이든+이코노믹스)에 따른 청정 경제 구축은 수십년간 미국 경제를 지탱해온 노조 노동자와 자동차 업체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그렇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남부로 전기차 공장 몰려
UAW는 2020년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이번 재선을 앞두고선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정책 등에 대한 불만으로 지지를 보류한 상태다. 전기차는 내연차에 비해 공장 조립방식이 더 단순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전기차 공장이 미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건설된 것도 UAW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포드자동차는 테네시주 스탠턴에 전기차 제조 단지를 건설 중이다. 인구 400명 규모의 스탠턴 시에 들어서는 이 공장은 약 6000명의 근로자를 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과 SK온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건설한다.
미시간주 앤아버에 본사를 둔 비영리 단체인 자동차 연구 센터에 따르면 자동차 회사들은 2018년 이후 미국에 1100억 달러 이상의 전기차 관련 투자를 발표했으며 그 금액의 약 절반이 남부 지역에 몰려 있다.
제조업 기반이 약한 남부 주 정부가 수십 년 동안 자동차 업체를 유치하기 위해 파격적인 세금 혜택과 저렴한 가격의 부지 제공을 한 영향이다.
비교적 낮은 에너지 비용도 이유로 꼽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남부 주에서는 셰일 가스 시추 등으로 값싼 비용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 제조시설의 경우 기존 공장의 5배에 달할 만큼 에너지 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저렴한 에너지 비용은 공장 건설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미국 에너지 정보국의 2023년 6월 데이터에 따르면 북부 미시간주의 평균 전기 가격은 킬로와트시 당 8.29 센트인 반면 테네시주는 6.41 센트, 조지아주는 7.01 센트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공장 관련 일자리도 남부로 빠르게 이동했다.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가 미국 노동통계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5대호 지역의 자동차 제조업 관련 고용 인원은 약 38만 2000명 수준이다. 지난 20년 동안 34% 감소한 결과다. 반면 남부 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비슷한 규모가 증가해 현재 21만 3000명이 자동차 제조업에서 근무하고 있다. 여기에 현재 발표된 자동차 공장 건설 계획이 현실화하면 이 지역에 최소 4만명의 일자리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발표된 정책은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측면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WSJ은 이에 대해 "(미국) 기업들과 미국 정부는 북미의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며 "배터리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신정은/뉴욕=박신영 특파원 newyearis@hankyung.com